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free) - 헤드폰 앰프에 대한 자유 게시판 (정치,경제,문화,개인 사생활 ....등은 삭제 조치사항입니다.)
조회 수 1516 추천 수 0 댓글 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보통 일렉기타 같은 경우 공연을 할때 기타랑 직결하면 소리가 깨져서 못쓰고,
앰프를 연결한 뒤 그 앰프에 마이크를 놓고 소리를 녹음한다고 들었습니다.

이해가 잘 안되네요 ㅠㅠ
그러면 음질 면에서 열화가 심할 텐데......

하스 회원님 분들은 어떻게 생각 하시나요??
  • ?
    정연규 2011.05.31 19:25
    글쎄요.... 바로 쓰던데요....;;
    연결 다 해놓고 다시 모니터스피커 다는건 봤지만요...;;
  • ?
    이정석 2011.05.31 19:32
    엠프 마이킹을 왜 하는지 찾아보시면 아실겁니다 ^^
  • ?
    김용현 2011.05.31 19:36
    저도 처음에는 그런 줄 알았었는데 오늘 친구가 아니라고 해서 더짓말인줄 알았다가 검색해보니 그냥 직결하면 소리가 다 찌그러 진다고 앰프 앞에 마이크를 놓고 한다고 합니다.
    저도 잘 이해가 안가는 부분 입니다. 예시로 http://blog.naver.com/wayaudio?Redirect=Log&logNo=20049355897을 봐도 그렇고 다른 공연하는거나 지식인을 봐도 그렇고 마이크를 쓰는 경우가 많은 것 처럼 보이더라구요 ㅠㅠ
  • ?
    이길범 2011.05.31 19:36
    공연과 레코딩은 좀 다릅니다.

    공연시에는 기타리스트가 조작하는 이펙터들을 거친 뒤 모니터 스피커와 메인 시스템으로 직결하게 되지만 녹음시에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기타리스트가 세팅한 이펙터와 앰프를 그대로 쓰고, 여기에 다시 녹음용 마이크를 이용해서 녹음합니다.

    공연의 경우, 앰프에서 다시 마이크를 연결하게 되면 공연장의 온갖 소리들이 다 새어 들어가서 엉망이 될 수 있지만 스튜디오에서 녹음하는 경우는 다릅니다. 방음실 안에서 기타앰프에서 나오는 소리만 녹음 마이크로 녹음되는 것입니다.

    간혹, 다이렉트 레코딩이라고 직접 레코딩 시스템 입력에 이펙터 출력을 바로 결합해서 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런 경우 앰프특성에 따른 소리를 낼 수 없기 때문에 연주자가 의도하는 음색을 제대로 내고 연주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
    김용현 2011.05.31 19:48
    아,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레코딩할때는 앰프에 따른 소리‹š문에 그러는 거군요 (장비가 좋아야 겠네요......)

    그럼 라이브때는 엉망이 되므로 앰프 마이킹을 안하고 바로 믹서로 보내는 것이지요?
  • ?
    이길범 2011.05.31 19:50
    공연때도 마이킹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방법은, 마이크 감도를 최대한 낮추고, 그 앞에 앰프의 출력을 충분히 높이면 관객이나 주변의 잡음은 거의 안들어가고 앰프 소리만 거의 들리게 할 수는 있습니다.

    일례로, 어차피 마이크를 쓸 수밖에 없는 드럼같은 경우, 마이크 주렁주렁 설치되어 있거든요.
  • ?
    이길범 2011.05.31 19:52
    여튼, 여러가지 이유로 알고 있습니다.

    기타라는 악기의 특성상... velocity graph에서 attack이 상당히 날카롭고 높은데, 이 부분의 원음을 살리게 되면 릴리즈음 쪽이 거의 죽어 버리는 경향도 있고 해서 이걸 직접 라인처리 하는 것보다 앰프출력에 다시 마이크로 잡으면 좀 더 자연스럽게 신호가 shaping된다고 들었습니다.
  • ?
    김용현 2011.05.31 19:53
    네, 감사합니다. 제가 기타에 대해서 잘 몰라서요 ㅠㅠ

    그럼 기타는 자체적으로는 소리를 못 내고 앰프와 함꼐있어야 진정한 악기가 되는 거네요 ^^
    말이 앰프지 제가 생각하는 그런것과는 다른 앰프네요.

    감사합니다.
  • ?
    이하윤 2011.05.31 21:46
    기타앰프를 마이킹하는 이유는 스피커캐비넷의 특성을 잡아내기 위한거구요,

    앰프없이 기타자체는 Hi-Z 시그널이라 일반 기기에 직결은 못하고 다이렉트박스를 거쳐야 하는데, 위에서 언급한 이유때문에

    기타용 다이렉트박스들에는 대부분 캐비넷시뮬레이션 기능이 포함되어있습니다.

    그리고 만약 앰프 스피커 신호를 그대로 믹서에 넣을 경우(물론 더미로드는 기본), 스피커 특성이 들어가지 않기때문에

    매우 쏘고 째지는 소리가 나오게 됩니다. 기타앰프는 하이파이와 완전 개념이 다릅니다.. 스피커도 풀레인지만 쓰구요.


    우리가 익히 알고있는 일렉기타의 사운드는 각종 이펙터 논외하고 기본적으로 앰프(기본적으로 프리부의 성향, 진공관앰프라면 파워부 착색도 매우 중요),

    그리고 스피커캐비넷의 특성이 모두 어우러져야 비로소 나오는 것입니다. 이 요소들을 조금씩 바꾸어도 상당히 큰 폭으로 음색이 변하고,

    하나라도 빠지면 제 소리가 절대 안나옵니다. 보통 마이킹이 곤란할 때 간편히 녹음할 땐 앰프출력에 캐비넷시뮬레이션을 걸어서 녹음하게 됩니다.

  1. 기타 앰프에 관하여...

  2. 쿠미사 방금 왔네요!!!^^^

  3. 얼마전 노이즈필터 관련글 보고요...

  4. 페달 케이스 입니다. 기구물 작업사진 추가합니다.

  5. 쿠미사. 엄청 궁금해 집니다.

  6. 저항 세트 1분 더 구합니다.

  7. 트랜스가 조금 더 늦어질 것 같습니다.

  8. -_-...

  9. MHHA 공제 31일에 마감됩니다

  10. 불꽃봤네요

  11. [알림] 피메타 PCB 사진

  12. 수요조사추가글+쿠미사 전부품 문의하시는 분 있는 데

  13. 생일축하합니다.

  14. 쿠미사 만들고 싶어지는군요

  15. 쿠미사 부품 차액분이라고 문자 받으신분

  16. 이제 슬슬 엄청난 자작기가 올라오겠군요..ㅋㅋ

  17. 쿠미사 만들 때 주의점 공제 난에 있는 데 안보시는 것 같아서 다시올립니다.

  18. 하스분들은 노이즈 필터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9. 공제 PIMETA에 사용할 버퍼

  20. 이번 트랜스 건은

Board Pagination Prev 1 ...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 355 Next
/ 355
CLOSE
24111 5941098/ 오늘어제 전체     68387 79222216/ 오늘어제 전체 페이지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