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님 자작품(member) - 헤드폰 앰프 관련 자작 게시판 입니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평소에 책상에 앉아 이것저것 하면서 음악을 즐겨 듣곤 했습니다.
그런데 얼마전부터 집사람이 제 뒤에 놓여있는 책상에 앉아 새로운 시작을 준비하기 시작하더군요.
이후로 두살박이 아들놈을 재우고는 등을 맞대고 앉아 서로 눈치를 보기 시작했습니다.
저는 저대로 평소처럼 음악을 틀어놓지 못해 좀이 쑤셨고, 누구보다도 제 심정을 잘 아는 집사람은
미안함에 신경이 쓰였던 거죠. 어느날 그러는 겁니다.

"헤드폰이라도 한번 써봐요~"

비록 손을 놓은지는 10년 가까이 됐지만 인터넷이 발달하기전 피씨통신시절부터 앰프자작의 취미를
즐겨하며 로저스 studio1 스피커의 레퍼런스적인 소리를 기준으로 이것저것 비교청음하는 것을
좋아했던 저로서는 헤드폰은 이어폰과 구분이 안가는 그냥 편의성을 강조한 생활가전 그 이상도 이하
도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마누라의 한마디에 발을 들여놓게 된 이 세계는 그야말로 또다른 별천지
더군요. 이곳 저곳 흥미롭게 기웃거리다 헤드폰 클럽과 하스를 알게됐고 이후로는 풀방구리 드나들듯
하루에도 몇차례씩 로그인을 반복하며 그야말로 삼매경에 빠져들게 됐습니다.

대낮에 직장에서 몰래 빠져나와 용산에서 한시간여에 걸친 비교청음후에 가격대 성능비가 가장
적절한 수준이라는 판단으로 오디오테크니카의 A700을 구입했죠. 그리고 헤드폰 앰프로는 Dr. DAC을
구입했습니다. 어차피 소스는 컴퓨터니까(컴리드 hifi 7.1) 그렇게 고사양의 것들은 필요없을것
같았거든요. 이후로 밤마다 헤드폰을 쓰고는 하스의 이구석 저구석을 돌아다니며 이미 끝나버린 많은
공제와 공구를 보며 왜 진작 이곳을 몰랐던가하는 뼈저린 통한의 시간을 보내게 됐습니다.
집사람은 아차 싶었겠지만...어쩌겠습니까...이미 늦었죠.

최근 하는일이 좀 안정되면서 다시 인두를 잡았었거든요. 모사이트에서 공제한 4766앰프를 만들어
피스에 집어넣는 뻘짓을 좀 했는데 그걸 지켜보는 마누라의 표정이란....흠흠.  
(아니, 멀쩡한 스피커를 왜?....왜냐구? 그걸 나한테 물어보면 안되쥐~~)

아뭏든 무턱대고 SHHA의 부품공제에 참여해놓고 기판에 대해 고민하게 됐습니다.
십수년만에 다시 에칭부터 시작해? 그래도 요즘엔 도구나 재료들이 많이 좋아졌겠지?
하지만 삼십대 중반의 직장인으로서, 두살박이 아들놈을 모시고 마누라를 떠받들고 살아야하는
이땅의 평범한 가장이 다림질을 하며 쪼그리고 앉아 에칭통을 흔들고 있기에는 세상이 그리 녹녹하지
않거든요. 공감하실분 있으실거라 믿습니다. 그러던 차에 고마우신 회원님으로부터 SHHA와 PPA
기판을 양도받을 수 있었습니다. (이 자리를 빌어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이때부터는 정신없이 도구 및 악세서리들을 모았습니다. 인터넷이 좋긴 좋더라구요. 특히 이런
취미생활하기에는 인터넷과 택배의 존재가 그렇게 고마울 수 없었습니다. 예전에는 하찮은 인두끝
하나 구하려고 해도 세운상가나 장사동을 헤메고 돌아다녔는데....

그렇게 인두부터 시작해서 각종 악세사리등을 터무니 없이 사재기 하기 시작했습니다.
하스의 보석같은 각종 정보를 프린트하고 숙독한뒤 드디어 날을 잡아 청계천 나들이를 나갔습니다.
십수년전 알지도 못하는 부품이름을 외워 터무니없는 가게에서 머쓱한 표정으로 물어보고 면박을
당하던 시절을 생각하니 격세지감이라는 말이 생각났습니다. 청계천 만들어놓은것 보니 시장님이
혹시라도 대통령되면 정말 서울부산 운하만든다고 덤비겠구나 하는 생각도 해보구요.

