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free) - 헤드폰 앰프에 대한 자유 게시판 (정치,경제,문화,개인 사생활 ....등은 삭제 조치사항입니다.)
조회 수 2882 추천 수 0 댓글 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예전에 이런 테스트를 했었습니다.

http://www.has.pe.kr/bbs/zboard.php?id=info_info&no=403

OPAMP별로 CMOY에서 출력 DC가 얼마나 나오는지 테스트한 것인데, 단 여섯 종류 밖에 테스트해보지 못했다는 게 아쉬운 점이었죠.

그래서 PSpice로 시뮬레이션해봤습니다.



시뮬레이션한 회로는 위와 같고, 기존의 출력 DC 테스트와 다른 것은 증폭률이 11이라는 점입니다. (이전에는 3.13)
증폭률을 올린 건, 별 이유는 없고 일종의 경각심(...)을 심어드리기 위해서인데, 이런 상황에서는 어떤 OPAMP의 경우 약 1V까지 출력 DC가 검출됩니다. 그런 상황에서 헤드폰 물려보면 신나는 불꽃놀이를 볼 수 있겠군요-_-
사실 11의 증폭률은 CMOY 원 회로에서 제시하고 있는 증폭률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11로 정한 것이기도 하고요.

또한 위의 회로는 완벽히 '이상적인' 양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황이므로, 아래 보여드릴 결과는 전원부 회로의 영향과는 전혀 무관합니다.
또한 이상적인 0V 입력이 이뤄지고 있고, 입력단에 1uF짜리 콘덴서도 위치하고 있으므로 입력되는 DC 탓도 아닙니다.
전적으로 앰프 회로에서 발생하는, 특히 OPAMP에서 기인하는 출력 DC인 것이죠.

사전 설명은 이 정도로 하고 테스트 결과를 보여드리겠습니다.



[Result]

Bipolar Input OPAMP

NE5532 : 498.187nA, -542.802mV
NJM5532 : 200.033nA, -205.764mV
RC4558 : -139.570nA, 151.991mV
RC4559 : -39.864nA, 43.413mV
NJM4556A : -50.130nA, 45.852mV
NJM4580 : -99.661nA, 65.918mV
LM6171A : 1.0069uA, -1.0804V
LME49860 : 10.000nA, -11.942mV
LM833 : -300.010nA, 326.929mV
MC33078 : -300.010nA, 326.929mV
AD8397 : 1.3000uA, -1.4557V
OP27GP : 79.991nA, -127.714mV


FET Input OPAMP

TL072 : 39.503pA, 78.106uV
TLE2072 : 23.065pA, -25.209uV
OPA132 : 9.523pA, 45.311uV
OPA134 : 9.523pA, 45.311uV
OPA604 : 34.402pA, 28.552uV
OPA627 : 9.842pA, -6.8343uV
LF353(TI) : 34.030pA, -16.107uV
LF353(NS) : 58.005pA, 54.958mV
LF356(NS) : 38.003pA, 32.960mV
LF412 : 58.446pA, 10.964mV
AD823an : -6.3600pA, 2.2064mV
AD8620 : 35.500pA, 1.5886mV

각 OPAMP의 결과는 시뮬레이션에서 측정된 Input Bias Current, 출력 DC 순으로 적혀 있습니다. 중간중간에 다른 단위로 적힌 값이 나오니 단위에 주의하시고요.
또한 시뮬레이션에서 측정된 Input Bias Current는 데이터시트에 적힌 값과는 좀 차이가 있습니다.

아마 왜 Input Bias Current를 적었는지 궁금하실 분들이 계실텐데, 이는 출력되는 DC가 바로 Input Bias Current에 의해서 유발되기 때문입니다.
위의 결과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Bipolar 타입에서 Input Bias Current는 대체로 높은 편이고, FET 타입에서는 반대로 낮은 편이지요. 출력 DC 역시 같은 경향성을 보입니다.

다음 그래프는 Input Bias Current와 출력 DC의 상관관계를 보여줍니다.



