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님 자작품(member) - 헤드폰 앰프 관련 자작 게시판 입니다.
2003.08.30 02:21

[[[ ZEN 자작기 ]]]

조회 수 3622 추천 수 0 댓글 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년전쯤에 처음 회로도를 접하고(아마 은서님이 올려주시지 않았었나 싶습니다.), 기약없이 언젠간 만들지만 외치던 앰프를 이제서야 완성하게 되었네요..

적지않은 준비기간과 비용, 노력이 들어간 만큼 애착이 많이 갑니다. 물론 제가 처음으로 PCB 아트웍을 한 작품이기도 하구요. 이제 천천히 이쁜 케이스를 만들어 넣어주는 큰일이 남았네요..

회로도 쪽은 젠 원문을 활용하였고, 전원공급은 원문처럼 LPF를 구성할경우에는 노이즈가 생긴다는 말이있어서 웰본랩의 PS1으로 새로 정전압부를 구성하였습니다. (상업상의 목적이 아니므로 이용해도 괜찮고, 실제로 LT1085의 datasheet내용에 나오는 정전압부와 95%정도 유사하군요. )

자~ 그럼 회로도 부터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앰프부

전원부


제작하기 전에 부품 마음을 안고 부품을 준비한 상태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이때까지만 하더라도 '부품만 실장하면 되겠구나..' 라는 생각을 하면서 편안한 맘으로 찍었었드랬습니다. 하지만 세상일이 다 자기 뜻대로 되는게 아닌지라.. 고생을 하게되기 마련이군요.. 무슨일이었는지는 뒤에서 차차 이야기 하겠습니다.


그럼 제작한 ZEN에서 원문과 다른 부분들 몇가지를 나열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전원부>
-. 브릿지 회로나 역전류방지 다이오드를 shottky diode를 이용하여 구성.
-. LM317사용 ==> 향후 ref. voltage가 좀 더 정확하고 전류량이 3A가 되는 LT1085로 교체 예정. 하지만 지금도 전압도 잘 나오는군요.. --;
-. 채널 분리형

<회로부>
-. IRF610쪽 전압 안정화를 위해 100uF 콘덴서와 Drain에 최대한 가깝게하여 0.1uF 필름콘덴서 삽입.

이상입니다.  그럼 중요한 말들을 적기전에 완성된 사진을 잠시 보시고..







그럼 이젠 정작 중요한 만들면서 느낀 주의 사항들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a.
원문에서는 24V의 전압을 얻기위해서 18V짜리 트랜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제가 18V트랜스를 사용해본결과 비정전압 어댑터를 사용했을때 처럼 DC험이 들립니다.  이를 잡기 위해 30V(15V+15V)로 테스트해본 결과 전혀 DC험이 생기지 않습니다. (현준님의 도움이 컸습니다. ^^)

b.
반드시 ZTX450의 Base와 Collector단에 실버 마이카를 달아주시기 바랍니다. 전 부품통에있는 200pF짜리를 사용하였습니다. (사진에서 TR자리에 같이 세들어사는 사는 마이카들이 보이시죠?) 이를 달지않을경우 다음과 같은 증상이 생깁니다.

-. 아래쪽 IRF610(Q3, Q4) 의 Drain쪽 전압이 10V이하로 떨어집니다.
-. bais 전류가 220mA 이상을 넘지 않습니다.
-. 일부 고음에서 음이 찌그러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 마이카를 다는 이유는 TR이 고주파발진을 일으킬수 있기 때문에 이를 잡아주기 위해서 단다고 합니다. (정호윤님 사이트 참조)

c.
출력단 DC 값의 변화
18V 트랜스 + no 마이카 ==> 7mV
18V 트랜스 + 마이카 ==> 2mV
30V 트랜스 + 마이카 ==> 0.3mV 이하

-. 원문에서는 저 임피던스 헤드폰에서 험이 있다고했는데, 정전원부를 구성하고 마이카를 다니 rs-1을 물려도 전혀 험이 들리지 않는군요.

d. LM317의 온도 변화
한 채널로 양쪽단을 구동시키면 손으로 만질수 없게 뜨겁군요.. (bias를 230mA걸었을 경우)
하지만 한 채널 구동시에는 발열이 미비합니다.


