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님 자작품(member) - 헤드폰 앰프 관련 자작 게시판 입니다.
조회 수 4858 추천 수 0 댓글 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
추가 1.
오늘도 몇 차례 수정을 했습니다만 수정을 할수록 컴팩트해지고 있습니다. 다만 현 상태로 실비아에
모든 기능을 집어넣는 것은 불가능할 것같습니다. Bass boost 회로를 제거한다면 실비아에 넣을 수
있을텐데 Bass boost 기능을 좋아하시는 분도 계실 것같아 그냥 두도록 하겠습니다.

추가 2.
현재 배치를 최종 배치로 하겠습니다. 배선도에 잘못된 곳이 존재하거나 혁신적인 배치가 떠오르지
않는다면 더 이상 변화를 주지 않겠습니다. 현재까지 몇차례 더듬어 봤습니다만 배선에 오류는 없군요.
그렇다면...
=========================================


META 팀이 공개한 회로도 원문
http://www.tangentsoft.net/audio/pimeta/misc/schematic1.pdf

META 팀이 공개한 에칭기판 배선도
http://www.tangentsoft.net/audio/pimeta/bitmaps/pimeta-1.0a-hires.png

META 팀이 공개한 PIMETA의 성능 분석
http://www.tangentsoft.net/audio/pimeta/bench/index.html


META42의 성능 개선 버젼이라고 하는 PIMETA의 만능 기판용 실체배선도입니다. 회로가 공개된
지는 오래되었습니다만 HAS에서는 워낙 META42의 인기가 식을 줄을 몰라 아직까지 PIMETA의
만능 기판용 배선도가 공개된 적이 없더군요.

배선도 이름을 Enhanced PIMETA라고 한 것은 META 팀이 공개한 회로도에서 몇가지 사항을
추가 또는 변경했기 때문입니다. 개악하는 것은 아니고 조금 더 회로의 완성도를 높여보려고...

META 팀이 공개한 회로도 원문과의 차이점은...
1. JFET으로 구현하는 bias 회로를 CRD로 교체하였습니다. (Q1, Q2 대신 D1의 HAS 스타일대로)
2. 앰프부에서 원문에는 없는 C2로 표기된 OPAmp 발진 방지용 컨덴서를 추가하였습니다.
3. GND단에서는 설마 추가한다고 문제가 되겠습니까마는 신호부와 동일하게 bias current를
   흘려주기 위해 R10과 D1을 동일하게 넣어주었습니다. 저 역시 배선만 공개하고 아직까지 만들어
   보지 않아서 기능이 얼마나 개선되느냐고 물으신다면... 뭐 생략하셔도 무방합니다. ^^;
4. 그리고 원문 회로와 비교할 때 가장 큰 변화라함은 특별한 것은 아니고 Bass boost 매니아 분들을
   위한 서비스 차원으로 넣은 부분입니다. 이 녀석이 공간을 차지하는 원흉인지라 제 스타일은 아닙
   니다만... PPA에 적용된 바 있는 Bass boost 회로를 PIMETA에도 적용해 보았습니다.

원문의 회로대로 가고 싶으신 분은 Bass boost 회로를 생략하시고 OPAmp 발진 방지용 컨덴서인
C2를 제거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GND단에서 R10과 D1은 제거하시면 PIMETA 원문과 동일한
회로가 됩니다. 왜 1.항은 그대로 두느냐구요? JFET보다는 간편하게 CRD로 쓰는게 HAS 스타일이
아닐까해서 그냥 두었습니다. ^^;


OPAmp 핀 배열을 보시면 알 수 있듯이 본 배선도는 기판을 위에서 내려다보는 시점으로 작성
되었습니다. 작업하시면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본 PIMETA는 META42의 후속작으로 휴대용을 목적으로 제작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때문에
Buffer단의 BUF634는 PPA처럼 wide band mode로 구동시키지 않습니다.



서...

발열 문제에서 자유롭구나... 만세~


이번 회로 역시 일단 배선도만 공개하고 나중에 시간이 나면 만들 생각입니다. 언제쯤???