그렇게 들뜬 마음으로 거의 네시간가량을 피곤한지 모르고 헤메고 다녔습니다.
한개살거 두개사고 아니 비슷한거 몇개 더사고, 이러다보니 첨 생각보다 예산은 좀 더 들었지만
돈이 하나도 안아까웠습니다. 나이먹고 다니니 세운상가 구석구석을 돌아다녀도 삥뜯길 걱정 안해도
되는것과 학생~ 비디오 좋은거 있어하는 소리 안듣는거는 정말 좋았다는.....

그렇게 모아온 부품으로 드디어 PPA를 완성했습니다.

그런데 처음 소리를 들어보고 바로 후회하기 시작했습니다.
아! 이렇게 좋은 소리가 나올줄 알았다면 어쨌거나 물량좀 투입할것을.....데일저항에 오스콘등으로
사용했다면 최소한 심리적인 플러스 알파가 있었을텐데....
솔직히 소리에 그다지 기대를 하지 않았기에 그냥 이화저항 썼거든요. (부품정보란에 이화저항 누
님에 대한 어느 회원님의 견해에 동의합니다~~)

아뭏든 광출력을 통한 Dr.DAC의 소리보다 사카의 line-out을 통한 PPA의 소리가 몇수 위였습니다.
거기다 Dr.DAC의 헤드폰 앰프부의 opamp로 사용한 8620을 사카의 프론트 출력으로 옮겨 PPA를
연결한뒤의 차이는 더이상 Dr.DAC의 짹에 해드폰을 연결하고 싶지 않게 만들더군요. (결국 직장으로
방출입니다. 불쌍한....)

흠...주저리주저리 말이 너무 많아졌습니다.
간만에 느껴보는 기쁨이 사람마음을 들뜨게 만드는 군요.
좀 걱정되기도 합니다. 저말구 집사람이요.
앞으로의 제 행보가 전 이미  보이거든요...

자...그럼...즐거운 음악생활과 자작생활들 하시구요, 조금 쑥스럽지만 저도한번 외쳐봅니다.
"하스 만세!~~"

(기술적인 전문지식은 없지만 적어도 부품구입에 대한것들 정도는 아무리 하찮은 나사하나라도
알려 드리겠습니다. 망설이지 말고 글올리세요~~)
  • ?
    이영도 2005.10.16 05:11
    아아.... 감동입니다.

    "두살박이 아들놈을 모시고 마누라를 떠받들고 살아야하는 이땅의 평범한 가장이 다림질을 하며 쪼그리고 앉아 에칭통을 흔들고 있기에는 세상이 그리 녹녹하지 않거든요. "

    저의 스토리와 어쩜 이렇게 똑같을수가 있단 말입니까? -_-
    마눌어른께서 "으미~ 뭣하는 짓이여?" 하고 한마디만 던지시면 멀쩡하던 손발이 오그라듭니다. 에혀...
    다른것 할일도 많은데... 이것 붙잡고 있는 것도 쉽지는 않습니다그려.

    아뭏던 모든게 공감입니다.

    그리고... 멋진 앰프 잘보았습니다. ^^

    그런데 케이스가 장난아니게 예쁩니다. 어디서 구입하신 겁니까? ^^
  • ?
    이상유 2005.10.16 09:11
    아하하^^ 멋집니다. 그러나..ㅠㅠ; 저희 아버지께서는 제가 나이좀 드니까 아무런 거리낌없이 집에서 직소며 홀소며 다 쓰시고...(참고로 아파트)
    4766은 저도 있습니다만, 시간적 압박으로 만들어보진 못했군요...어떻게 4766도 소감 한번 올려 주시죠^^
    그리고 이화저항도 나름대로 귀여운 특징적인 음색을 내 주는것 같다고 생각하는사람은 저 뿐일까요..ㅠㅠ; (뭔가 발랄하다고 할까, 꼬마 여자애들 노는거 보는거같은..;;)
    아 참^^ 저랑은 닥덱이 활용방식이 틀리시네요... 저는 사카가 내장밖에 없어서 닥덱이로 광출력 받고 라인아웃으로 앰프랑 물렸는데^^

