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님 자작품(member) - 헤드폰 앰프 관련 자작 게시판 입니다.
2004.02.12 01:08

JLH Headphone Amplifier

조회 수 2821 추천 수 0 댓글 1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JLH 암프는 장순규님이 소개하신것처럼 http://www.tcaas.btinternet.co.uk/jlhphones.htm
에 소개된 암프입니다.
제가 사용한 회로는 1985년경에 발표되었던 2번째 회로를 사용하여 구성해 보았습니다.

다음 설명에는 여기저기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미리 양해부탁드립니다.

1. TO-92버전

초단에 사용된 bc184/214대신 bc550/560B를 사용하였고, 출력석으로는
BD135/136대신 BD137/138를 사용하였습니다.

입력은 PP구성으로 되어있으며, Q1, Q2의 베이스에서 보면, 입력측 직류 성분이 없기에, 베이스에서의 직류 전위는 0V이고 E_B전위 0.6V를 감안하면, R2, R3에 14.4V가 걸리게되어(+/- 15V공급시) 각 Tr(Q1,2)에 4mA정도 바이어스가 걸림니다.
출력석의 바이어스는 6.8 옴인 R11,12에 의하여 결정되며, Q3,4의 E-B간 순방향 동작 전압 0.6V 보다 큰 전압이 R11,12에 걸리면(전류가 100mA보다 크면), 정전류 조절용 Tr인 Q3,4가 On 되어서 출력석의 베이스 전압을 떨구는 일종의 스위치 역활을 하고있습니다.

지난 추석 무렵에 구한 생과자 통을 암프의 케이스로 사용하였습니다.
비교적 작은 방열판을 사용하여, 출력석온도는 50~60도 정도일것 같은 느낌이드는군요. (2초이상 손을 대고있을 수 없슴)

오스콘같은 입력 커플링을 사용하였으면, 더 좋은 소리를 내어주지 않을까 하는 느낌이 들었지만, 가진것이 없어서...

총평은 제 귀로는 다른 암프들과 별 차이점을 못 느끼겠더군요.물론 회로 경로가 짧아서인지, 잡음하나없이 말끔하지만,
DC 를 10mV이하로 유지하기 조금 힘이 들었습니다. 제가 보기에는 가급적 VR2를 다회전 가변 저항으로 하면 DC 조절이 보다 용이했지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VR1을 사용한 이유를 잘 모르겠더군요. 어느분이 설명를 해주셨으면 합니다(임력 임피던스 조절을 위한것인지,입력 cutoff 주파수 조절을 위한것인지) 저는 그냥 중간쯤 올려놓고 사용하고있습니다.


2. SMD버전

먼저 SMD버전 사트리 암프 실패한것이 찜찜해서 한번 만들어 보았습니다.
케이스는 지난번 사트리 넣기위해 구해두었던, 방향제 케이스입니다.
속에 들어가있는 거북이가 실지보면 귀여운데, 사진을 찍으니 포악스러워보이는군요.

다음에 적절한 것으로 교체하여야겠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방열판은 제가 많이 사용하는 폭 3.5cm, 높이 2.5cm To-220용 방열판입니다. 방열판의 양쪽 핀에 탭을 만들고 출력석 4개를
붙였습니다. 녹색 고휘도 LED를 암프아래 악세사리 함을 조명할 생각인데, 아직 배선이 않되었습니다.

입력 Tr은 저잡음용 MMBT5087/5088을 사용하고 있고, 출력석은 BD135/136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공간이 협소하여 출력측 바이어스를
65mA정도로 조절하였는데, 방열판이 따끈한 정도이군요. 80mA까지 키워도 좋을듯.

대용량 탄탈이 없어서, 470U 콘덴서대신 100u 를 사용하고있습니다. 그냥 기분인지는 모르지만, 느낌은 To-92에 비해서
소리가 조금 딱딱한것 같더군요. 아마 탄탈콘덴서에대한 거부감때문인지도.

* 이복열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4-06-25 22:22)
  • ?
    손창원 2004.02.12 01:17
    저는 처음에 누드로 사용하신다는 말이 이처럼 투명한 케이스를 사용하시는 것인줄 착각했습니다.
  • ?
    황용근 2004.02.12 01:34
    smd 버전 바이어스 높이면 저 안의 거북이는 얼어죽을 일이 없겠네요^^
    이번에도 눈요기 잘 하고 갑니다. 언제나 독특한 케이스로 제 눈을 즐겁게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
    장순규 2004.02.12 01:35
    아..... 저 방향제 통..... 안에 젤리같은거 들어있는거 아닌가요?
    지금보니깐 무슨 장식물처럼 정말 보기 좋은것 같습니다.
    불빛까지 은은하게 들어온다면.... 후후...
    잘 봤습니다..........^^

