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님 자작품(member) - 헤드폰 앰프 관련 자작 게시판 입니다.
조회 수 6339 추천 수 0 댓글 6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회로도 PDF 파일 링크

난생 처음 회로도를 올려봅니다. 한달 전부터 구상해서 현재 95% 정도 완성중인 하이브리드입니다. (뿌듯~)
인덕터만 도착하면 우선 앰프는 완성입니다. 실제로는 회로도보다 전원바이패스캡을 좀 더 썼습니다.

1. 6922 진공관 전압증폭단과 TPA6120 버퍼단의 하이브리드 구성
2. 양전원부 사용으로 출력커플링 생략
3. LM2577-ADJ Step-up DC-to-DC converter로 플레이트 전압 공급
4. 오피앰프 보호회로
5. 볼륨과 진공관 사이에 grid stopper 저항 삽입
6. 12AU7와 6922 겸용 (히터전압 선택)

수 주 동안 질답란에서 하스의 제다이분들을 괴롭히며 그린 회로도입니다. 정말이지 감사, 감사, 감사합니다. (꾸벅~)
4번은 솔직히 소리를 들어봐야 제대로 작동하는지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여차하면 빼버리려구요.. ^ㅅ^;;;

신호부는 SHHA+SOHA+SKEL6120의 짬뽕입니다. 써놓고보니 오리지날한건 하나도 없고ㅡ실력의 절대부족ㅡ짜깁기 앰프가 되었군요.
그래도 그대로 따라하는 것보다는 훨씬 재밋는 것 같습니다.

Headwize와 Head-fi를 검색해보니 아직 6120이 들어간 하이브리드는 없는 것 같더라구요. 그래서 제가 이름을 지어봤습니다.

이름하여 H2!!! HAS와 Headwize의 회로를 짬뽕했으니 H2입니다.
원래는 Hybrid까지 해서 H3라고 하려고 했는데 M^3 따라하는 것 같아서 그만뒀습니다.
(그나저나 그쪽 동네에선 TPA6120에 대한 관심이 별로 없더군요. 역시 앞서가는 하스인듯..)

"자작은 몇 번이고 계속된다.
그리고 설령 소리가 안난다해도 자작은 한번뿐이 아니야.
이제부터 수많은 자작을 해나가지 않으면 안돼.
연애만이 아니야.
일, 병, 인간관계..
싸워야할 상대도 여러 가지야.
성공하기도 하고, 실패하기도하고,울기도하고, 웃기도하고,
그래서 인생은 재미있는거 아닌가?
그렇지 않으면 연전연승으로 죽을때까지 웃기만 하는 그런 인생을 바라나."


그렇습니다. (뭐가 그렇다는거지?)

...

부품 데이터시트를 반이 넘게 읽고 엑셀시트로 생쇼를 하게 만든 최초의 앰프입니다. 좋은 결과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하스의 고수분들께서 회로상 문제점을 지적해주시면 더할나위 없이 감사하겠습니다. ^ㅅ^


