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님 자작품(member) - 헤드폰 앰프 관련 자작 게시판 입니다.
조회 수 2717 추천 수 0 댓글 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오랫만에 자극적인 제목입니다...^_^
새해가 된지 벌써 나흘이 지났네요... 이러다 아무 해놓은것 없이 어정쩡하게 연말을 맞이하게 될까봐 벌써부터 겁이 납니다.좀 극단적인가요??
요즘에는 뭔가 새로운것을 만들기 보다 이전에 만들었던것을 이리저리 만지작 거리며 지냅니다.
그러다가 이전에 공제했던 PPA_lite에 시선이 꽂혔네요...



PPA의 회로를 그대로 이식하면서도 SMD 부품을 이용하여 크기를 확~~ 줄였던 역작이었지요...
하지만 완성후 게인이 좀 크게 느껴져 부담되던 점. mV단위를 넘어 V 단위까지 검출되던 DC로 찬밥신세를 면치 못했습니다. 게다가 섣불리 건드렸다가는 동박이 일어나 복구 불능이 되기 쉽다는 점때문에 선듯 손이 가지 않았죠. 하지만 그대로 방치하는것은 직무유기(?)라는 반성끝에 케이스를 열었습니다.

일단 회로의 저항 시정수를 최대한 Tangent의 PPA원문과 일치하도록 수정했습니다. 아니 PPA보다는 PIMETA에 더 가깝다고 해야겠네요... 아뭏든 SMD저항 몇개를 새로 주문하느니 그냥 가지고 있던 부품을 활용하기 위해  부족한 실력에도 와이어링 신공을 펼쳤습니다.

PIMETA
PPA V1 회로도


먼저 pR3, pR14, pR24 의 1K를 원문대로 4.32K로 수정하기위해 칩저항 제거후 뒷면에 저항을 납땜해줬습니다.
입력 커플링 cap도 교체할까 하다가 적당한 것이 없어 그냥 뒀습니다.

  


게인을 바꾸기 위해서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pR11과 pR21의 저항값을 수정하는 것이지요. 마침 10p mica 와 병렬구성이라 대신 소켓처리가 가능했습니다. 즉 원래의 pR11과 pR21자리의 저항을 제거하고 마침 가지고 있던 22p의 SMD ceramic을 넣어주고 대신 mica 자리를 소켓처리하여 저항을 삽입하여 게인을 조정하는 겁니다. 원래 11정도의 게인을 위한 10K 대신 3K 저항을 이용하여 게인을 4정도로 낮췄습니다. 적당하네요...

  

게인조정에 대한 tangent의 원문입니다.

Electronics Calculators



싱글오피두개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버퍼부는 그냥 하나의 BUF634만을 사용하도록 하고 기판 뒷면에 1-4번 핀사이를 220옴의 저항으로 연결시켜 bandwidth를 향상시켰습니다. 200옴 이하는 오히려 distortion을 증가시킨다는군요...  그리고 두개의 붉은 점퍼선은 각 채널의 그라운드를 서로 연결해준것입니다. 각 채널의 전원을 독립된 TLE2426을 이용하여 각각 공급하도록 설계되어 채널간의 그라운드도 분리되어있었습니다. 이것이 DC offset이 커지는 원인이었는지는 모르지만 아뭏든 각 채널의 그라운드를 공유해주니 최종 DC가 1mv 이하로 안정되었습니다.




그리고 사진 몇장....






COSDAC과의 연결상태입니다. 색깔이 같았더라면 잘 어울렸을텐데하는 아쉬움이 조금....~
부품통 구석에 있던 단자들과 카나레 선재를 이용해 급조된 케이블로 연결해봤습니다.



결과는 아주 만족스럽습니다.
저처럼 이녀석을 장식용으로만 보관하시던 분에 계시다면 여러가지로 한번 시도해보시길...

자...이제... 뭘 또 가지고 놀까요....???
  • ?
    김도란 2007.01.05 07:40
    수렁에서 건진 내딸 .. 오랫만에 들어 보네요...
    잘만드셨네요...
  • ?
    장영준 2007.01.05 09:04
    오호~~ 저도 김준범님과 같은 이유로 사용하지 않고 책상 서랍 구석에 넣어 뒀습니다..
    꺼내서 손보고 싶은데...따라쟁이 신세라... ㅠㅠ..
    염치없지만 나중에 개조할때 조언 부탁드립니다..
    사진 멋지네요..
  • ?
    박찬영 2007.01.05 23:00
    와이어링 멋집니다!!