가로 축은 Input Bias Current로 되어 있고, 세로 축은 출력 DC입니다. 각각 단위는 nA(nano-ampere), mV(milli-volt)로 되어 있습니다.
참고로 세로 축은 로그 스케일로 나타냈습니다. 그 편이 보기 편한듯 해서요.

대체적으로 Input Bias Current가 높아질 수록 출력 DC도 높아집니다.
다만 중간중간 좀 '튀는' 부분들이 있는데 특히 FET Input OPAMP에서 심하죠. (가로 축에서 0.058 왼쪽 부분입니다.)
이는 Input Offset Voltage가 반영되어서 그렇습니다. Input Offset Voltage는 OPAMP가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Offset으로 출력 DC를 유발하는 또하나의 요인입니다.
FET 타입에서는 Input Bias Current가 매우 작아 그로 인한 출력 DC가 매우 작습니다. 높아봐야 수십 uV대로 0.5mV도 채 안 되는 값입니다. 따라서 Input Offset Voltage의 영향이 커지게 되는 거죠.

LF353이나 LF356 같은 경우는 Input Offset Voltage가 3mV~5mV 정도로 큰 편이라 FET 타입임에도 출력 DC가 30mV~50mV 가량으로 크게 측정되었습니다.
그럼 역으로 uV대로 출력 DC가 측정된 OPAMP는 '매우 Input Offset Voltage가 작은 게 아닌가?'하실지도 모르겠는데 그건 아닙니다. 이들 OPAMP는 시뮬레이션 모델에 Input Offset Voltage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거든요. 따라서 결과에 Input Offset Voltage로 인한 출력 DC가 반영되지 않습니다.
모델에 정상적으로 Input Offset Voltage가 반영되었다면 어떤 OPAMP는 수mV 정도의 출력 DC는 검출되어야 맞습니다. AD8620처럼요.

(전부 TI나 BB의 OPAMP에서만 uV대로 출력 DC가 측정되는데 다시 말하면 TI에서 PSpice 모델을 좀 대충 만들었다는 소리입니다-_- 그렇다고 TI의 모델들이 잘못되었다는 이야기는 아니고, Input Offset Voltage가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본 거겠지요. 쩝...)

또한 로그 스케일로 그려져서 차이가 뚜렷하게 안 나타나서 그렇지 Input Bias Current가 약 1uA(=1000nA) 정도 되는 지점에선 약 1V(=1000mV!!) 정도의 출력 DC를 가리키고 있습니다. 범인은 바로 LM6171과 AD8397인데, 다시 말하면 LM6171과 AD8397을 CMOY 원 회로에 끼웠다간 헤드폰으로 신나는 불꽃놀이-_-를 볼 수 있단 이야기입니다. 성능은 좋습니다만 매우 주의해서 써야 할 OPAMP들입니다.

"그럼 이렇게 Input Bias Current가 높은 OPAMP는 사용할 수 없는 건가?"하실텐데 방법이야 당연히 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Jan Meier가 LM6171을 Corda 앰프에 사용하지 않았겠죠.

자세한 내용은 저의 다음 글에 소개되어 있습니다.

http://www.has.pe.kr/bbs/zboard.php?id=info_info&no=401

다만 글이 좀 읽기 어렵게 쓰여 있어서 좀 죄송스럽습니다. ㅠㅠ 언제 한번 손을 대서 좀 읽기 편하게 고치도록 해야죠.

  • ?
    박가람 2011.05.24 14:28
    자..잘못하면 스피커도 울려버릴 기세..
  • ?
    이길범 2011.05.24 14:41
    R1값을 R3//R4에 맞춰서 910옴으로 바꾼 시뮬레이션 결과가 궁금해 집니다. Bi-Polar 입력의 경우 이거 안맞추면 DC옵셋 영향이 크다고 알고 있어서요.
  • ?
    박용민 2011.05.24 14:56
    이길범 님 // 이론적으로는 Input Offset Voltage만 증폭되서 나타날 겁니다.
    간단히 LM6171A로 시뮬레이션해보니,
    R1을 비반전 입력 저항, R3를 반전 입력 저항, R4를 피드백 저항이라고 한다면,