/ryanjun
  • ?
    장영준 2005.12.07 01:06
    컬렉터만 53v로 보내면 일단 동작은 하겠다 싶었는데, 그러면 35mA나 흐르네요. 그렇게 되면 고압 전원부에서 감당 할 수 있나요? 1k옴을 늘리거나 아니면 에미터 팔로워를 커플링 다음에 넣으세요.
  • ?
    전일도 2005.12.07 01:06
    고쳤습니다. 에미터에서 -12V로 가는 경로의 1K 저항은 TPA6120의 입력저항과 맞춰야 할 것 같아서 저렇게 한건데 맞는건가요? 이것저것 읽었는데도 완전히 이해는 안가네요..
  • ?
    전일도 2005.12.07 01:09
    앗, 고치겠습니다. ^ㅅ^a 전원부는 계산상으로 0.48A가 최대공급전류량입니다. 전원부는 괜찮을 것 같은데 TR에서 발열이 장난이 아니겠네요. 고치겠습니다. ^ㅅ^a
  • ?
    장영준 2005.12.07 01:15
    전혀 맞출 필요가 없습니다~ 그 저항은 에미터 팔로워의 바이어스를 결정하는데, 지금 회로에서는 대략 (35/R)A 의 전류 바이어스가 걸립니다. TR 마다 다르겠지만 10k 근방으로 늘려주시는 편이 좋겠네요.
  • ?
    장영준 2005.12.07 01:20
    앗 저의 실수 1K옴이 -12V 에 붙어 있군요 -_-; 바이어스 전류는 35+12/R 이겠고 이보다는 접지로 연결하는 쪽을 추천. 같은 전원끼리 묶어주는 편이 나을 것 같은데요.
  • ?
    김준범 2005.12.07 01:21
    아이고 일도님...이러다 전업하시겠습니다. ㅎㅎ
    보고만 있어도 열정이 느껴져 참 좋네요~~ 내용을 이해하는건 포기한지 오래니
    보는사람 지루하지 않게 잡담도 좀 섞어가면서 하세요...^-^ 화이팅입니다!!!
  • ?
    전일도 2005.12.07 01:23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ㅅ^;;;;;;;;;;;;;;;;;;;;;;;;;;;; 10K라면 3.5mA 정도겠군요. 좀 더 흘려도 되지 않을까요?
  • ?
    장영준 2005.12.07 01:25
    네 원하시는대로 하세요 ^^
  • ?
    전일도 2005.12.07 01:26
    준범님.. 저도 울면서 하고 있다구요.. 초등학생이 미분푸는 기분으로.. 흙흙.. ㅠㅗㅠ 그나저나 적는 사이에 실시간입니다.. ^ㅅ^a
    그런데 접지로 연결하면 동작파형이 0V 이하로 내려가지 않는다고 해서 저렇게 한건데요.. 아닌가요?
  • ?
    장영준 2005.12.07 01:31
    평소에 약 35v 걸려있고 그 점을 중심으로 왔다갔다해요. 0v 중심이라면 0v 이하로 내려가야 하지만 35v 라면 아래로 내려갈 여력이 충분히 있죠.
  • ?
    전일도 2005.12.07 01:37
    base에 걸리는게 기준점이군요. 고쳤습니다. ^ㅅ^;;;;;
  • ?
    전일도 2005.12.07 01:41
    사부님만 허락하신다면 앰프 이름을 J2로 바꿀까요.. Jang + Jun해서.. ㅋㅋㅋ ^ㅅ^a
  • ?
    장영준 2005.12.07 17:37
    전체적인 구상은 혼자 다하시고 전 그저 동작점 만을 일러드렸을 뿐인데, 잔소리꾼 이름을 붙여도 되나 모르겠습니다. ^^;; 그 이름은 아껴두시는 편이 낫지 않을까 싶기도 하고요. 어쨌든 좋은 결과 기대하겠습니다.
  • ?
    이기욱 2005.12.07 21:17
    하루 못본사이에 회로가 많이 바뀌었네요. 댓글도 엄청나고.
    중간에 에미터팔로워를 집어넣으셨군요.. 저도 6120을 비반전으로 하는게 더 좋을것같긴한데..(게인 2로)
    뭐 일도님 앰프이니 일도님 맘에 드는걸로 하셔야죠.^^
    이번것은 시험판으로 생각하고 여러가지를 시도해보시는것도 좋겠네요.
    아무래도 멋진놈이 탄생할것같은 느낌이 듭니다..^^b
  • ?
    전일도 2005.12.07 21:42
    지금 생각중인게 어차피 소켓처리한거 기판에서 입력저항이나 피드백저항등을 떼어내고 Jung버퍼모듈과 emitter follower+inverting모듈, non-inverting모듈 이렇게 셋 만들어서 비교해보는겁니다. 곧 시험이 있어서 이번달 열흘 이상은 걸릴듯 하지만 말이죠.. ^ㅅ^;;

  1. No Image

    OmokDAC layout - DAC, HPA

    3. DAC part PCM1794를 이용한 DAC part 입니다. 변환기판은 디바이스마트에서 판매중인 제품을 이용하였습니다. LED는 정상 I2S신호가 인식되고 무음인 상태에서 점등됩니다. 따라서 LED가 소등되는 상태는 두가지가 있겠습니다. 1) pcm1794에 I2S신호가 들어...
    Date2011.05.28 By김희태 Views6586 Votes0
    Read More
  2. 신정섭님 Kumisa III를 만능기판에 만들었습니다.

    이 게시판에 마지막으로 글 올린 게 4년이 넘었군요. 세월 참 빠릅니다. 신정섭님 Kumisa III를 만능기판에 어렵사리 만들었습니다. 신정섭님과 선배 회원님들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회사 일도 바쁘고 개인적인 일도 있고 해서 우여곡절이 많았는데 만들기 시...
    Date2012.03.24 By김형섭(cantabile) Views6526 Votes8
    Read More
  3. QC passed

    또 기척을 해보네요^^ 자유게시판에 살짝 소개만 했는데 주말 짬을 내서 완성시켰습니다. 제 나름 완성도 높여본다고 설쳤는데.. 역시 막손은 어디 안갑니다 ㅠ.ㅠ 아무튼.. 이 앰프 만들때까지 하스에 계신 여러 선배님들의 정보가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이...
    Date2012.02.13 By송영주(dontacos) Views6507 Votes12
    Read More
  4. No Image

