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free) - 헤드폰 앰프에 대한 자유 게시판 (정치,경제,문화,개인 사생활 ....등은 삭제 조치사항입니다.)
조회 수 3371 추천 수 0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반도체 열나는 걸 끔직히 싫어라 해서 제대로 해봅니다.

1506은 어재 철재형태로 된 3506으로 바꿨지만 상판과 밀착 시키지 못하니 열이 엄청났었죠.

용산 동신에 들러 1cm 스페이서를 1개만 필요하지만 몇개 샀습니다.  

사진 처럼 대충 고정 시켰습니다.

DSCN2216.jpg

철로 된 걸 짧게 잘라 3506을 누르는 형태로 상판과 단단히 방열하는 형태입니다.

1시간 넘게 듣는 데 아주 약간 미지근한 정도 입니다. 성공이죠.


전체 바닥 사진입니다.

DSCN2217.jpg

초단 플레이트에 27k에 1k  를 직렬 연결하고 그 지점을 10u/315v를 달았습니다.

기본 회로와는 약간 동작점이 다른 듯 합니다.

e88cc 진공관 을 테스트 해보니 원 회로도와 약간 동작점이 다른 것 같았습니다.

6922_MJ_2.jpg


쵸크는 기판과 기판사이를 연결하는 형태로 하면서 양쪽에 역시  10u/315v를 양쪽에 달았습니다.

10h쵸크 전압 강하는 5v 정도입니다.


  • ?
    엄수호 2015.07.23 18:37

    며칠 들어보고 초단을 12AU7  이나 오스람 ECC82로 바꿔서 테스트 해봐야 겠습니다.

  • ?
    최재영(cjy625) 2015.07.24 13:54

    협소한 공간에 여러 실험을 하시니 분명 능력자이십니다.

    존경합니다 잘 봤습니다.

  • ?
    권오경(photo66) 2015.07.24 15:41

    반도체 전원부만으로 구성된 전원을 오실로스코프로 측정해 보시고  쵸크를 추가한 후의 

    전원도 오실로스코프로 측정해 비교해 보시길 바랍니다. 그냥 귀로는 비교하기  뭐합니다.

    파형을 직접 보고 나시면 그 차이를 아시게 될것 입니다.  

    하지만  쵸크코일로 이루어진 평활 전원은 긴시간을 디지탈 오실로스코프로 보셔야 정확히

    차이를 비교해 아실수 있을 것입니다. 

    쵸크 평활 전원은 피크성 노이즈나 간혈적인 노이즈는작지만 일렁이는 완만한 리플이 좀 큽니다.

    전압 안정이 완벽하진 않치요.  번도체 평활 전원은 전압을 거의 수평 라인으로 고정 되지만 

    피크성 노이즈나  반복적인 발잔형   노이즈가  있씁니다.  이것은 교류 신호 10mV div 레벨 정도로 

    체크하시면 확실하게 보실수 있씁니다.   


    그러니 반도체 전원회로 다음에  쵸크를 달면 전압은 수평선,  피크와 발진성 노이즈는 쵸크로 걸러지게 됩니다.

    앞서의 결과들과는 비교되는 거의 수평선에 가까운  전압 파형을 볼수 있을겁니다. 물론 이때도 10mV 감도

    에서 오실로스코프로 보면 제경우  P-P 10mV 까지로  최소화  할수 있었씁니다. ( 진공관 프리 앰프용 전원)




  • ?
    하스팡 2015.07.24 15:41
    축하합니다. 권오경님은 하스팡 10포인트에 당첨되셨습니다.^0^
  • ?
    전석민 2015.07.25 11:30