즉 핵심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i. 트랜스 입력전압은 22V이상을 사용. (용량은 채널당 300mA이상으로)

ii. ztx450의 Base와 Collector사이에 (2번 3번 핀) 마이카 콘덴서 연결


- 현재 상태 -

일단 BC 컴포넌트 콘덴서의 내압이 40V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30V 트랜스 테스트를 위해서 잠시 Rubycon 50V짜리 콘덴서를 사용하였었습니다. 개인적으로 BC를 사용하고 싶고 트랜스를 하나만 사용하기 위해서 22V/ 25VA정도의 트랜스로 바꾸는 일이 남아있습니다. 또한 케이스가 남아있기 때문에 하루 정도 음악을 듣고 RCA 잭을 빼놓은 상태입니다.


- 소리의 경향 -

아직 충분히 들어보지 못했기 때문에 정확히 말씀드릴 수는 없지만, punchy가 느껴지는 베이스와 시원한 소리를 장점으로 꼽을 수 있을것 같습니다. 특히 바이올린이나 기타의 현악기 소리가 참 좋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좀 더 자세한 리뷰는 다 완성이 된후 천천히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긴글 읽으시느라 고생많으셨는데 자작하시는데 도움이 되는 글이 되길 바라면서 이만 줄이겠습니다.



하스만쉐~~~~!!!

* 이복열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4-06-25 22:19)
  • ?
    최문협 2003.08.30 02:34
    ..... ..... .... 정말 예술이군요...
    소리도 예술일것 같습니다...
    저기다 케이스마저 쒸우면......;;;;
    중간중간 끼여있는 작은 bc 콘덴서 정말 귀엽네요.... (으.. 갖고 싶다..;;)
  • ?
    이복열 2003.08.30 03:10
    아! 거의 환상적 입니다. 색의 조화 부품 배치 등등 거의 완벽합니다.
    기분이 뿌듯할줄 압니다.
    그동안 수고했어요.
    이제 하스 작품은 어디 내 놓아도 일등입니다. 저도 하스 만쉐~~~~!!!
  • ?
    신정섭 2003.08.30 05:02
    후와. 마치 첨단 산업기지를 바라고보 있는 모습입니다.
    Zen은 아직 만들어 보지 않았으므로 향후 제작시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
    장순규 2003.08.30 06:11
    아..... 다시 만들고 싶군요.... ㅜㅜ