    to 영도님//케이스는 서울금속제라고 적어놓으셨던데요^^
  • ?
    황용근 2005.10.16 10:55
    이화저항은 약간 좀 투박하다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제가 느끼기에는 여자 꼬마애의 모습과는 거리가 멀었습니다.
    소리가 못생기게 나온다고나 할까요.. 고음도 로더스타인이나 야고저항보다 굵직하고 거친 편입니다. 대역 밸런스는 흠잡을데가 없습니다만 평면적인 음상 표현과 투박하게 앞선 중고역... 하여튼 이러한 것들을 느꼈습니다.
  • ?
    전일도 2005.10.16 11:03
    전 저항 음색은 잘 구분하지 못하겠더라구요. 자성체만 아니면 별 상관없다고 생각하는데 이화저항은 합격이더라구요. ^^a
    그나저나 "헤드폰이라도 한번 써봐요~" <-- 사모님의 이 말씀이 마치 오라클의 한마디같은 느낌이.. ㅋㅋ
    전 돈 좀 아껴보려는 불순한(?) 동기로 시작했다가 엉뚱하게 이쪽 취미가 주가 되어버렸네요.. 차라리 기성품을 샀다면 책상 위에 어떤 헤드폰들이 걸려있었을지.. ^^;;
    앞으로 좋은 자작기로 자주 만나게 될 것 같습니다. 즐음 즐자작하세요~
  • ?
    황용근 2005.10.16 11:05
    전일도 <= 이화저항이 자석에 붙는 대표적인 저항인걸로 알고 있습니다만;;
  • ?
    전일도 2005.10.16 11:06
    아 그래요? 제가 약한 자석을 썼나.. ^^;;;
  • ?
    황용근 2005.10.16 11:10
    1/4짜리는 확실합니다. 드라이버 자석에도 붙을 정도입니다. 다만 1/2짜리는 실험을 안해봐서 모르겠네요.
    외제저항의 상당수도 자석에 붙습니다.
  • ?
    전일도 2005.10.16 11:12
    쿨럭.. 제가 가지고 있는 것들은 왜 안붙는걸까요.. 드릴모터에도 드라이버 자석에도 안붙네요.. 용량마다 다른건가.. ^^;;;;;;
  • ?
    황용근 2005.10.16 11:13
    자석에 붙는 이화저항은 다리가 자석에 붙는게 아니라 몸통이 자석에 붙네요.
  • ?
    전일도 2005.10.16 11:13
    아.. 리드선은 안붙고 몸통이 붙는군요. 방심.. ^^;;;;
  • ?
    이상유 2005.10.16 11:19
    글쎄요... 저는 데일저항 쓸때보다 뭔가 가벼운 소리가 난다고 느끼는데요....
  • ?
    전일도 2005.10.16 11:22
    한때 farnell에서 열심히 rn55 rn60 주문하다가 앞으로 데일은 남은거나 쓰고 이화저항쓰자면서 나름대로 정당화를 시켰는데.. 데일저항을 가장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경로가 뭘까요? ㅡㅗㅜ
  • ?
    이상유 2005.10.16 11:33
    으음.....저는 오파에서 사고는 있는데 왠지 터무니없이 바가지를 쓰는 기분이 들기도 하고...ㅠ;
    그렇다고 데일저항 제일 좋아하는데 딴거쓰자니 좀 그렇고..
  • ?
    전일도 2005.10.16 11:41
    왠지가 아니라 엄청난 바가지죠.. 바가지파츠.. farnell에서 사서 쓰는데 한번에 5만원이었던가 넘게 주문하지 않으면 핸들링fee가 들어가기 때문에 부담스럽더라구요. 거기도 마치 지뢰밭처럼 부품마다 터무니없는 가격들도 많고..