이쯤에서 펌프성 발언 하나...
궁극의 휴대용 헤드폰 앰프다. <== 궁극의 펌프질... 믿거나 말거나... ^^;

META42와 비교할 경우 GND단이 추가되어 좌우채널 음 분리도가 대폭 개선되었으며 GND단이
추가되면서 BUF634가 하나 추가되어 META42를 노리던 회원 여러분들의 주머니 사정을 아주
조금 어렵게 하겠군요.

다만 추가되는 BUF634가격을 제외하면 META42와 비교하여 제작 난이도도 비슷하고 음질은
개선되었다고 하니 HAS에서도 META42의 자리를 물려받지 않을까 합니다.

본 배선도를 공개하면서 생각한 것은 이 배치가 최적의 배치는 절대로 아닙니다. 때문에 만약
만들게 된다면 저 역시 이 배치말고 저만의 비장의 배치(극악의 배선 난이도)로 만들지도 모르
겠습니다. 언제나 그렇 듯이 초보 회원님들을 "묻지마 따라하기 자작"의 세계로 인도하지나
않을까하는 걱정도 있습니다만...

그냥 질렀습니다.
초보 회원님들 만세~

회로도만 보고는 도저히 만들 자신이 없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본 배선도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제 자작 스타일 잘들 아시지요?
언제나처럼 아담한 사이즈입니다. 물론 쬐그마한 케이스에 밀어넣기 위한 극악의 서커스 배선도
준비되어 있습니다만 그 녀석은 작업 난이도도 난이도이거니와 모양이 안나오길래 일단 비공개로
하겠습니다. <== 케이스에 구겨넣을거면서 모양이나 따지다니~ ^^;


=========================================
부품 리스트: Parts list
=========================================

< 저항: resistances >
-  R0: 0 Ohm
-  R1: 4K Ohm (R1 = R3 + R5)
-  R2: 1M Ohm
-  R3: 1K Ohm
-  R3G: 1M ~ Infinity(연결하지 않는 것) Ohm
-  R4: 10K Ohm (엠프 이득(gain) 조절: 현 상태 gain = 10.4 <== 소리가 어마어마하게 클 듯...)
-  R4G: 4K Ohm (R4G = R1 추천)
-  R5: 3K Ohm
-  R6: 100K ~ 1M Ohm (볼륨의 10 배 이상, 1M 추천)
-  R#: 10K ~ 100K Ohm (Bass boost 설정 참고)
-  R8: 0 Ohm
-  R10: 220~1K Ohm
-  R11: 220 Ohm

< 다이오드: diodes >
-  D1: CRD (1~5mA) (E102, E562), 1N5297(1mA CRD), 1N5298(1.1mA CRD)
   ==  E102 ==> R10 = 220 or 1K Ohm
   ==  E562 ==> R10 = 1K Ohm


< 콘덴서: capacitors >
-  C1: 0.22uF
-  C2: 10 pF (OPAmp 발진 방지용)
-  C6: 10 pF (OPAmp 발진 방지용)
-  C#: 0.082 ~ 0.1 uF (0.082, 0.022, 0.1 Bass boost 항목 참고)

< 기구부품: Mechanical Components >
SW: 1 채널 스위치(신호부 S/W의 경우 소형화를 위하여 슬라이드 스위치 추천)
Volume: 10~100KA (50KA 추천)
전원부 SW: 토글 스위치 추천, 전원부에 슬라이드 스위치를 사용할 경우 리플로 인한 고장 가능성이
                있으므로 가급적 피할 것.