    마이카를 달긴 달아야할 모양입니다.....
  • ?
    김영웅 2003.08.30 08:06
    깔끔하고 멋진 사용기 감사드립니다. 저같은 초보가 나중에 제작할때 무지 도움이 될거 같네요. 일단 복사해두고 천천히 읽어보려 합니다.
  • ?
    노현준 2003.08.30 08:37
    후아~~ 승배님의 음악생활을 더욱 즐겁고, 촉촉하게 해주리라 믿어 의심치 않는 작품이입니다.. 연이은 하스의 명작들로 정신이 아찔할 지경입니다.. @_@
  • ?
    전국경 2003.08.30 09:07
    그동안 승배님이 조용하시더니..끝내는 큰 사고 하나 치시는 군요..하하하
    정말 멋집니다.. 부품수급도 만만치 않았을것 같은데 케이스입히면 하스 명작품으로 남을것 같군요..
  • ?
    최재준 2003.08.30 12:00
    드디어 만들어졌군요. 오리캡을 좋아하시는 것 같네요. ^^ 모든 험을 잡았다니 다행입니다.
  • ?
    김성중 2003.08.30 16:36
    햐~~ 회로구석구석이 시원시원하니 배치도 맘에들고, 정말 훌륭한 작품 잘 감상했습니다...
    파란 콘덴서도 인상적이고, 저 노란 콘덴서가 아우리캡이군요... 윽, 저기서 나오는 소리가 무지 궁금하네요, 들어보고 싶네요... 따봉 ^^;
  • ?
    손창원 2003.08.30 20:51
    기판 한가운데 높이 솟아있는 스텐드오프의 용도가 궁금하군요.
  • ?
    지승배 2003.08.30 22:54
    오리캡의 소리는 맑고 선명한 소리를 들려줍니다. 그리고 기판한가운데 기판 지지대는 아직 작업할 일이 남아있기 때문에 달아놓은것 뿐입니다. 나중에 케이스에 넣을때에는 높이가 낮은 놈으로 바꾸어 주어야죠.. ^^*
  • ?
    이학민 2003.08.31 00:43
    소위 말하는 고급부품들이 줄줄이 들어갔네요..ㅎㅎ 멋집니다.. 투자한만큼 이상의 소리를 내어주겠죠.. 부럽습니다.. 요즘 하스에서 제가 가장 부진한듯..-.-
  • ?
    임일환 2003.08.31 01:40
    와 지승배님 기판을 수령한게 jackpot이었다는것을 실감합니다. 바이올린 현소리가 좋다니 찌리리 환청이 들리는
    기분이군요. 훌륭한 작품 잘 보았읍니다.
  • ?
    지승배 2003.08.31 23:37
    따뜻한 칭찬과 격려의 글 감사드립니다. 부디 자작하시는데 작은 정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
    김건우 2003.09.01 09:27
    멋집니다 멋져요( ^^)// 대장님이 말씀하셨던 멋진 젠이 여기있었네요...승배님 드디어 제 차례로군요..
    저는 오늘밤 작업들어갈까 합니다....^^ 그간 젠땜에 승배님 고생 많이했어요...이렇게 결과가 좋으니 정말 다행입니다( ^^)///

  1. 지승배님 변형 PPA

    지승배님께서 자유게시판에 언급해주신 PPA의 일부를 차용하고 직접 그리신 기판에 대한 보고입니다. 회로의 자세한 연원이나 변형부분은 자유게시판의 글과 링크를 참조하세요. > 간단히 말하자면, 기존 Meta42의 보완이라 할수 있습니다. 기존 Meta42와의 ...
    Date2003.08.31 By박은서 Views3749 Votes0
    Read More
  2. [자작극]마이어 옷입혀주다....

    안녕하세여.~ 이번에 마이어에다가 케이스를 엽혀봤습니다. 여기저기 케이스를 찾던중에 편의점에서 파는사탕통을 보고 얼씨구나 하고 사왔죠.. 비싸군요 2900원... 노브는 이쁜게 없어서 일단 공석^^ 일단 이거를 이리저리 가공할려고. 드릴까지사고 꽤나 지...
    Date2003.08.31 By어광배 Views2111 Votes0
    Read More
  3. No Image

    [[[ ZEN 자작기 ]]]

    1년전쯤에 처음 회로도를 접하고(아마 은서님이 올려주시지 않았었나 싶습니다.), 기약없이 언젠간 만들지만 외치던 앰프를 이제서야 완성하게 되었네요.. 적지않은 준비기간과 비용, 노력이 들어간 만큼 애착이 많이 갑니다. 물론 제가 처음으로 PCB 아트웍...
    Date2003.08.30 By지승배 Views3622 Votes0
    Read More
  4. 짜라(RA-1) 완성 ^^

    하스가 요즘들어 부쩍 활기를 띄는것 같아 마음이 한편으론 기쁨에 들떠기도 하고 왠지모를 부담감이 마음을 억누릅니다...대장님이 즐겨쓰시는 숙제를 해야한다는 느낌이랄까요? ㅋㅋ 솔직히 요즘 자작방을 돌아다니며 대장님, 신정섭님, 기타 회원분들의 놀...
    Date2003.08.29 By김성중 Views2404 Votes0
    Read More
  5. [따라하기]SDS

    안녕하십니까? 처음으로 이곳의 도움을 받아 처녀작을 올립니다. 부품을 모두 실장하고 동작을 시키니 소리가 지지직 무작정 아는 지식 없이 베끼다 보니 잘못된 부분을 제실력으로 찿을려니 앞이 깜깜해 지더군요. 부품실장,납땜부분 수 없이 확인해도...
    Date2003.08.27 By전봉원 Views1957 Votes0
    Read More
  6. 제작중인 ZeN 입니다.