    그나저나 준범님 사용기니 저항 이야기는 그만 해야 할듯.. 근데 준범님, 레터링 아크릴로 바꾸지 마세요. 금속케이스는 부의 상징이라구요.. ^^
  • ?
    이상유 2005.10.16 11:44
    그렇지만 딱히 데일저항 다른곳에서 소량으로 살 수 있는곳도 모르고..ㅠ;
    아 참^^ 레터링 아크릴 대신 알미늄에 레터링 하면 어떻겠습니까?ㅡㅡ;;
  • ?
    공재오 2005.10.16 12:16
    알미늄이나 기타 스틸케이스에 레터링 후 투명 락카나 기타 코팅 할 만한 것을 발라줘야합니다(뿌려줘야합니다)
  • ?
    권재구 2005.10.16 13:38
    아.. 이쁘군요. 조만간에 전원부 뽐뿌에.. ^^; sb-1, fk-ps 강력 추천합니다.
    저는 요즘은 하는 일이 조금 바빠서 조금 시들하지만.. 근 1년 반동안 정말 재미있는 취미생활이었습니다.
    물론 들어간 자금은.. 흑흑. 저처럼 부품 욕심(필름콘, 전해콘, 선재, 저항 순서) 부리지마세요. 최근에 캐드독 값만 20만원입니다. T.T..
  • ?
    권재구 2005.10.16 13:47
    최근 *파가 가끔씩 돌을 맞는군요.. 저는 개인적으로 *파에 감사합니다. -가끔 전화로 몰 물어보면 짜증스런 답변을 주긴하지만 바뻐서 그러려니합니다- 아무튼.. 데일 저항은 개당 6백원선인데 지하철 타고 30분가서 데일 저항을 구할수 있다는 자체에 감사합니다.
    아.. 오파에 물건 사러가실때 꼭.. 전화로 재고 유무를 확인하세요. 아마도.. 1/2W 데일 1K, 솔랜 1.0(아마 들어왔을겁니다), 캐드독은 다빠졌고, 언제 들어올지 모른다고합니다. 코넬 실버마이카 역시 다 빠졌습니다.
  • ?
    박은서 2005.10.16 14:10
    *파 가실일이 있으시면 고 옆에 있는 D*T 사운드도가보세요. 괜찮은 와트 저항이나 BC 저항도 있으니 심리적인 보상(?)도 얻을수 있을것같습니다. 그리고 spe*ker.ne.kr 에 가면 외산저항 중 꽤 자주쓰는 수치들을 구입할수 있습니다. 이외에 최근 신생하는 조그마한 사이트들에서 소시지 저항을 400원정도에 파는곳이 간혹 보이더군요. 좀 지속적인 취미로 하시려면 용량별로 그냥 해외주문하는것이 외히려 저렴한것같습니다. 그런데, 항상 필요한것은 없고 안쓰는것이 남아도는 이상한 상황을 만나서 난감하죠.
  • ?
    황용근 2005.10.16 15:48
    전 디지키가 한화로 주문을 받으면서 이곳을 자주 애용할까 하고 있습니다.
    부품팩 공구 하기 이전에 알은 사실이지만, 후불제더군요... 배송비도 어지간한 무게의 압박이 없는 한 2만원선에서 대부분 가능하더군요.
    야고저항도 저렴하고 거기에 있는 옴마이트제 카본콤포지션 저항은 가격도 가격이지만 용량값이 무척 다양하게 준비되어 있습니다.
    그 카본저항 몇개를 이번에 문협님 도움으로 몇개 구해다 쓰고 있는데, 매우 마음에 듭니다 ^^
  • ?
    황용근 2005.10.16 15:49
    수능끝나고 언젠가 제가 남몰래-_- 구축해왔던 부품도감을 집대성할 생각입니다.
  • ?
    이학민 2005.10.16 16:06
    설레임과 기쁨이 담긴 글 잘 읽었습니다..
    다른 자작앰프로 자주 뵈었으면 좋겠습니다.. ^^
  • ?
    이영도 2005.10.16 16:51
    어쩌다가 부품이야기로 흘러가게 됐는지...

    저도 권재구님 말씀처럼... 부품에 눈독 들이다가는 순식간에 지갑 얇아지는 것을 알기에,
    대충 썼습니다. WIMA나 블랙게이트, 오리캡, 코넬, 알프스... 이런건 처음부터 눈도 안돌렸고
    싼 것으로 쓰려고 생각했지요. 개당 몇천에서 몇만씩 하는 것들은 살떨려서요.
    그래서 저가형을 골랐다는게 파나소닉. 스프라그, 니치콘, 유니콘, 비샤이, 데일, 본스... 뭐 이런 넘들로 도배가 되었습니다.
    더 싼게 있는줄 몰라서... 알고보니 생각했던것 만큼 저가형이 아니더군요. -_-:;;;
    이제는 신호부에는 그런걸 쓰더라도, 다른 쪽에는 더 싼걸 쓸겁니다.