    R1=100K, R3=150K, R4=300K일 때, 약 0.27mV가 뜹니다.
    R1=100K, R3=110K, R4=1.1M일 때, 약 0.98mV가 뜨는군요.
  • ?
    이길범 2011.05.24 15:08
    앞에서, R3//R4=R1을 안맞춘 조건에서 -1.08V가 떴는데 R1=100K=R3//R4 조건에서 under 1mV라면
    역시 R1=R3//R4를 안맞춘 조건에서 1000배 넘는 offset차이를 보인다고 보는 것이 맞는 건가요?

    시뮬레이션 상에서도 엄청난 차이를 보이네요.
  • ?
    박용민 2011.05.24 15:16
    이길범님 // AD8397의 경우 각각 18mV, 66mV 정도가 뜨네요. 이 경우는 임피던스 밸런스 맞춰도 별 소용이 없고, 그냥 입력 임피던스 자체를 작게 하는 편이 낫겠군요. 뭐 애초에 그 편이 더 좋은 해결책이긴 합니다만.. (Corda 앰프가 입력 임피던스를 작게 하는 방식으로 LM6171의 출력 Offset을 컨트롤하죠.)
  • ?
    박용민 2011.05.24 15:17
    제가 R3와 R4를 바꿔 썼군요 ㅠ 정정합니다.

    이길범님 // NJM5532의 경우 실제 측정으로 확인했습니다.
    R1=100K, R3=10K, R4=4.7K인 상황에서 약 60mV 가량의 출력 DC가 나왔었는데,
    R1=100K, R3=510K, R4=120K인 상황에서 약 3mV 가량으로 출력 DC가 뚝 떨어졌습니다.

    대신 입력 임피던스가 높아진 탓에 주변 노이즈에 취약해지더군요. 결국 차후에 Bipolar로 앰프 만들 게 되면 그냥 커플링 콘덴서 떼어버려서 입력 임피던스를 낮추는 방향으로 가기로 했습니다.
  • ?
    이길범 2011.05.24 15:19
    아무래도 임피던스 낮아지더라도 offset제어가 가능하다면 커플링 없애고 그렇게 맞추는 것이 좋을겁니다.

    기성품 TOPAZ의 경우도 PCM1792에 OPA604로 I-V Converting하고 OPA827로 Buffer & LPF를 거쳐서 OPA2134로 Headphone구동하도록 되어 있는데, offset이 충분이 낮다 판단되어 (수mV 최종단 확인) 1차로 출력 커플링 쇼트시켜 버리고 써봤는데 괜찮았습니다. 다음에 건드릴 곳중 하나가 OPA827 -> OPA2134로 넘어가는 0.47uF WIMA 커플링인데, FR에서 20Hz에서 -0.5dB roll-off의 원인이 이것으로 생각됩니다.

    12kHz부터 high쪽으로 roll-off는 OPA604 피드백단에 병렬로 붙은 cap이나 OPA827단의 LPF 시정수 때문으로 생각되는데, 현재 붙어있는 CAP값을 모르니 (MLCC) 시험을 좀 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현재 OPA2134쪽 회로는 완전히 분석되었는데, +에서 GND간 저항값이 피드백단 병렬값과 매칭이 안되어 있는 상황이라 bi-polar로 바꾸는 경우는 심각해 질 수 있겠네요.
  • ?
    박용민 2011.05.24 15:40
    이길범 님 // OPAMP의 입력단으로 바이어싱되는 전류가 저항들을 지나가면서 전압을 만드는데, 그게 OPAMP에 차등입력되어서 DC가 출력되는 원리라서요.

    그래서 저항값들이 매우 작으면 매칭이 굳이 안 되어도 출력되는 DC가 그리 커지지 않죠.
    반대로 저항값들이 매우 크다면 매칭이 되어 있다 하더라도 출력되는 DC는 충분히 클 수 있습니다. 더불어서 저항값이 커지면 커질 수록 저항값의 절대오차도 커지죠.