    이미지가 약간 어둡게 나왔네요. 아직 미완입니다... *^^ 일단 재성님의 배선도를 참고하여 약간 modify 해서 부품을 배치한 다음 그대로 부품간의 리드를 연결하여 제작중입니다. 점퍼선이 1개 존재하는 배치라서 부품의 리드를 이용하면 별도의 배선재가 전...
    Date2003.08.26 By김주영 Views2012 Votes0
    Read More
  7. 양전원 모듈

    듀얼 암프와 하스2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로 40VA 트로이달 트렌스를 가지고 +-15V 양전원으로 만들었습니다. 전선은 4전 에어콘 전선 패기된것을 가지고 마이크용 3pin 코넥터를 이용하여 만들었습니다. 이것으로 대부분의 양전원 헤드폰 암프는 구동...
    Date2003.08.25 By손창원 Views2023 Votes0
    Read More
  8. 듀얼 암프

    다이아몬드버퍼암프와 메타42를 함께 넣어 만든 암프입니다. 하스2.1과 같은 케이스를 사용하였고, 뚜껑부분의 렉산과, 거울을 함께사용했습니다. 다이아몬드버퍼의 켄티알이 뜨거운것이 조금 걸리지만, 소리는 박력있고 좋군요. 메타 42나 다이아몬드버퍼 둘...
    Date2003.08.25 By손창원 Views2071 Votes0
    Read More
  9. 하스2.1

    일전에 공구불발된 하스2.1입니다. 완성된지는 좀 되었지만 오늘에야 사진찍어 올립니다. 케이스는 2500원주고 구입한 보석상자입니다. 뚜껑은 렉산으로 투명하게 처리했고, 전원은 15V양전원을 3pin 마이크단자를 사용했습니다. 사잔은 별로지만 실물을 보면...
    Date2003.08.25 By손창원 Views2006 Votes0
    Read More
  10. 복각 Meier ver 3.0

    뭐 다른 분들의 독창적인 작품에 비할바는 아니지만 저의 최초 헤드폰 암프라 공개합니다. 신정섭님께 감사드립니다. 자세한 실체도와 설명 덕분에 실패없이 만들수 있게 되었습니다. 보시다시피 실비아케이스를 이용했습니다. 볼륨은 20KB 알프스를 사용, TL...
    Date2003.08.24 By손창일 Views1923 Votes0
    Read More
  11. {자작극}허접 META42 ...

    안녕하세여.... 이번에... 허접한 실력으로 meta를 만들어봤습니다.. 일단 사진을 보시면..알겠지만..... 올릴까 말까하다가 결국 올렸습니다.. 일단. 전원부, 앰프부, 입출력부 를 모듈화한다고 해서 만들었는데.. 하다보니 신정섭님 버젼이랑 유사 하게 갔...
    Date2003.08.24 By어광배 Views1927 Votes0
    Read More
  12. No Image

    마이어.. 실패...ㅠ_ㅜ

    며칠밤을 새가며 작업한 마이어... 결국은 실패해버렸네요.. 겉모습은 멀쩡해 보이지요.. 아쉬어서 사진이라도 찍어봤습니다..ㅠ_ㅠ 실패의 직접적인 원인은 스위치와 기판에 남아있는 플럭스(?)때문. 특히나 스위치볼륨으로 양전원사용하는건 무리였던걸까요...
    Date2003.08.21 By안태희 Views1510 Votes0
    Read More
  13. 마이어 가지고 꽃단장 해봤습니다-_-;;...