    ZEN 헤드폰 앰프 프로젝트 완료기 (수정 및 추가)

    기판을 그리기 시작한지 3개월 만에 젠을 완성하게 되었습니다. 적지 않은 시간과 노력 물량이 들어가서 완성하기 쉽지는 않았지만, 프로젝트성으로 김건우님과 노현준님과 함께 진행하게 되어서 즐겁게 만들수 있지 않았나 싶습니다.제가 두분보다 늦게 완성...
    Date2003.11.02 By지승배 Views6493 Votes0
    Read More
  5. 포터블 진공관 앰프입니다

    옥x에서 판매하는 알류미늄 담배케이스입니다 적당한 사이즈라서 하나 사서 써봤는데 딱인거같습니다 가격은 알토이즈 사탕값과 비슷하지만 두껍고 색깔도 맘에드네요 ㅎㅎ 볼륨저항 넣기전입니다 책상이 엉망이네요 smps가 전부다 노이즈가 나와서 책상에두...
    Date2012.06.03 By박재량 Views6424 Votes1
    Read More
  6. Jay-OD-A, Jay-OD-L 만들었습니다.

    대장님 하사품 Jay-OD-A, Jay-OD-L 을 각각 만들었습니다.. 아무래도 하사품은 빨리 만들어서 올리라는 지시 같습니다. 방금전에도 자작기안올린다고 쪼인트 까신다고 해서 억어지로....이러고 있습니다. 저항은 대부분 가지고 있는 대일저항을 기준으로 만들...
    Date2012.02.03 By김상록 Views6420 Votes6
    Read More
  7. 대출력 파워 앰프 용 30A 파워 스위치 자작 (저용량의 스위치를 이용한)

    현재 170W 파워 앰프 만들고 있습니다. 220V 전원 스위치 의 Amphere 용량이 큰 것을 찾고 있는데 마땅한 것이 별로 없더군요. 특히 대용량일 수록 스위치 모양이 투박해지고  마음에 드는 것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디자인이 예뻐서 사용하고 싶지만 용량이 적...
    Date2011.11.30 By윤성노 Views6414 Votes1
    Read More
  8. 올해 목표로 제작중인 BUF634-Power 1/2 PCB 조립했습니다.

    올해 목표로 제작중인 BUF634-Power 1/2 PCB 조립했습니다. 케이스에 맞추어 제작하느라 좀 늦어지고 있지만 크리스마스 이브에 PCB 조립되었습니다. 보루방이나 드릴 선반같은게 없어 구멍 뚫는데 무려 1시간 이상 소요 되었고, 싼 드릴날은 몇번 사용 못하고...
    Date2011.12.24 By최성남 Views6354 Votes3
    Read More
  9. CMOY 휴대약통 & 알토이즈 버젼

    제가 애용하는 CMOY 앰프 형제와 아이퐁 3GS 입니다. 알토이즈 CMOY, 휴대용 약통 CMOY 그리고 저의 소스인 IPHONE 3GS 와 자작 LOD ( Line Out Device ) 입니다. 부품과 PCB는 페*파*에서 구입한 자작(?)이 아닌 조립품입니다만, 니퍼와 둥근 줄하나로 케이...
    Date2011.12.15 By신용수(Albert) Views6344 Votes5
    Read More
  10. 아직은 미완성, H2.. (회로도)

    회로도 PDF 파일 링크 난생 처음 회로도를 올려봅니다. 한달 전부터 구상해서 현재 95% 정도 완성중인 하이브리드입니다. (뿌듯~) 인덕터만 도착하면 우선 앰프는 완성입니다. 실제로는 회로도보다 전원바이패스캡을 좀 더 썼습니다. 1. 6922 진공관 전압증폭...
    Date2005.12.05 By전일도 Views6339 Votes0
    Read More
  11. No Image

    휴대용 CLASS AB, TPA6120앰프^^;;

    별건 아니지만 CLASS AB와 TPA6120앰프 휴대용으로 만든기념을 올려봅니다~~^^ 배터리팩도 만들고해서~~ 호환되도록 DC잭을 달았습니다~~이제 좀 쉬어야겠습니다... 앰프때문에 마누라랑 대판싸우고...ㅠ.ㅠ;; 1~2달정도 조신하게 살아야겠습니다...ㅎㅎ 만들...
    Date2007.09.21 By황영갑 Views6321 Votes0
    Read More
  12. No Image