    그게 커플링 콘덴서를 떼려는 이유입니다. 그러면 R1=100K, R4=10K, R4=1K인 상황에서도 충분히 출력 DC가 작아질 수 있죠.
    포텐셔미터와 OPAMP가 DC-couple되어 있으니, 포텐셔미터로도 바이어스 전류가 흘러가고, 결국 포텐셔미터와 R1을 병렬연결한 게, 기존 R1 값에 해당됩니다.
    이 때 OPAMP에 차등입력되는 DC 전압은 저항값이 작으므로 밸런스가 안 맞아도 매우 작아집니다. 결국 출력 DC도 작아지죠.

    Jan Meier의 Corda 앰프가 이런 방식의 설계인 걸로 알고 있습니다.

  • ?
    이길범 2011.05.24 15:51
    네...

    R2가 포텐셔미터라고 가정하고 본다면, 위에서 제시하신 회로에서 커플링만 떼면 max volume에서 매칭이 일어나고, 낮추면 Ri가 Rf병렬치보다 작아지긴 하지만 전체적으로 저항치가 낮아서 크게 문제가 되어 보이진 않네요.

    역시 시뮬레이션을 미리 해보고 시정수 결정하는 것이 사고를 미리 예방하는 효과가 큰 것 같습니다...^^
  • ?
    이길범 2011.05.24 15:52
    여튼, 저는 TOPAZ를 최종적으로 어떻게 손댈지 고민을 좀 더 해봐야겠습니다.

    현재 붙어있는 OP-AMP는 모두 J-FET입력이라 DC Offset에서는 비교적 자유로우니 OP-AMP를
    건들지 않고 해보는데까지 해보고, 3차는 2차 결과를 보고 다시 생각해야겠습니다.

    DC Offset의 위험성을 다시 일깨워줘서 감사드립니다...
  • ?
    윤성훈 2011.05.25 16:43
    다들 전문가네요 확실히..ㅋㅋ

  1. No Image

    OPAMP별 출력 DC 시뮬레이션

    예전에 이런 테스트를 했었습니다. http://www.has.pe.kr/bbs/zboard.php?id=info_info&no=403 OPAMP별로 CMOY에서 출력 DC가 얼마나 나오는지 테스트한 것인데, 단 여섯 종류 밖에 테스트해보지 못했다는 게 아쉬운 점이었죠. 그래서 PSpice로 시뮬레이션해봤...
    Date2011.05.24 By박용민 Views2882 Votes0
    Read More
  2. 피메타 PCB 수정 완료.

    PCB사이즈 57(mm) x 80(mm)로 수정되었습니다. 당근찡을 욕하면서 열심히 했습니다. FMC전자에 물어보니 양산은 안받아주네요. -_-... 한샘에 해야하는데 그러면.. 잉크를 하고 싶은데 ㅜ_____ㅜ 대략 택배비 포함 5장에 15,000원으로 하는게 좋겠네요.
    Date2011.05.24 By박가람 Views1256 Votes0
    Read More
  3. 부품 구입해두고 만들 시간이 없어요 ㅠㅠ

    신정섭님 글 보고, CMOY 부품을 구입해두고... 한 달이 다 되어 가는데... 만들어 보지도 못하고 있네요 ㅠㅠ 게다가 공제는 진행되고... 아웅 안달이 난다능..
    Date2011.05.24 By홍경의 Views1257 Votes0
    Read More
  4. No Image

    MHHA 관련 질문

    현재 이정석님께서 MHHA 공제 진행중이신데요...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갖고 계신거 같습니다. 진공관 헤드폰앰프 솔직히 많이 땡기는데요... 쿠미사랑 비교했을때 어떤가요? (쿠미사를 만들어야 해서..ㅋㅋ) 제작해 보신분과 사용해 보신분들 평가좀 부탁드립니...
    Date2011.05.24 By황인용 Views1199 Votes1
    Read More
  5. No Image

    소리와 전자에 관한 질문 있습니다.