  • ?
    신정섭 2004.02.12 12:27
    100% DIY의 달인이 되신 것 같습니다.
    훌륭합니다. 짝짝짝 emoticon_060
  • ?
    이복열 2004.02.12 15:20
    하하 요사이 자작에 아주 푹 빠지신것 같습니다.
    그때보다 즐거운 시간이 없겠지요.
    즐거운 자작 즐기시기 바랍니다.
    당연히 앰프도 그에 보답하는 소리를 들려줄것입니다.
  • ?
    김영웅 2004.02.12 17:33
    하.. 존경 그자체입니다. 케이스에 비춰지는 부품들이 일품입니다.
  • ?
    김건우 2004.02.12 18:12
    손창원님 좋은 소개 감사드립니다...보석상자 시리즈부터 하나같이 다 주옥같습니다 ( ^^)////
  • ?
    임일환 2004.02.13 01:08
    좋은 작품 소개 감사드립니다. 에칭도 이제는 달인이 되신듯,
    자세한 자작기도 감사드립니다. 퓨어 디스크리트 쪽 소자에 아주 밝으신듯,
    여튼 교과서적인 회로들 좋은 연구자료가 될것 같군요..
    언제나 내공이 저렇게 될지..
  • ?
    임일환 2004.02.13 02:01
    회로 1,2의 초단 전 가변 10k/5k는 그냥 볼륨 아닌가요?
    그래서 설명이 없는것 같은데.. 너무 복잡하게 생각한것이 아닌지요..
  • ?
    손창원 2004.02.13 18:10
    아직까지, 암프 하나에 들어가는 예산이 3만원이 넘지 않아야 한다, 만드는데 소용되는 시간에 2~3일을 넘지 않아야 한다는
    원칙하에 작업을 해오고 있습니다. 그래 독특한 디자인은 간혹 있을수 있겠지만, 정성은 많이 않들어간 작품들이 많습니다.
    좀더 내공을 키우면 그때는 좋은 작품을 만들날이 있겠죠,
    사실 오래전에 전자공학을 했어도, 너무 오랜 기간 떠나 있었더니 아는것이 별로없어서 차근차근 배워가는 중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최근 수정일 최종 글 아이디 이름
2274 Jay-OD-L 케이스 완성입니다 5 file 정두영 2013.05.20 2919 1 2013.05.22 2013.05.22(by 정두영) j4241g 정두영
2273 JAY-Tori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7 김형진 2003.06.30 2091 0 2003.06.30 2003.06.30 windy510 김형진
2272 jay3 le를 만들었습니다 3 file 조성광 2006.05.23 2325 0 2006.05.23 2006.05.23 dhqjrhkd 조성광
2271 JAY3LE.. In My Mind.. 19 file 노현준 2003.07.20 2022 0 2012.05.22 2012.05.22(by 김명섭) 노현준
2270 JJ amp 10 file 최재준 2003.10.12 1905 0 2003.10.12 2003.10.12 govap 최재준
2269 JJ 해드폰 앰프부 14 file 지승배 2003.10.19 1907 0 2012.05.22 2012.05.22(by 김명섭) whiteland 지승배
2268 JJ 헤드폰 앰프 14 1 지승배 2004.05.10 2771 0 2004.05.10 2004.05.10 whiteland 지승배
2267 JJang 엠프 12 file 박은서 2003.11.02 1838 0 2012.05.22 2012.05.22(by 김명섭) 박은서
2266 JJ앰프 10 file 노현준 2003.12.20 1918 0 2012.05.22 2012.05.22(by 김명섭) 노현준
» JLH Headphone Amplifier 10 2 file 손창원 2004.02.12 2821 0 2004.02.12 2004.02.12 sendbox 손창원
2264 JLH 완결판 8 file 손창원 2004.02.17 1947 0 2012.05.22 2012.05.22(by 김명섭) sendbox 손창원
2263 Jung's Buffer를 이용한 PPA 5 file 유재형 2004.09.21 2457 0 2004.09.21 2004.09.21 larcnx 유재형
2262 Jung's Buffer을 이용한 하스만세 앰프 12 file 신정섭 2003.04.30 1974 0 2003.04.30 2003.04.30 sijosae 신정섭
2261 ksc35 와 pia47^^ 3 최윤석 2008.02.22 3048 0 2008.02.22 2008.02.22 chldbs 최윤석
2260 KSP-3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6 엄수호 2004.06.05 1933 0 2004.06.05 2004.06.05 cl1992 엄수호
2259 Kubota PSU 완성 28 52 file 유문구 2012.04.05 4013 4 2012.04.17 2012.04.17(by 안홍욱) nezyx 유문구
2258 Kumisa III file 노현준 2003.08.19 1987 0 2003.08.19   노현준
2257 Kumisa III file 노현준 2003.08.19 1637 0 2003.08.19   노현준
2256 Kumisa III file 노현준 2003.08.19 1673 0 2003.08.19   노현준
2255 Kumisa III 20 file 노현준 2003.08.19 2002 0 2012.05.22 2012.05.22(by 김명섭) 노현준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132 Next
/ 132
CLOSE
303120 5941497/ 오늘어제 전체     678733 79223559/ 오늘어제 전체 페이지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