S/W의 경우 저 공간에 넣을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만 예전에 봤던 초소형 슬라이드 스위치이거나
DIP 스위치를 사용한다면 저 공간에 충분히 넣을 수 있기에 저렇게 배치해 보았습니다. Bass boost를
2채널 슬라이딩 스위치를 이용하여 케이스 밖으로 빼실 생각이시라면 그런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 OPAmp: Operational Amplifiers >
Single Operational Amplifier
  ==> KA741, LM10N, TL071, TL081, OP07C, OPA124, OPA27, OPA37, AD8610, OPA627, OPA637, ETC.
Buffer: BUF634

또한 회로 내의 싱글형 OPA는 기본적으로 AD8610을 채용하고 있습니다만 자금적인 여유가
충분하신 경우에는 OPA627을 추천합니다. 다만 가격이 상당합니다. 일단 싱글형 OPA로 가능한
것 몇 종을 적어보았습니다. KA741 같이 매우 저렴한 OPAmp부터 OPA637까지 입이 떡 벌어지는
고가의 제품까지 핀 배열이 동일하고 이득 안정성이 비슷한 범위내에 있는 경우 모두 다 가능
합니다. 물론 이득(gain)에 관한 안정성 문제가 있을 수 있으니 이득율은 OPAmp에따라 달리
정하시기 바랍니다. 일단 추천품은 OPA627에 비해 무척이나 저렴한(?) TL071 입니다.

다 아시죠? 우리의 귀염둥이 땡칠이의 동생 땡칠일~~

만일 071처럼 저렴한 녀석이 아닌. 627처럼 초고가가 아닌 2134나 2604같은 고급형 Dual OPAmp를
사용하시고자 하신다면 좌우채널 신호 입출력(In+, In-, Out)을 조금씩 조절하시기 바랍니다. 무슨
말인지 잘 모르시겠다는 초보 회원님께서는 저의 PPA 배선도 및 자작 관련 글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
Bass Boost 설정
=========================================
PIMETA의 원문에는 없습니다만 Bass를 강조해서 듣고 싶으신 분이 계시다면 추가해보는
것도 좋을 것같아서 그냥 넣어봤습니다. Bass boost 가 필요없다고 생각되실 경우 R#, C#
및 Switch를 제거하시고 R4에서 C#으로 빠지는 배선은 signal OUT 으로 바로 연결하시기
바랍니다.

왜 추가했냐구요?

뭐 그냥 폼나잖습니까~


-  C# 를 증가할 경우
      ==> Bass boost 회로의 cut-off 주파수는 감소

-  R4를 증가할 경우
      ==> Bass boost 회로의 cut-off 주파수는 감소되고 앰프의 이득(gain)은 증가

-  R#을 증가할 경우
      ==> Bass boost 회로의 이득(gain)은 증가


=========================================
Amp gain(이득율) 설정
=========================================
기본적으로 PIMETA는 Amp의 이득율을 R4를 변경함으로써 설정하고 있습니다.
기본 설정
R3: 1K
R5: 3K
R6: 1M

-  R4: 3K ==> gain = 3.93
-  R4: 4K ==> gain = 4.89
-  R4: 4.7K ==> gain = 5.55
-  R4: 5K  ==> gain = 5.83
-  R4: 10K ==> gain = 10.38

대충 계산한 값은 이 정도입니다. 나머지 값은 적당히 내삽(interpolation)해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정확한 이득율을 원하시면 META 팀이 제공하는 이득율 계산기를 이용하십시오.
URL: http://www.tangentsoft.net/audio/calc.html

=========================================
신호라인 연결 순서
=========================================
-  앰프부 신호 흐름
  ==> Jack-In -> Volume -> In -> Bass boost(생략 가능) -> Out -> Jack-Out

-  GND부 신호 흐름
  ==> Jack-In -> Volume -> GND In -> GND Out -> Jack-Out

-  GND단 결선법
  ==>  Jack-In단 GND = Volume = 앰프부 GND = GND단 GND In
  ==>  Jack-Out단 GND = GND단 GND Out


원문의 회로도에는 없고 본 배선도에서만 등장하는 R0(0 Ohm)은 단순히 저항 다리 또는
점퍼선으로 연결하라는 뜻입니다. 회로 뒷면을 점퍼로 연결하자니 폼이 안난다고 생각했지만
점퍼를 안 쓰자니 실장 면적이 커지게되어 아담 사이즈를 추구하는 제 취향이 아니고 해서
고육책으로 생각해낸 신호 연결선입니다. ^^; 별 것 아닌 것같고 요란하게 됐군요.

