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DS LAB. Amp 자작일지 및 튜닝 결과

by 조경남 posted Jul 14, 200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SDS LAB Amp 를 제작하고 보니 지금껏 만들어 보았던 그 어떤 앰프
보다도 손이 많이 가고 신경쓰이게 하는 놈이라는 생각이 가장 먼저
듭니다. 일단 만들고 튜닝까지 끝마치고 나니 홀가분하네요.

먼저 회로 및 부품 선택은 신정섭님의 자료를 그대로 답습했습니다.
스티롤 컨덴서야 다들 잘 아시는 동우전자에서 쉽게 구할 수 있지만
마침 IRF9530이 청계천에서 바닥난 시점에서 제작하려고 했던 것이
고생의 시작이었습니다. 2시간을 수색하여 겨우 "석영 브라이톤"에서
바가지쓰며 구했습니다.

은서님께서 지적해주신 것처럼 방열판의 위치와 부품의 배치는 Tori 나
Tomo 때와 동일합니다. 앞으로도 이 배치를 계속 사용할 생각입니다.
10 Ohm/1W 저항이 없어서 20 Ohm/0.25W 저항을 병렬연결하여 사용한
정섭님처럼 저 역시 5 Ohm/0.25W 저항 두 개를 직렬 연결하여 사용하였
습니다. 10 Ohm 저항에 흘려주어야 하는 바이어스 전류를 잡기 위해
처음에는 적색 고휘도 LED 1개당 전압강하를 1.8V로 고려하여 LED 3개
와 3V zener를 조합하여 8.4V 의 전압강하를 생각하였습니다.

제작과정에서 한가지 큰 실수를 했던 것이 10개의 저항을 재로 만들었던
LED 극성 문제였습니다. 딴 생각하면서 부품을 꽂았던 것이 화근이 되어
저항 10개를 재로 만들었습니다. LED 방향을 바로 잡고서 겨우 SDS의
소리를 들을 수 있었는데 일단은 만족입니다.
첫 동작에서 LED 3개와 zener의 조합에서 전압강하는 생각보다 작아서
7.89V 밖에는 나오지 않았습니다. 바이어스 전류를 하루라도 빨리 잡아
주고자 일요일인데도 공작실에 가서 zener를 찾아보았습니다. 부품통에
zener가 없어 한숨을 쉬려던 찰라 마침 후배놈이 사용하다 버린 3V zener
2개를 휴지통에서 찾았고 깨끗이 닦아 LED 하나씩 뽑고 그 자리에 연결
하였습니다. 때 마침 zener를 휴지통에 버려준 후배가 고맙더군요. ('_');

결과는 LED 2개 + zener 2개의 조합에서 좌측 8.78V, 우측 9.12V 를 얻었
고 10 Ohm 저항에 걸린 전압은 각각 0.65V, 0.78V 였습니다. 전류로 따지
면 13mA 의 차이가 생긴 것입니다. 다시 튜닝을 위해 zener와 LED의 위치
를 바꿔가며 겨우 좌측 9.04V, 우측 8.98V로 확정하였습니다. 이 때 10 Ohm
저항에 걸린 전압은 좌측 73.2mA, 우측 71.8mA 로 1.4mA 의 차이가 생겼
지만 이 정도로 만족하기로 했습니다. 재미있는 것은 동일한 제품인데도
전압 강하가 조금씩 다르다는 점과 전해 컨덴서에 걸리는 전압과 10 Ohm
저항에 걸리는 전압 강하가 비선형성을 띄므로 많은 시행착오를 거쳐야
한다는 점입니다. 역시 승배님처럼 TR + potentiometer를 사용하는 것이
좋을 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바이어스 전류를 결정하는데는
회로에 사용된 부품들의 조합에 따라 심하게 달라지므로 무수한 시행착오를
거쳐야 겨우 잡히네요. 일단 신정섭님, 지승배님 그리고 저의 경험을 조
합해보면 330uF(또는 470uF)전해컨덴서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이 8.1V에서
9.4V 이내가 되면 10 Ohm 저항의 양단에 60 ~ 80 mA가 걸리게 되는군요.

- 이름 ----- 조합 --------- 전해 컨덴서 --- 10 Ohm
신정섭: LED 3 + 3V zener 1 ... 8.1V ... 74 mA
지승배: TR + potentiometer ... 9.4V ... 75 mA
조경남: LED 3 + 3V zener 1 ... 7.9V ... 36.5mA
" ...... LED 2 + 3V zener 2 ... 8.78V ... 65 mA
" ...... LED 2 + 3V zener 2 ... 8.98V ... 71.8mA
" ...... LED 2 + 3V zener 2 ... 9.04V ... 73.2mA
" ...... LED 2 + 3V zener 2 ... 9.12V ... 78 mA

위에 나열한 것처럼 동일 조합에서도 전해 양단에 걸리는 전압이 다르고
전해 컨덴서에 걸리는 전압이 조금만 변해도 10 Ohm 저항에 흐르는 전류
역시 크게 달라지게 되는군요. 갑자기 이병구님과 최윤석님의 조합이
궁금해집니다.

발열에 있어서 동일한 크기의 방열판과 24V 을 사용하는 Tori의 IRF520 에서
80도의 발열이 생겼으나 이번 SDS의 MOSFET은 옆에 온도계가 없어 정확한
온도는 모르겠으나 손으로 만져도 약간 뜨겁다는 정도입니다. 40~50도
정도가 아닐까합니다. IRF520을 사용하는 Tomo는 70도 가까이 온도가 상승
합니다.

음색은 승배님의 감상에 동의합니다. 해상도는 마이어나 Rega Ear2000에
다소 뒤지지만 저음을 때려주는 힘에서는 이 둘을 앞선다고 평합니다.
Tomo와 SDS의 음색은 동일한 MOSFET 기반의 Tori와는 분명히 다르다는
점 역시 승배님의 평에 동의합니다. 음이 부드럽고 편한하다는 점에서
두 앰프는 비슷합니다만 해상도에 있어서는 SDS가 앞선다고 하겠습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은 고음의 해상력을 원하시면 마이어나 Tori를, 강한 저음과
부드러운 음이 듣고 싶을 때는 SDS나 Tomo를 추천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이복열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4-06-25 2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