    그래도 심리적으로 후회는 안들더군요.
    그리고 써본 결과로.... 야고(야에고) 보다는 데일 저항을 더 추천합니다.
    야에고는 다 좋은데... 품질관리가 좀 안되는 경향이 있는것 같더군요.
    어떤건 저항값이 칼같이 맞는데 어떤건 오차가 좀 심하게 나고 그럽니다.
  • ?
    신정섭 2005.10.16 22:50
    글 제목이 가끔 날아오는 스팸메일의 그것과 유사하지만^^
    내용은 무지 건전하고 재미 있네요.
    중년에 뭔가 몰두하여 즐거움을 찾을 소재를 발견하심을 축하드리며 많은 활동기대합니다.
  • ?
    이영도 2005.10.17 03:13
    헉... 중년... 이라는 단어가 가슴을 쥐어뜯는군요.
    앰프에 대한 이야기보다 부품이야기가 더 많이 나와서 준범님 속상하신 것은 아닌지 ^^;;;
    그래도 오랜만에 보는 즐거운 이야기라는 것에는 백번 동감합니다.
    많은 활동기대하구요, 이 초보를 많이 도와주시길 부탁드려봅니다. ^^
  • ?
    김준범 2005.10.17 10:44
    많은 말씀들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속상하다니요 영도님...이런 글들이 모여서 막강한 하스의 정보력을 만드는거 아니겠습니까...
    가정을 이루신 다른 분들도 마찬가지이겠지만 저희 집사람은 겉으로는 툴툴거려도 내심 이런 작은일에
    만족을 느끼는 저를보며 안도감을 느낀답니다. 적어도 밖에서 엉뚱한짓(?)하고 돌아다니지는 않거든요...^^
    낯선곳이지만 오래전 이사를 떠나온 옛집에 돌아온 느낌을 가질수 있게 해주신 여러분들께 감사드립니다.
    건강하세요~~

  • ?
    전일도 2005.10.17 11:30
    전 결혼은 아~~직 멀었지만 자작이 참 건전하고 생산적인 취미라는데엔 동의합니다. 까마득한 자작선배님이신듯 한데 잘 부탁합니다. ^^
  • ?
    김형섭 2005.10.18 15:36
    완성 축하드립니다~
    깔끔하고 보기 좋군요. 틀림없이 좋은 소리가 날 것 같네요.
    하스를 알게 되고 헤드폰앰프를 만들어보기 시작한 7개월 전 제 모습이 생각나는군요.
    글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
  • ?
    박성준 2005.10.19 22:03
    ㅎㅎㅎ 저랑 연배가 비슷하신듯 하군요....
    암튼 좋은 작품 잘 봤습니다......
    정섭님 말씀처럼 스팸메일 같은 제목이군요..ㅋㅋㅋ



  1. Simple MHHA 만들었습니다.

    그동안 눈독만 들여왔던 신정섭님의 MHHA를 결국 만들었습니다. 우선 신정섭님과 MHHA 자작기를 올려주신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여러가지 버전이 있는데 가장 간단해서 마음에 드는데다 이미 가지고 있는 부품들을 최대한 이용해서 쉽게 구성하고자 Si...
    Date2008.01.11 By김형섭 Views3922 Votes0
    Read More
  2. No Image

    [자작기] META42 ( 저항값 튜닝에 관해 추가 6/29 )

    부족하나마 간단히 자작기 올립니다. 자유게시판에 말씀드렸듯이 이번엔 META42 입니다. 간단히 이전의 자작생활을 말씀드리자면(한번쯤 써보고 싶어서요^^) 다들 잘 아시는 헤드폰스테이션을 통해 헤드폰과 헤드폰앰프에 대한 많은 정보 얻었구요. 특히 헤드...
    Date2002.06.26 By이학민 Views3919 Votes0
    Read More
  3. 공구기판으로 PPA 만들었습니다.

    일주일 이상 보고만 있다가 큰 마음먹고 만들었습니다. 만능기판으로 만들때 보다 쉽게 빠르게 만들 수 있었지요. 케이스 작업이 끝나자 마자 아답타에 연결하여 1시간 정도 음악을 들어본 결과 ~~~~ 힘찬 소리와 뛰어난 해상도가 메타나 JAY시모이 보다 좋았...
    Date2005.07.31 By성호성 Views3918 Votes0
    Read More
  4. Modifed Linkwitz X-Feed Plug & XinFeed Plug