    저도 높은 게인보다는 약간 낮은 게인값을 좋아하는지라 준범님의 심정이 어떨지 좀 이해가 됩니다.^^
    DC도 1mv 이하로 안정화되었다니 만족감이 더 크겠습니다.
  • ?
    지승배 2007.01.05 23:18
    저도 자극적(?)인 제목에 놀라 열어봤는데, 자작하시는 분이라면 누구나 공감하게 되는 일을 하셨네요 ^^
    DC 도 잡으시고 이제 막족감을 찾으셨다니 축하드립니다.
    이 글로 많은 딸들이 수렁에서 건져질듯하네요 ^^
  • ?
    장영준 2007.01.06 00:47
    저도 지금 막 수렁에서 건져 봤습니다.. ㅋㅋ..
    전 왼쪽은 0V 오른쪽은 1.9mV 나오네요..
    단계별로 직류를 측정해봤는데 전 그라운드부터 작업했습니다..
    해보니까 김준범님은 어떻게 저 작은 곳에 땜을 했는지 신기하네요..
    전 하다하다 납이 안붙어서 넓은면 패턴 긁어서 이었습니다...
    전 직류가 70mV 정도 나왔었는데 작업하니까 10mV정도 떨어져서 60mV정도 나왔습니다..
    다음은 게인 조정하니까 또 10mV정도 떨어지고요..
    최종적으로 bandwidth용 저항을 연결하니까 직류가 확 떨어졌습니다..
    아무래도 싱글 오피를 버퍼로 사용한것과 관련있는 것 같습니다..
    개조하실분 참고하셨으면 합니다. 저와 다른 결과가 나오면 알려주시면. 감사...ㅎㅎㅎ
    지금 CM7Ti로 박정현 노래 듣고 있는데 너무 좋네요....
    지금은 졸려서 내일 헤드폰들하고 연결해봐야겠습니다..
    즐음.........하세요.......^_^......김준범님.. 감사합니다...
  • ?
    김준범 2007.01.06 08:36
    도란님, 찬영님, 승배님 말씀감사합니다.
    영준님 결과가 좋은것 같아 다행이네요...사실 DC offset이 워낙 변수가 많다 보니 정확한
    원인을 알고 수정하기가 어렵더군요...저같은 경우도 그냥 소 뒷걸음치다 쥐잡은 격이라고
    생각합니다. 전 처음부터 버퍼를 BUF634를 이용했는데도 심했거든요...
  • ?
    이영도 2007.01.06 09:50
    준범님 덕분에 많은 딸들이 수렁에서 건져질것 같습니다.
    좋은 일하시는 거에요. ^^
  • ?
    김광민 2007.01.15 03:03
    멋져요..-ㅅ-;;

  1. tda1308미니헤드폰앰프

  2. CMOY 자작

  3. YAHA 12AU7 BUF634 배선도 대충버전

  4. YAHA_6922 PCB제작 중...

  5. 4780 카용 앰프...!

  6. YAHA 6DJ8/6922 대충 케이스

  7. cmoy 만들어봤습니다.

  8. 처음 만들어 본 Tomo szekeres & Cha 47

  9. 마이어 3.0 만들기

  10. 수렁에서 건진 내딸....(PPA_Lite) ^^!

  11. 짜라(복각RA-1) 만들어 봤습니다.

  12. 간단한 Headphone Amp

  13. Alien DAC

  14. YAHA 12AU7 배선도 대충버전

  15. 2.2채널 스피커, 앰프

  16. YAHA 6DJ8/6922 배선도 대충버전

  17. 알레프 헤드폰 앰프 (Aleph Headphoneamp) & 이벤트

  18. [re] 알레프 헤드폰 앰프 (Aleph Headphoneamp)

  19. Cmoy 자작

  20. Cosdac v2?

Board Pagination Prev 1 ...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 132 Next
/ 132
CLOSE
287120 5941481/ 오늘어제 전체     641733 79223522/ 오늘어제 전체 페이지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