회원님 자작품(member) - 헤드폰 앰프 관련 자작 게시판 입니다.
조회 수 1954 추천 수 0 댓글 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안녕하세요!

지난 연말에 만든 제커스(basic)를 그 동안 부품을 하나하나 바꿔가면서,
제가 원하는 소리로 제커스를 다듬었습니다.

제커스가 워낙 회로가 간단한 덕에,
저 처럼 전기전자의 기초가 없는 사람도,
비교적 쉽게 헤드폰 앰프를 만들 수 있었습니다.

제커스를 처음 제작할 때에는
입출력 신호부에 상대적으로 저렴한 국산필름콘덴서와 전해콘덴서를 달았습니다.
물론 따뜻한 제커스의 특징은 나타났지만, 소리가 좀 거칠고 해상력이 떨어지는 것 같았습니다.

그동안 다른 앰프에 달아서 마음에 들었던, 필름 콘덴서인 오리캡을 다시 달았습니다.
입력신호부에 들어가는 저항도 콘덴서를 바꿀 때, BC저항에서 키와메저항으로 바꾸어보았습니다.
왜 바꿨냐고요?
심심해서요... 그건 아니고, 따뜻하고 맑은 소리 성향이라길래...

입력신호에 처음에 달았던 솔렌콘덴서는 전원 쪽의 전해콘덴서에 병렬로 다는쪽으로 밀려났습니다.
정전압어댑터 속의 전해콘덴서에도 3마이크로짜리 필름콘덴서를 병렬로 붙였습니다.
제커스의 특징인 출력쪽의 전해콘덴서는 처음엔 오스콘으로 바꾸었다가 최종적으로 블랙게이트로 바꾸었습니다.
(전문가 이야기로는 오스콘을 신호부에 쓰면 소리가 강한 소리가 날 것이라는 이야기를 들었음. 여기에 달았던 오스콘은 CEC TL 2X 트랜스포트의 전원부에 전해콘덴서와 마침 용량이 일치하여 그곳으로 가서 자리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신호에 관련한 배선재는 은도금선으로 바꾸었습니다.

방열판이 좀 적지 않느냐는 지적에 두배 정도 크기의 발열판으로 바꾸었는데, 음질에는 별 영향이 없겠지만, 그냥 정신건강학상(?) 기분에 바꾸었습니다.
그래서 방열판이 두껑을 뚫고 나왔습니다.(높이가 5센티미터짜리)
가끔 사무실에서 작업하다가 방열판이 얼마나 따뜻한지 만져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만져보면 그저 뜨거운 정도이네요.(만져보고 느끼는 제커스 앰프!)

콘덴서와 저항을 바꾸고 나서 처음에는 좀 멍청한 소리가 나더군요.
두세시간 정도 기초 에이징 시간이 지나니까, 점차 소리가 맑고 선명지더군요.

지금의 소리는 어떠냐구요?
PX100을 통해 나오는 소리는 따뜻하고, 맑고, 투명하고 편안합니다.
특히 제커스의 따뜻하고 편안한 음색은 가히 일품이군요.

제커스가 외국과 국내에서 많은 사람으로부터 좋은 평을 받는 이유를 이제서야 잘 알 것 같습니다.

당분간 앰프 제작은 쉬어야할 것 같네요.

그리고 음악을 더욱 맛깔스럽게 들려주는 제커스,
정말 마음에 드네요.
특히 제가 만든 제커스라서 더욱 애착이 갑니다.

그동안 경험한 여러 헤드폰앰프 시스템 중에서 스탁스 오메가헤드폰 시스템 다음으로 마음에 듭니다.

헤드폰앰프를 자작하는데 도움주신, 여러분께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좋은 음악 많이 들으시고, 올해엔 더욱 행복하시길...
* 이복열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4-06-25 22:21)
  • ?
    황용근 2004.01.27 16:22
    좋은 부품 써서 잘 완성하셨네요^^
    방열판이 튀어나온 부분의 케이스 가공이 쫌 아쉽지만, 만져보고 느끼신다니 좋겠습니다.
    블렉게이트 용량이 얼마짜리 쓰셨는지 궁금합니다. 이동네 분들 말씀으로는 470짜리는 절판됬다고 하셔서...
  • ?
    이현모 2004.01.27 17:11
    관심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블랙게이트는 470uf/16V를 사용했고, www.dhtsound.com에서 일주일전에 구입하였습니다.
    한번 문의해보시면 어떨까요?
  • ?
    김도란 2004.01.27 19:26
    이쁩니다...소리도 참 좋을것 같네요..
    참!오리켑 리드가 빨간선과 파란선으로 되어있던데
    극성이 있는것인가요? dynamicaps는 결선에 따라 소리가
    다르다고 하네요...
  • ?
    황용근 2004.01.27 21:13
    470짜리 다시 들어온 모양이네요. 정보 감사합니다.
    그리고 오리캡 dht 왈 극성이 있답니다.
    용도에 따라 극성 연결법이 다르다 하는데 커플링시에는 흑색이 입력,
    적색이 출력이라 합니다.
  • ?
    임일환 2004.01.28 01:27
    좋은 소리를 찾으셨다니 축하드립니다.
    제커스가 제경우는 갈수록 소리가 좋아지더군요,
    에이징이 시간이 꾀걸리니 천천히 즐기시면^^
  • ?
    김도란 2004.01.28 10:10
    황용근님 답변 감사 드립니다...
    지금 보니 파란선이 아니고 검은선이네요...
    막귀에 막눈까지 되려나.....
  • ?
    김명섭 2012.05.22 02:10

    완성 축하드립니다.. ^^


  1. 마차속의 사트리

  2. 이것저것 다뺀 마이어 3.0버젼

  3. Temple of Zen 완성

  4. [re] 작업중 사진추가

  5. lm317 amp

  6. pairman

  7. 초보의 첫 cmoy 자작기..

  8. cha-10 입니다...

  9. 시모이와 메타42를 한통에 넣기2(2장더..)

  10. 시모이와 메타42를 한통에 넣기1

  11. Szekeres의 최종 완성품!!!

  12. 설 연휴에 만든 짜메 케이스

  13. PCY-Can V1 - Cute Can Type Meier

  14. <배선비교>첫 CMOY와 두번째 CMOY 배때기 비교.

  15. 점점 만드는게 속도가 붙는군요 ^^;

  16. 드디어 완성한 cmoy

  17. [re] 실비아 케이스 작업준비끝 (추가)

  18. diamond42 완성사진

  19. 짜메 에칭용 패턴도입니다.

  20. 함진영님 META42 완성 ;ㅁ;

Board Pagination Prev 1 ...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 132 Next
/ 132
CLOSE
373120 5941567/ 오늘어제 전체     994733 79223875/ 오늘어제 전체 페이지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