    회로도를 보고 .. 패턴을 다시 그려서 에칭을 해봤습니다. 너무 작아서 ... 삐뚤삐뚤 .. 너덜 너덜 ~ 일단 만들고 음을 들어보니 ... 음 감쇄가 너무 심하더라구요 .. 그렇다고 못들을 정도는 아니지만요 ~ 해서 .. 만능기판에 XinFeed Plug 만들었습니다. 뺀...
    Date2011.11.22 By김성태(birgirl) Views3911 Votes3
    Read More
  5. No Image

    작게 만든 Meta42

    허접한 것이라도 올려봅니다. 직장에서 사용하는 메타가 참 좋았는데... 통신상으로 어떤 부탁을 해 와서 그냥 기부해 버렸습니다. 당장 사용할 것이 없어 메타를 다시 만들었는데, 일단 작게 하는 것이 목표이지만, 크게 만드는 것을 좋아해서 작게 만드는 ...
    Date2007.10.07 By성호성 Views3911 Votes0
    Read More
  6. No Image

    요즘 게시판이 뜸하네요.. 최근에 만근것들입니다 ^^

    meier 2.5 세대 입니다. ^^; 역시 자비란 없는 점퍼와 배선들.. 죽는줄;; 알았습니다 tda2030a 스피커 앰프입니다. 집에 싸구려 우퍼+스피커 앰프가 있는데 그것보다는 좋군요 ^^ 주력 스피커 입니다. 좋은것은 아닙니다; 이게 한 15년? 쯤 됬습니다. ...
    Date2008.10.19 By유문구 Views3909 Votes0
    Read More
  7. 전수현님 나눔 A1 완성

    기판을 받아놓고 게을러서 미루다가 이제야 완성했습니다. 전수현님 고마워요. 모두 국산으로 삽입되었네요.국산만세!!!! 12V 버젼입니다. 소리가 차분하니 좋은데요. 보유한 기기중 유일하게 초록색 LED 로 멋을 내봤습니다.
    Date2012.06.18 By송길섭 Views3908 Votes1
    Read More
  8. 새로 시작하는 설레임을 여러분과 나누고 싶습니다. (공제 PPA)

    평소에 책상에 앉아 이것저것 하면서 음악을 즐겨 듣곤 했습니다. 그런데 얼마전부터 집사람이 제 뒤에 놓여있는 책상에 앉아 새로운 시작을 준비하기 시작하더군요. 이후로 두살박이 아들놈을 재우고는 등을 맞대고 앉아 서로 눈치를 보기 시작했습니다. 저...
    Date2005.10.16 By김준범 Views3906 Votes0
    Read More
  9. No Image

    Tori? 준비 완료

    안녕하십니까? 땜쟁이입니다. 아시는 분도 계시겠지만 Szekeres에 도전하려고 했었습니다만, HD600을 새로이 구입하는 관계로 전압증폭단이 있는 Tori를 먼저 만들기로 하였습니다. 흑... 이제 총알이 바닥났어요~~~ 먼저 많은 도움을 주신 지승배님과 박은서...
    Date2002.06.12 By조경남 Views3905 Votes0
    Read More
  10. 저전압 하이브리드(SRPP+OP) 헤드폰앰프

    - 만들어 사용하니 소리좋습니다. - 공제 케이스에 넣었습니다. - SMPS 전원을 사용하다 보니 전원부에 콘덴서와 코일 추가해서 넣었습니다. - 부품통에 있던 알수 없는 진공관 넣어서 좌우 생김새가 틀리나 동작은 잘하고 있습니다. - 가변저항 넣어서 증폭 ...
    Date2013.10.03 By이학신 Views3894 Votes0
    Read More
  11. No Image

    Simple MHHA ^^;;;

    신정섭님의 Simple MHHA 를 제작해 보았습니다. 진공관을 책장위에 얌전히 올려놓고 구경만 하자니 좀이 쑤셔서 참을수가 있어야지요. ^^ 일단... 만들어진 모습은 아래와 같습니다. 이름은 Simple MHHA 이지만, 저에게는 그다지 심플하지 않았던 앰프였습니...
    Date2006.02.24 By이영도 Views3894 Votes0
    Read More
  12. MP3P(휴대기기) 레벨매칭 증폭부제작(쿠미사편) IX