    소리의 세기(=음량?) 를 수치(전압)로 환산하려 합니다. 레벨미터나 스펙트럼에 응용할 목적이예요. 전압이라는 것은 쉽게 디지털적인 수치로 변환을 할 수 있는데요. (프로세서가 허용하는 타이밍 내에서...) 소리에 관해 조금 접하다보니 dB 단위를 쓰던데, ...
    Date2011.05.24 By김영일 Views1383 Votes0
    Read More
  6. No Image

    신정섭님은 참 대단 하신 것 같습니다.

    처음 cmoy를 시작으로 소개된 앰프들이 거의 10-7년 정도 된 것 같은데 국내에 소개를 참 잘해주신 것 같고 또한 쉽게 자작 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해 놓으신 것 같네요.. 지금도 그 것을 보고 자작을 하는 것 을 보면요..^^ 지금은 다른 취미(?)를 하시면서 자...
    Date2011.05.23 By윤성훈 Views1304 Votes0
    Read More
  7. No Image

    혹시 express pcb사용하시는 분 계신가요?

    사용하시는 분 중에 component에 추가할 수 있는 자료들이 있는지 알 수가 없어서요.. 라이브러리에 있는 것들은 부족한 부분들이 있어서..
    Date2011.05.23 By윤성훈 Views1376 Votes0
    Read More
  8. 변환 기판 다시 제작합니다

    그간 일이 바빠서 뒤로 미뤄두다 체크 했습니다 배송 전 당연하게 생각하고 넘어갔는데 지금 체크해보니 헤더핀이 뻑뻑하게 들어갑니다 이 상태로는 변환 기판을 편한 마음에 쓸 수 없을 것 같습니다 PCB를 다시 제작하는데 일주일 정도 소요됩니다 헤더핀을 ...
    Date2011.05.23 By이정석 Views1162 Votes0
    Read More
  9. 피메타는 내일 시작할려고 합니다[하루 연기]

    업로드 용량때문에 글이 다 날라가서 새로 씁니다 ㅠ___ㅠ 1. PCB 는 사이즈가 말해드린것처럼 58(mm) x 86(mm)입니다. 이번에 한샘디지텍말고 FMC전자로 해볼려고합니다. 부가세에 대한 압박과 가격적으로 FMC가 나을것같습니다. 잉크는 흰색, 화학금도금까...
    Date2011.05.23 By박가람 Views1327 Votes0
    Read More
  10. No Image

    USB DAC 만드신 분들 혹은 계획중인분들..측정해보신분들 문의 드립니다.

    USB DAC 만드실때 USB isolate 회로를 추가를 하시나요? 몇가지 DAC를 써봤는데, 노이즈가 있는것 같아서 isolator 가 필요할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었는데, 이번에 만들어볼까 생각중에 있어서... 이게 된다면 isolator + dac + TPA앰프 면 헤드폰앰프는 그냥 ...
    Date2011.05.23 By김병진 Views1576 Votes0
    Read More
  11. No Image

    피메타(PIMETA) 공구 관련

    대략 사이즈는 58 x 86의 PCB사이즈로 만들긴 했습니다. 선정리등 조금더 하고 나서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저번과 같이 양산형으로 할것이며, 신청인원에 따라 수량이 줄어들고 가격또한 줄어듭니다. 장당 2-3천원이하로 생각하시면 될것입니다. 물론 금도금...
    Date2011.05.23 By박가람 Views1148 Votes0
    Read More
  12. No Image

    MHHA 공제 시작 합니다

    http://www.has.pe.kr/bbs/zboard.php?id=buy_make&no=327 보시고 추가할 점이 있거나 수정할 부분이 있으면 리플 달아주시면 의견을 수렴해서 공제 마감 전까지 수정을 하겠습니다 마감은 5월 31일 자정까지입니다
    Date2011.05.23 By이정석 Views1217 Votes0
    Read More
  13. No Image

