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미사 입력 JFET 부품별 특성차.

by 이길범 posted Aug 05, 20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Case A : 2N5458/2N5461
Case B : 2SK246/2SJ103
Case C : 2SK170/2SJ74

A는 하스 공제 부품, B는 페달 부품팩, C는 CK2적용부품 이렇습니다. 다른 조건은 CK2 오리지널과 동일 부품구성인 페달기판 기준입니다.

출력레벨 (Case A를 1로 봤을 때 B, C의 상대적 레벨)
1:1.06:1.28

Noise Floor (유의수준차라고 보기는 어렵지만)
Case A < Case B = Case C

THD (수치와 스펙트럼상 하모닉스 확인)
Case A < Case B < Case C

특히 THD가 0.01% 이하를 유지하는 출력레벨 구간이 Case C가 더 넓어서 더 좋은 THD조건으로 청음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음.

출력레벨 RMS 300mV 수준에서 세가지 모두 최고의 THD성능을 보이는데 A가 0.007x%, B가 0.006x%, C가 0.0058수준을 보였습니다.

출력단 BIAS 레벨은 14mV 수준으로 맞춘 조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