    게시물 새로 올리기 좀 그래서 전 글을 수정합니다.. 일단. 전원입력단에다가 스위치를 달고 나니까 전원 on/off 시에 퍽퍽 하는 굉음이 거의 사라지는군요. 하하하 그리고 양단자에 콘덴서 좀더 늘리고여. 그리고 opamp를. bb 637로 꾸몄습니다.. 거기다가cl...
    Date2003.08.19 By어광배 Views1962 Votes0
    Read More
  14. 또 CHA47

    이번엔 좀 더 완성도를 높였다고 해도 될런지.. 어쨌든 전 이전 분들이 하신것 처럼 에칭은 불가능 할 것 같고... 전 주로 부품의 다리를 자르지 않고 그것을 그냥 배선으로 이용하죠 첫번째 그림은 전에 올렸던 CHA47인데 아무래도 이게 배선이 좀 깔끔하지 ...
    Date2003.08.19 By박원웅 Views1831 Votes0
    Read More
  15. [자작기]Universal CMOY 에칭 ^^

    디카가 없는 관계로 그동안 자작품 사진하나 올리지 못했습니다. 이런 저런 생각 끝에 집에 놀고 있는 캠코더로 디카를 대신 했습니다. 에고.. 역시나 화질이 영 아니네요... 일단 간단하게 자작내용을 적자면 이렇습니다. 기판의 대부분의 형태는 신정섭님이...
    Date2003.08.18 By안은상 Views1999 Votes0
    Read More
  16. No Image

    cha47 & 제커즈 & 봐블리...

    최근에 하스를 알고난 후 변한거라면 가장 많이 가는 사이트가 바뀌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매일 들러며 잠깐동안 벌써 3개를 만들었더군요... 앰프 자작이 하나로만 끝나진 않을거라는 회원님들의 얘기는 너무도 정확했고, 아직도 시간과 여건(부품수급)...
    Date2003.08.18 By김성중 Views4870 Votes0
    Read More
  17. No Image

    Cmoy자작 및 청음소감

    보통의 씨모이에서 LED랑 스위치 연결부 뺀 형태입니다'' (완전저렴실속형;) 자게에서도 언급했지만.. 부품사러 다닌 곳이나 제작 방법이나 다 김희태님의 도움이 아주~ 컸구요 아마 제일 쉽게 자작을 시작한 인간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CT-790+PRO5-V 물...
    Date2003.08.18 By이보람 Views1796 Votes0
    Read More
  18. No Image

    제커스 만세 하스 만만세

    그렉 제커스, tomohiko, 신정섭님 조경남님 Xin Feng이라는 제 납땜 Guru님 그리고 벌레잡기에 도움을 주신 여러 회원님들께 감사드립니다. 일주일전에 다이오드 두개를 장렬히 전사시킨 페놀 기판을 뜯고, 3-4일간 쳐박아 놨다가 어제 심기일전 작업시작했읍...
    Date2003.08.17 By임일환 Views1893 Votes0
    Read More
  19. [자작기]cmoy, cha47

    안녕하세여^^ 드디어. cmoy 랑 cha47 을 만들었습니다... 몇일전에 0.1uf를 추가하고 나니까 정상적으로 소리가 들리더군요.. 오늘도 cha47를 걍 대충대충하면서 만들다 보니 땜질한군대를 안한걸 찾느라 1시간동안 쩔쩔매고...으휴... 다음부터 만들때는 정...
    Date2003.08.15 By어광배 Views1868 Votes0
    Read More
  20. No Image

    [참고] 앰프 전원에 관한 짤막한 경험담

    안녕하세요. 김 주 영 이라고 합니다. 아직 신참이지요. *^^ 오리지널 Szekeres 를 보유중이던 싸구려 부품으로 간단하게 만들어서 잘 사용하고 있구요.( 음은 결코 싸구려가 아님에 놀람 ) 현재는 Zen이나 DoZ를 노리고 있는 중인데... 이건 PCB 에칭을 하려...
    Date2003.08.13 By김주영 Views1956 Votes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 132 Next
/ 132
CLOSE
387120 5941581/ 오늘어제 전체     1058733 79223939/ 오늘어제 전체 페이지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