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님 자작품(member) - 헤드폰 앰프 관련 자작 게시판 입니다.
2008.06.26 12:08

또 MHHA -_-

조회 수 3007 추천 수 0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또 만들어본 Simple MHHA 랍니다.

전에 요것이랑 거의 똑같은거 올려놓은 적이 있지요.
저넘의 JJ 관도 전에 쓰던 바로 그 관이고 레이아웃도 전에 만든 그대로 다시 한거고...
별로 새로울 것은 없이, 재탕에 삼탕에....

파란색만 쓰다가 흰색 LED도 써봤더니 기분이 색다르더라... 그런 의미로 올린다고나 할까.





눈으로 보면 참 선명한데, 사진은 영... 안나오는군요.
색감이 참 깹니다요. LED 부근의 디테일이 완전히 뭉개져 버리는 것이...
오래된 카메라의 한계인듯 싶습니다.

왜 이걸 몇번씩이나 만들었냐 하면...

글쎄요?

저는 이 앰프가 굉장히 포텐셜이 좋은 앰프라고 생각합니다.
그 포텐셜을 잘 끌어내보고 싶었다고 할까요?

그런데, 이 앰프는 부품도 만만하고 이름도 Simple 이라서 간단해 보이지만요
가만히 살펴보면 결코 Simple 한 회로가 아닙니다.
볼수록 신기한 회로고... 여기 하스에서 만들어 본 분들은 많겠지만
확실히 이해하면서 만든 분은 많지 않을 거라고 생각되네요.

신정섭님'의 실력이 대단하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준다고 할수 밖에요.
그걸 제가 어떻게 개선한다는 것은 실력부족으로 꿈에 가깝고...
부품 몇개 바꿔보고 LED 색깔만 바꾸고 그냥 저냥... 그러고 있습니다.

****

이 앰프... 구체적으로는 Simple MHHA 에 관심가지고 있는 분들이 많을 겝니다.
예전에 적어볼려고 하다가 말았는데 사진 올리는 김에 간단히 적어보겠습니다.

좋은 전원이 필요하다거나 진공관에 따라 음질이 다르다... 이런 당연한 사실은 아실테고요.

여기 CCS에 사용되는 트랜지스터에 따라서도 음색이 확 바뀐답니다.   
트랜지스터를 바꾸면 당연히 전압 재조정이 필요하겠지요?

덕분에... 트랜지스터 바꿈질에 몰두했더랩니다.
수십 종류... 한 200 개를 넘게 끼웠다 뺐다 한 것 같습니다.

삽질끝에 낙이 왔을까요?

^-----^


FET는 IRF610이 기본 부품인데요, 그것도 좋지만 IRF510 이나 IRFZ24N 을 더 추천하고 싶네요.

다른 한가지...

앰프를 만들었는데 소리가 작아요...
이거... 2N3904 꽂으신 분들일 겁니다.
3904는 NPN형이죠.
그자리에는 PNP형을 꽂아야 합니다.

다른 부품들도 물론 바꿔봤겠죠?
진공관, FET, 커플링 컨덴서, 그 외 다른 부분에서는 느낄만한 차이점은 별로 없더군요.

  • ?
    서상민 2008.06.26 12:28
    저도 심플 mhha 소유주라서 그런지... 한대밖에는 못만들었지만 향후 몇년간 요 앰프로 삽질할것 같습니다...
    정보 감사합니다~^ㅡ^
  • ?
    성호성 2008.06.26 13:50
    영도님 저도 S-MHHA 만들 생각으로 배선도를 이리저리 그려보고 있습니다.
    IRFZ24N는 뭔지 모르겠지만, IRF510은 몇개 있습니다.
    IRF610과 어떤 큰 변화가 있는지... 궁금해 집니다...
    그리고 이 앰프에 사용할 이어폰이 E888인데, 16옴이어서 사용해도 괜찮을지....
    사용한다면 어떤 부품을 바꿔야 할지.. 모르는 것이 너무 많습니다...
  • ?
    황용근 2008.06.26 14:10
    IRFZ24N이 Ti Kan이 beta22, sigma22등에 채용한 그 놈이죠...
    최대 드레인 전류, 내부 저항아 irf640급 이상인데, 입력 커패시턴스가 irf610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라 더 큰 출력을 확보하면서도 고역특성에서 그다지 손해를 보지 않더군요..
    실제로 610과 비교시에는 Z24N쪽이 좀 더 생동감있고 밝은 음색입니다. 다만 뭉뚱그려주는 맛과 여운은 좀 아쉽습니다. SHHA에 있는 구보다 전원부의 패스티알로 사용해 보았는데, MHHA 등의 출력단에 쓰거나 제커스/푸어맨젠 등으로 만들면 어떤 소리가 날 지도 궁금합니다.
  • ?
    이영도 2008.06.26 16:17
    용근님' 말씀이 맞고요. 대략 510과 소리성향이 비슷합니다. 선명한 편이죠.
    16 오옴이면 아마도 출력단 캐피시터를 1000uF 써주셔야 할겁니다. 그래도 찜찜하시면 1K를 1.2K로 바꿔보셔도 좋구요.
  • ?
    박은서 2008.06.28 21:17
    일단 가격적(?)으로도 저렴해서 좋았던 기억도 납니다^^
  • ?
    황용근 2008.06.28 22:49
    그렇죠. 국내 쇼핑몰에서 쉽게 구할 수 있으면서 (IR제 오리지널!!) 가격도 저럼하다는것도 참 메리트있죠 ㅋㅋ

  1. 다이아몬드 버퍼

  2. meier 2.3 ver.

  3. 3번째 작품 A47+듀얼오피버퍼형 버추얼 그라운드 를 altoids 깡통에

  4. cmoy & cha47 자작

  5. 거치형 cmoy,소형 cmoy

  6. 휴대용 Meier ver 2.1

  7. 이제야 시간이 되어 첫작품이 완성 되었습니다.

  8. 3번째 Simple MHHA

  9. SKEL6120 기반의 소형화 헤드폰앰프....

  10. 실비아 씨모이 만들어봣습니다.

  11. cmoy 안습 자작 ㄱ-;;

  12. 또 만든 짜라~

  13. 드디어 만드는군요. MHHA

  14. 베이스 부스트 Cmoy (?)^^;

  15. 찌꺼기 앰프2 ^^; cmoy47

  16. 남는 부품으로 찌꺼기 앰프 만들었어요^^;

  17. Cha47 만들었어요~^^

  18. A47 만들었습니다

  19. 또 MHHA -_-

  20. 재료보다 박스가 비쌌다.CMOY!

Board Pagination Prev 1 ...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132 Next
/ 132
CLOSE
275120 5941469/ 오늘어제 전체     602733 79223483/ 오늘어제 전체 페이지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