    대륙표 MHHA 입니다

    지적해주신 내용 그대로더군요. 같이 동봉된 SMPS 어댑터는 상표가 HP인데 짝퉁인듯 하고, 실제로 열어보니 정말 몹쓸 물건이었습니다. 한없이 저렴한 회로구성을 떠나 조립상태도 아주 엉망인데다 헤드폰을 연결하니 노이즈가 작렬하네요. 전에 회원님께서 ...
    Date2012.12.02 By김나라 Views6298 Votes1
    Read More
  13. Pentium II Hybrid Amp

    지난 연말에 정섭님의 하이브리드 암프에 자극받아 유사품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사용하고자 하는 케이스는 보다 작은것이었습니다만, 방열이 쉽지 않더군요. 그래 눈을 돌린곳이 패품 재활용이었습니다. 한때 PII의 가격이 무척 높었던때가 있었죠. 그당시에...
    Date2005.01.05 By손창원 Views6232 Votes0
    Read More
  14. 브리츠 1000a 개조

    개조 도 아니고 ... 그렇다고 자작도 아닌 글입니다. 솔직하게 영양가는 없네요 ... 스피커 열어서 앰프부 다 잘라서 꺼냈습니다. 싸구려 콘덴서 바꾸고... 선재도 조금 굵은걸로 바꾸고... 스피커 트윗의 콘덴서도 필름콘덴서로 바꾸고.. op-amp 는 ad797 듀...
    Date2011.10.28 By김성태 Views6231 Votes0
    Read More
  15. 제작중인 피메타 & TPA6120A2

    버퍼는 그냥 BUF634 를 주문해 놓은 상태입니다. 한 8~10일 걸린다는것 같습니다.. 꽤 비싸네요 .. 큭.. TPA6120A2 입니다. 케이스를 뭘로 할까 심히 고민입니다. 일단 소리가 나는지 테스트 준비중입니다. 양전원변환입니다. 케이스가 걸리네요 ...이긍...
    Date2011.12.24 By김성태(birgirl) Views6222 Votes2
    Read More
  16. 생애 최초의 PCB자작 - OrCAD,다림질,에칭으로 완성한 FKPS

    요즘 들어 너무 자주 별로 좋지도 못한 글들을 양산하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만 초보의 열기를 주체못해 또다시 글을 올립니다. 이틀전 처음으로 pcb를 에칭했습니다. 회로는 이복열님과 신정섭님의 버젼을 합한 FKPS로 공제 PPA를 양전원변환장치가 아닌 제...
    Date2005.08.25 By김성진 Views6218 Votes0
    Read More
  17. Morgan Jones 헤드폰 앰프

    안녕하세요. 하스의 한 회원님으로 부터 Morgan Jones(이하 MJ) 헤드폰 앰프 PCB를 공제전 테스트 차원으로 받았습니다. 기판입니다. 전원부 실크 인쇄를 살펴보면 단파 AC 전원을 브릿지 정류해서 초크 대신 저항을 사용해서 1차로 리플을 감쇠 시킨후 MOSFE...
    Date2015.03.29 By박경서 Views6160 Votes1
    Read More
  18. No Image

    USB 하이브리드 진공관 헤드폰 앰프 PALM H2에 대한 상세 소개

    광출력 기능이 있는 USB 하이브리드 진공관 헤드폰 앰프에 대한 상세 소개를 드립니다. 최대한 작은 크기에 집약하여 제작을 하고자 PCB 만들었습니다. 전원부 전반에 걸쳐 탄탈콘덴서와 X7R급의 MLCC 콘덴서를 적용하였습니다. 앰프 전원부 앰프부에는 양전...
    Date2008.01.30 By우혁준 Views6147 Votes0
    Read More
  19. 하데스 케이싱 마무리했습니다...

    처음엔 DDC만 참여해서 팜닥과 붙여서 사용하려고 했는데 역시 결국은 모두 세트로 맞추게 되는군요;; 하스 공구에 너무 맛들인거 아닌가 걱정이됩니다...^^ㅎ 거의 대부분 공제 부품으로 했구요, 전원부 캡은 박스 뒤져보니 파나소닉 FC와 FM이 몇개 나오길...
    Date2012.02.23 By한병희 Views6069 Votes3
    Read More
  20. No Image

    Kumisa III

    쿠미사3를 완성했습니다. 회로는 +-24v를 이용하는 헤드와이즈의 원래 회로를 거의 그대로 이용하였습니다. 출력석 : a1394/c5200 드라이브 : a1011/c2344 바이어스 tr : d1138 이외 tr은 bc337/bc327 저항 : 국산 메탈필름 opamp : TL072 이중 출력석은 평활...
    Date2009.11.10 By김희태 Views6066 Votes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32 Next
/ 132
CLOSE
207120 5941401/ 오늘어제 전체     438733 79223319/ 오늘어제 전체 페이지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