    쿠미사에 바로 내장하지 않고 별도 전원을 달아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매칭증폭기 전원연결을 했습니다. LED가 점등되지 않고, 출력TR 열납니다. 뭔가 이상합니다. 전원을 끄고 오배선 찾습니다. 아무리 디다봐도 모르겠습니다. 오배선없습니다. 전원연결 합니...
    Date2011.12.01 By홍재영 Views3892 Votes3
    Read More
  13. Tori (PPR-Szekeres) with LM317

    Tori (PPR-Szekeres) with LM317; [땜쟁이 작] 신정섭님의 기본 회로에서 100 Ohm/5W 저항을 LM317로 대체하였습니다. 음질 향상이라... 거의 느낄 수 없습니다. 단지 기분 탓으로 좋게 느껴질 뿐입니다. 100 Ohm 저항으로 회로를 간단히 꾸몄던 정섭님의 탁...
    Date2003.01.01 By Views3892 Votes0
    Read More
  14. 비트 마니아 ZEN

    비트 마니아 ZEN 왜 ZEN인가? 이름만 들어도 설레이는 앰프가 있었는데 그것이 바로 ZEN이었습니다. 무엇보다 이름이 마음에 들었고, 대충보기엔 회로도 아주 복잡해 보이지 않았고, 고수분들의 평도 좋아서 언젠가는 ZEN을 만들어 보겠노라고 다짐을 했죠. ...
    Date2004.06.02 By박찬영 Views3891 Votes0
    Read More
  15. No Image

    코다 개조 PPA 입니다. (ver 0.95)

    코다 개조 PPA가 거의 완성되었네요. 현재 콘덴서 모듈이 남아있긴 하지만 앰프의 동작과 직접적으로 연관있는 부분은 아니기 때문에 현재가 거의 완성이라고 봐도 무방할 듯 합니다. GND모듈을 붙인 현재 양쪽 DC는 0.8,0.3 mA 가 나오고 있습니다(무부하 상...
    Date2004.11.08 By최한솔 Views3889 Votes0
    Read More
  16. YAHA 12AU7 BUF634 배선도 대충버전

    BUF634를 사용하는 YAHA의 대충버전 배선도를 그려봤습니다. 진공관은 그대로 두고 출력단만 바꾸니까 생각보다 어렵지 않네요. 이것 역시 실제로 만들어서 테스트 해 본 것은 아닙니다. 그림만 그려봤습니다. 따라서 작동할 지의 여부는 잘 모르겠습니다. 그...
    Date2007.01.10 By이혁재 Views3880 Votes0
    Read More
  17. [케이스자작] ZEN 껍데기 만들어 보았어요 ㅠ..ㅠ

    안녕하세요? 그 동안 이넘의 삽질을 한다고 잠잠 했더랬습니다.. 이번에 공제한 젠이 워낙에 맘에 들어서.. 기왕하는 것 케이스에도 도전 해보자는 가벼운 마음에서 시작했습니다만, 실제로는 아주 무거웠습니다..ㅠ.ㅠ 계획은 무궁하게 세웠습니다만. 계획대...
    Date2004.10.11 By강일묵 Views3880 Votes1
    Read More
  18. No Image

    휴대용 Meier ver 2.1

    만들어놓고 귀찮이즘에 의해 올리지 않았던녀석이군요 ^^ 지금은 지인분 귀속에 쫀득한 음악을 때려주시고 계십니다 ^^ 저 케이블은 카다스 무산소동선(모델명을 모르겟네요..)의 심을 뽑아서 만들엇습니다. 리와이어링한 er4p(주로 아웃도어라 터치노이즈때...
    Date2008.07.26 By유문구 Views3878 Votes0
    Read More
  19. 이번에 만든 엽기 헤드폰 앰프입니다

    이번에 신정섭님의 하스만세를 보고 아는것도 없이 약간 변형시켜서 만들어본 앰프입니다. 제작기간은 회로도 구성에서 배선도 작성 부품구입 그리고 완성까지 약 1주일이 걸렸군요. 회로도까진 쉽던데 배선도 짜기가 왜 그렇게 어렵던지 -_-; 신정섭님의 실...
    Date2006.12.05 By조성광 Views3878 Votes0
    Read More
  20. 합체! 카프라와 Szekeres(Tomo ver.)

    땜쟁이 작; 카프라와 함께한 Szekeres(Tomo ver.) 의 모습 * 이복열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4-06-25 22:13)
    Date2003.01.01 By Views3878 Votes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132 Next
/ 132
CLOSE
74111 5941148/ 오늘어제 전체     463387 79222611/ 오늘어제 전체 페이지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