    나중에 기회가 된다면 모여서 비교청취해보고 교류하는 자리가 있었으면 좋겠네요 신세계가 느껴질듯 ㅋ


List of Articles
번호 이름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최근 수정일 최종 글 아이디 추천 수
173 김상록 길모어 부품관련.. 12 김상록 2012.06.25 1911 2012.06.27 2012.06.27(by 정연규) ksr0757 1
172 김상록 마지막 헛질.. 6 file 김상록 2012.06.29 2594 2012.06.30 2012.06.30(by 정연규) ksr0757 1
171 홍경의 하데스 오리지널 앰프, OD-A, KUMISA3 ㅎㅎㅎ 9 file 홍경의 2012.07.02 3041 2012.07.03 2012.07.03(by 이길범) monoflame 1
170 이학신 청력을 실험해 보세요 18 64 이학신 2012.07.03 3119 2014.01.12 2014.01.12(by 남민희) acefrog 1
169 김상록 관심을 가지고 만들고 있는앰프 19 file 김상록 2012.07.03 4464 2012.07.04 2012.07.04(by 허형기) ksr0757 1
168 박경서 Before........ After 9 file 박경서 2013.02.02 2306 2013.02.03 2013.02.03(by 박경서) supersubak 1
167 전일도 KICAD 삽질보고 올립니다 ^^;;; 15 100 file 전일도 2012.07.12 6357 2012.07.12 2012.07.12(by 전일도) ryanjun 1
166 이길범 헤드폰 보호회로에서 트러블슈팅 관련 한가지... 5 1 이길범 2012.07.12 2369 2012.07.12 2012.07.12(by 김상록) marzio 1
165 전일도 KICAD - PCBNEW로 거버파일까지 출력했네요 8 59 file 전일도 2012.07.16 6048 2012.07.18 2012.07.18(by 전일도) ryanjun 1
164 김나라 유튜브의 음질문제 4 김나라 2013.03.31 6650 2013.04.02 2013.04.02(by 김재용(lovefalls)) minipole 1
163 전일도 22.5792MHz TCXO 입수.. 8 1 file 전일도 2012.08.22 3137 2012.08.28 2012.08.28(by 하스팡) ryanjun 1
162 이진혁 F6 18 67 file 이진혁(leejh) 2012.11.14 4160 2012.11.15 2012.11.15(by 이진혁(leejh)) leejh 1
161 송길섭 하데스[HADES] 대작신청 완료 9 39 송길섭 2012.11.15 2942 2012.11.19 2012.11.19(by 최재영(cjy625)) gen39 1
160 최성남 Combo 384를 위한 PCM5102A 의 소리를 들었습니다. 9 file 최성남 2013.04.19 5635 2013.04.23 2013.04.23(by 하스팡) semter 1
159 이복열 현재 계획중인 단전원 입니다.(션트방식) 5 6 file 이복열 2013.04.20 3578 2013.04.24 2013.04.24(by 다이고로) zerosoft 1
158 최성남 PCM5102x 와 비교할 ES9023을 만들어 봤습니다(1/2) 3 1 file 최성남 2013.04.28 4344 2013.04.29 2013.04.29(by 김병진(kimbj123)) semter 1
157 엄수호 하데스 케이스 가지고 계신 분 중 광/콕셜입력 자리가 비어서 허전하신 분은 엄수호 2013.05.21 2360 2013.05.21   cl1992 1
156 박경서 친구 따라 미국(?)간 길모어^^ㅋ 3 file 박경서 2013.06.07 2715 2013.06.28 2013.06.28(by 박경서) supersubak 1
155 김도익 USB 현미경으로 반도체 Die 사진 촬영해 보았습니다. 13 file 김도익 2013.06.16 4256 2013.06.22 2013.06.22(by 박문서) kimdoik 1
154 엄수호 ES9023 조립 후 작동 안될 때 2 엄수호 2013.06.25 13127 2013.06.30 2013.06.30(by 박경서) cl1992 1
Board Pagination Prev 1 ...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Next
/ 355
CLOSE
74111 5941148/ 오늘어제 전체     463387 79222611/ 오늘어제 전체 페이지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