회로 자체도 간단하고 부품의 수급도 용이하며 TR형 앰프처럼 자잘한 튜닝도 필요없어서
제 취향에 맞는 앰프입니다...

자 휴대용 매니아 여러분~
이제 META42에서 PIMETA로 이전하실 때도 된 것같네요. 안 그런가요? <== 끝까지 펌프질~

휴대용으로는 PIMETA 자작품의 러쉬가...
휴대용으로는 PIMETA 자작품의 러쉬가...
휴대용으로는 PIMETA 자작품의 러쉬가...
<== 주문 거는 중...

P.S. 본 배치도 역시 저의 동의없이 HAS 외에 다른 게시판에 무단 게제 및 링크를 허용하지 않습니다.
  • ?
    황용근 2004.07.31 11:42
    자료 감사드립니다. 제가 메타 매냐인데, 수능끝나고 시도할 목록에 또하나가 늘었군요^^
    게인값을 정확히 계산하시려면 http://www.tangentsoft.net/audio/calc.html 에 해당하는 저항값을 대입하시면 됩니다
  • ?
    황용근 2004.07.31 11:44
    아, 그리고 케이스는 일전에 순규님께서 소개해주신 금?배전상사 (부품정보 게시판 참조)에서 나오는 GB-2라는 큰 케이스도 있습니다. 위의 PIMETA정도의 기판 사이즈에다가 문드로프 슈프림정도의 캡을 넣어도 충분하겠더군요... 케이스가 상당히 큽니다
  • ?
    여진욱 2004.07.31 13:34
    오오... 메타의 업버젼 +_+ 저도 수능 끝나고 한번 도전을..
  • ?
    여진욱 2004.07.31 13:39
    베이스부스터 회로까지 포함해서 PCB 공제 한번 했으면 좋겠네요.
  • ?
    권재구 2004.07.31 15:01
    흐...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잘.. 하면 실비아에 들어갈듯도 한데.. 소켓안쓰고 2층으로 하면.. 될듯하기도.. 한데.. 흔들리네요... ^^;
  • ?
    조경남 2004.07.31 16:02
    음냐... 소켓을 안쓰고 2층으로 하면 가능할 것도 같군요. 그런데 PPA를 유로 케이스에 밀어 넣기
    위해 2층으로 작업했을 때 그 엄청났던 작업의 난이도란... ^^; 그래도 불가능하지는 않을 것같군요.
    기판 사이의 고정이야 support로 적당히 연결해주고... 그 경우 기판에 여유공간이 발생하므로 크로
    스 피터(X feeder) 등의 기능도 추가가 가능하겠습니다.

    그래도 PPA 작업 당시의 그 빡빡함이란... -_-;
  • ?
    신상윤 2004.08.13 12:43
    실비아에 2층으로해서 작업시작합니다-_-
    담주에 사진올릴께요

  1. 주말에 만들었던 class AB amp

  2. [실체배선도] PIMETA <== A successor of the META42

  3. 휴대/거치용 다이아몬드버퍼 앰프

  4. Active LPF + 6120 Hp Amp

  5. 저도 Series M 조립해봤습니다..

  6. TDA2030a 스피커 앰프 -이석영님 작품 따라 만들어봤습니다.

  7. 첫 앰프 제작입니다.

  8. 저예산 SKEL6120 완성기

  9. MP3P(휴대기기) 레벨매칭 증폭부제작 VI

  10. 공제 쿠미사~!! without LED

  11. 저도 LM 만들어 보았습니다.

  12. 저도 제 코스닭 소개합니다 ^^;; (COSDAC v2 자작기)

  13. AI 프리엠프 초간편 제작기

  14. Meier v2.0 빵판 버젼...^^

  15. 자작 헤드폰 앰프

  16. Kumisa3 기반의 10W+10W 인티앰프

  17. 첫 cmoy 자작~

  18. SHHA 제작기

  19. YAHA 12au7 만들어 봤습니다.

  20. Simple MHHA 완성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32 Next
/ 132
CLOSE
82121 5937056/ 오늘어제 전체     378746 79205701/ 오늘어제 전체 페이지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