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EN 헤드폰 앰프 프로젝트 완료기 (수정 및 추가)

by 지승배 posted Nov 02, 200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기판을 그리기 시작한지 3개월 만에 젠을 완성하게 되었습니다. 적지 않은 시간과 노력 물량이 들어가서 완성하기 쉽지는 않았지만, 프로젝트성으로 김건우님과 노현준님과 함께 진행하게 되어서 즐겁게 만들수 있지 않았나 싶습니다.제가 두분보다 늦게 완성을 하였는데, 일단 먼저 자작기 올리겠습니다. ^^*

기판 제작하는데 도움을 주신 대장님, 케이스 만드느라 고생한 건우님 그리고 제작 완성도를 높이는데 도움을 주신 현준님께 감사드립니다. ^^*

지금 사용하고 있는 제 오디오 시스템과 함께 ZEN을 올려놓은 사진입니다.


맨 위에 이번에 완성한 이쁜 ZEN이 있고 아래는 마란츠 7300 CDP가 자리잡고 있습니다. 그 아래는 있는 두녀석은 재준님이 물심(?) 양면으로 도와 들여놓게된, 제 메인 스피커 AE series II에 사용하고 있는 PRIMARE A30.1 인티앰프와 인켈 SAE 튜너입니다.

그럼 완성된 ZEN사진을 몇장 더 올려 보겠습니다.






이전에 자작방에 ZEN관련된 회로도와 제작 팁을 올렸었는데, 또 찾으시려면 귀찮으실까봐 약간 수정하여 이글에 같이 옮겨서 적도록 하겠습니다.


-----  ZEN 헤드폰 앰프 원문 -----

http://headwize2.powerpill.org/projects/showproj.php?file=pellerano_prj.htm

----- 회로도 -----
앰프부

전원부


그럼 제가 제작한 ZEN이 원문과 다른 부분들 몇가지를 나열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전원부>
-. 이전에 자작하신분들중에 원문에서의 평활 회로를 사용시 노이즈가 발생한다는 글들이 많아서 Regulator(LM317 or LT1085)를 이용한 채널 분리형 정전압 회로 구성.
-. 쇼트키 다이오드를 이용한 듀얼 브릿지 회로구성.
-. LM317(1.5A)로 사용하다 LT1085(3A)로 교체하였지만, 두 소자다 열은 꽤 납니다. 꼭 레귤레이터에 방열판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22V/25VA 누드타입의 AMVECO Toroidal Transformer 사용. (사실 하나만 사용해도 되는데, 패스 아저씨의 철학이 트랜스 용량을 큰걸 선호하기에 채널당 하나의 트랜스를 달았습니다.)

<회로부>
-. IRF610쪽 전압 안정화를 위해 100uF 콘덴서와 Drain에 최대한 가깝게하여 0.1uF 필름콘덴서 삽입.

이젠 정작 중요한 만들면서 느낀 주의 사항들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a.
원문에서는 24V의 전압을 얻기위해서 평활회로에 18V짜리 트랜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제가 정전압 회로에 18V트랜스를 사용해본결과 비정전압 어댑터를 사용했을때 처럼 DC험이 들립니다.  22V이상의 트랜스를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b.
반드시 ZTX450의 Base와 Collector단에 실버 마이카를 달아주시기 바랍니다. 전 부품통에있는 200pF짜리를 사용하였습니다. (사진에서 TR자리에 같이 세들어사는 사는 마이카들이 보이시죠?) 이를 달지않을경우 다음과 같은 증상이 생깁니다.

-. 아래쪽 IRF610(Q3, Q4) 의 Drain쪽 전압이 10V이하로 떨어집니다.
-. bais 전류가 220mA 이상을 넘지 않습니다.
-. 일부 고음에서 음이 찌그러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 마이카를 다는 이유는 TR이 고주파발진을 일으킬수 있기 때문에 이를 잡아주기 위해서 단다고 합니다. (정호윤님 사이트 참조)

c.
출력단 DC 값의 변화
18V 트랜스 + no 마이카 ==> 7mV
18V 트랜스 + 마이카 ==> 2mV
30V 트랜스 + 마이카 ==> 0.3mV 이하

현재 22V/25VA를 사용하고 있는 구성에서 0.5mV 정도의 DC가 잡힙니다.

원문에서는 저 임피던스 헤드폰에서 험이 있다고했는데, 정전원부를 구성하고 마이카를 다니 rs-1을 물려도 전혀 험이 들리지 않는군요.

d. 방열문제
현재 210mA의 바이어스를 걸어주고 있는데, IRF610이나 LT1085모두 발열이 상당히 심합니다. 특히 IRF610은 케이스 방열을 하시거나 방열판을 큼지막한 놈으로 달아주셔야 할것 같습니다.현재 제가 사용하고 있는 방열판도 잘 사용하고는 있지만, 좀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긴합니다. 그리고 케이스에 넣으신다면 구멍을 뚫어주시는것은 필수입니다.

즉, 핵심 주의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i. 트랜스 입력전압은 22V이상을 사용. (용량은 채널당 300mA이상으로)

ii. ztx450의 Base와 Collector사이에 (2번 3번 핀) 마이카 콘덴서 연결


- 소리의 경향 -
RS-1에 물려서 들어본 느낌을 간단히 적어보자면 음악에 상당한 힘이 느껴집니다. 깊고 풍부하게 들리는 저음은 편안하면서도 쫀득쫀득하게 음악을 듣는 맛이 나게 해주고 있습니다. 특히 드럼소리와 현악기 소리가 참 좋게 들리는군요. 처음에 제작할때 우려되었던 해상도는 PPA 못지 않은 해상도를 보여줍니다. IRF610소자로 4개로 이런 성능을 끌어낼수 있게 설계한 PASS아저씨가 참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고, 항상 좋은 회로를 공개하는 패스 아저씨께 감사하게 됩니다.

항상 즐거운 취미 생활이 되시길 바랍니다. ^^

하스만쉐~~~~!!!


------------------------------------------------------------------
원문의 zen에서 하나더 발견한 현상이 있어서 올릴까 합니다.
원문에서는 바이어스를 조절하기 위해서 R16(원문에서)를 가변저항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뚜껑을 덮고 3시간 이상 지나자 "지직~"하는 잡음이 간헐적으로 들렸습니다. 그래서 열문제에 의해 가변저항이 문제를 일으킬것 같아서 이부분을 고정저항으로 수정하였습니다.

결과는 대만족입니다. 9시간을 테스트 해도 아무 이상이 없습니다.(건우님,현준님 고생하셨습니다. )

그럼 이 가변저항을 바꿔줄 고정 저항값과 회로상의 2.2옴에서 측정되는 전압값을 나열해 보겠습니다.

10k : 0.33V  ==> 150mA 바이어스
14k : 0.37V  ==> 168mA 바이어스
20k : 0.40V  ==> 180mA 바이어스
33.2k: 0.48V ==> 218mA 바이어스

이상입니다. 본인이 원하는 다른 바이어스 값들은 실험을 통해서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
* 이복열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4-06-25 22:20)

Article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