    해외 포럼에서 싸움 붙었군요

    http://nwavguy.blogspot.com/2011/05/amb-mini3-diy-headphone-amp.html http://nwavguy.blogspot.com/2011/05/virtual-grounds-3-channel-amps.html http://www.diyaudio.com/forums/headphones/188983-3-channel-headphone-amps-virtual-grounds.html http:...
    Date2011.05.22 By박용민 Views1342 Votes0
    Read More
  14. No Image

    KUMISA를 위한 USB DAC은 없습니다

    하스에서 진행한 KUMISA 공제는 끝났습니다 KUMISA 케이스에 내장되는 DAC PCB는 제작되지 않습니다 PCM2704를 이용한 USB DAC은 MHHA 공제가 진행된 이후에 진행하겠습니다 USB DAC은 애초부터 2만원 미만에 만들어보자는 취지로 시작했기 때문에 그 이상의 ...
    Date2011.05.22 By이정석 Views1379 Votes0
    Read More
  15. No Image

    형광등 교체하고 나니 정말 좋군요

    뭐 다들 그러하시겠지만 평소 주광색 형광등을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 푸른끼도는 창백한 빛이 불편해서 계속 바꿔보려고 생각했었는데, 이게 환형 형광등이라 주광색 말고는 구하기가 힘들더군요. 그래서 컴팩트 형광등용 안정기 사다가 달아주고, ...
    Date2011.05.22 By박용민 Views1938 Votes0
    Read More
  16. 끝판왕의 길은 멀고도 험하다. (Aikido Headphone Amp 제작중)

    지난 겨울부터 만들어오다가 테스터기로 쇼트검사하다가 0옴이 나와서 잠시 접어두었던 aikido headphone amp에 불을 지폈습니다. 쇼트가 난 부분을 찾았는데, 바이패스용 필름캐패시터를 땜질해놓은 곳의 바로 밑부분이 쵸크트랜스포머에 닿아 있어서 방열시...
    Date2011.05.21 By배종선 Views1484 Votes0
    Read More
  17. No Image

    이제야 DAC 생각이 나는데 무식해서...

    DAC에 대해서는 무념무상으로 살았는데, 이번에 노트북을 새로이 구입하게 되면서 휴대가 가능한 USB DAC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문제는 DAC에 대해서 너무 무식하다는거... 대충 생각한 것은 간단한 회로의 DAC을 구성하고 출력단에 헤드폰 앰프를 추...
    Date2011.05.21 By정원경 Views1188 Votes0
    Read More
  18. 좋은 선물 받았네요.ㅋ

    아시는 분이 자작하는거 좋아한다고 했더니 이걸 선물로 주셨네요.ㅋㅋ (그분 드릴을 좀 오래 썼더니;;;;;ㅠ) 아무튼 구멍내는 거 걱정없이 할 수 있게 되었네요.. 에칭구멍도 그렇구..ㅋㅋ
    Date2011.05.20 By윤성훈 Views1172 Votes0
    Read More
  19. No Image

    저도 PIMETA 의견을 받습니다.[보류]

    피메타 v2를 생각중입니다. 이번 것은 아예 거치형으로 해볼까 생각중입니다. 그래서 여러 잡다한 기능을 생각해보고는 있습니다. Gain 조정 기능이나 베이스 부스터. 트레블 부스터. 부품같은 경우에는 제가 전부 같이 공구를 해드릴 용의가 있습니다. 물론 ...
    Date2011.05.18 By박가람 Views1354 Votes0
    Read More
  20. No Image

    MHHA 공제에 대한 의견 수렴 글

    4월에 진행한다고 해 놓고 너무 늦었습니다 컴퓨터 복구가 아직까지 정상적이지 않습니다 소프트웨어/하드웨어 오류가 있는 것 같아서 현재 OS를 3번째 설치해서 사용하고 있는 중이라 완전한 몰입을 못 하고 있습니다 하필 EDA 프로그램에서 에러가 나서 골치...
    Date2011.05.18 By이정석 Views1994 Votes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 355 Next
/ 355
CLOSE
91136 5941054/ 오늘어제 전체     308629 79222069/ 오늘어제 전체 페이지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