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님 자작품(member) - 헤드폰 앰프 관련 자작 게시판 입니다.
조회 수 2047 추천 수 0 댓글 2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지난주 일요일 하는거 없이 TV만 보고 있다가 납냄새가 그리워지더군요(벌써 중독이...헉)

같이 사는 동생(동생이랑 자취합니다..)의 눈치를 무릅쓰고 인두를 꺼내려는데 동판이 보이더군요..

에칭할려고 사놓았었는데 그동안 까먹고 있었습니다..요즘 기억력 감퇴가 오는것 같습니다..납중독의 폐해인가요?...^^

아무튼 동판꺼내놓고, 한달전 프린터해둔 에칭용 PCB패턴도를 찾아내고, 다리미 꺼내고, 에칭액 꺼내고,....등등등

제 동생은 옆에서 이젠 화학공장 차렸냐고 투덜대고 말입니다..(니가 어찌 자작의 맛을 알리오...두~~웅)

다리미 온도 최대로 올리고 나서 작업 시작했습니다..결론은....
.
.

실패
.

.
패턴이 다시 시트지로 붙어 일어나고, 패턴이 삐뚤삐뚤...완벽한 실패입니다..
자체 분석한결과 실패한 원인으로 보면


1. 온도조절의 실패 - 다리미 온도를 최대로 맞쳐놓고 작업시, 얼만큼의 가열시간이 필요한지 잘 몰랐던거 같습니다..
신정섭님이 올리신 글에는 20~30초라고 하셨는데..이건 각자의 상황에 따라 다르지 않을까 합니다..
제가 1분이상 했을시 패턴이 찌그러져 나오더군요..경험으로 여러번 시행착오를 겪어야 할것 같습니다.
너무 시간을 짧게 잡으면 패턴이 동판쪽으로 넘어가지 않구요.

2. PCB패턴의 실패 - 다른건 모르겠는데..패턴이 너무 얇았던것 같습니다..
공장에서 기계로 찍어내는 경우 패턴이 일정하게 나오는데..
자작의 경우, 기성품과 같은 패턴의 두께는 무리라고 봅니다..동판으로 옮길때의 오차, 에칭할때의 오차 등
지난번에 제가 올린 화일의 선 굵기가 아마 0.8mm로 기억(가물가물~~~)하는데..
적어도 1.5mm이상 나와야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3. 프린터의 문제 - 사무실에 있던 hp5000 레이저 프린터로 작업했는데..
이게 오래된거라 제대로 토너가 묻어지지 않았을까 하는 의문도 생깁니다..
눈으로 보기에는 정상적으로 프린터된거라 하더라도 토너가루의 묻음이 불규칙할수도 있겠구나하는 제가 내린 결과입니다.
이건 후에 사무실에 있는 다른 레이저프린터 hp5100으로 시도해보도록 하겠습니다..

4. 프린터후 시트지의 시간경과 - 제가 시트지에 프린터하고 한달이 지난후니까, 토너가루가 오래되어 좀더 용지쪽으로 붙었지 않았나 봅니다..
요것도 테스트 예정입니다..


시간이 날때 다시 한번 시도해보고 결과 올리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실패한 기판에다 PCB홀을 드릴날 사다가 직접 뚫어봤는데, 핸드드릴 마련해야겠다는 생각이 절로 나는군요..10개 뚫고 손이 아파 포기했습니다.

그럼 즐거운 자작생활하시길...

ps) 저 좀 있다가 HD600 마련합니다. 자금사정......모릅니다(--)..될대로 되라 입니다.
* 이복열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4-06-25 22:18)
  • ?
    신정섭 2000.03.05 00:00
    최근 어떤 해외 자작인은, 다리미 온도가 높을수록 좋고 그 상태에서 무려 3분여간이나 눌렀다고 하더군요. 하여간 자기만의 방식을 찾으시면 그 다음부터는 그다지 어렵지 않더군요
  • ?
    신정섭 2000.03.05 00:00
    물론 저도 100% 만족 보다는 80% 정도선에서 만족하고 부족한 20%는 가는 네임펜 등으로 보충하는 식으로 해결합니다. 그것이 정신 건강이나 시간상 좋더군요.
  • ?
    신정섭 2000.03.05 00:00
    그래서 요즈음은 단번에 끝내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하여간 좀더 간단하고 작은 패턴으로 먼저 연습해 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
    박은서 2000.03.05 00:00
    사용하는 용지에 따라 다른것같습니다. 고열에 힘을주어 다림질을 오랫동안 하면 종이면의 비닐면이 같이 울면서 직선인 패턴이 구불구불되던적이 있습니다.
  • ?
    전국경 2000.03.05 00:00
    조언 감사드립니다...패턴도 수정부터 한다음에 시작할려고 합니다.
  • ?
    박건희 2000.03.05 00:00
    동판을 먼저 약간 가열한다음 하면 조금더 잘 되는것 같더군요. 그리고 시트지는 테이프로 잘 고정시켜 하면 패턴이 구불구불 해지지 않습니다.
  • ?
    정희섭 2000.03.05 00:00
    너무 오래 다리면 비닐이 녹아나죠.. 그래서 패턴이 다시 옮겨가거나 그런겁니다. 천천히 기다리셔셔 잘 식히고 완전히 식으면 *천천히* 떼어주시면 잘 될겁니다.
  • ?
    정희섭 2000.03.05 00:00
    테이프 붙이는것도 좋습니다. 그러나 접착제도 녹아나기 때문에 이것도 주의하세요. (잘 안닦입니다)
  • ?
    정희섭 2000.03.05 00:00
    아참..! 에칭액속에서 부식중인 기판을 흔들면 네임펜도, 레이저 프린터로 찍은 패턴도 다 녹아버립니다.. 주의 -.-
  • ?
    강성훈 2000.03.06 00:00
    그사람말대로 해보긴할텐데..별로기대는않하게 되는군요>> 잉크젯용지는 거의 써본지라.저의경우는 않흔들어도 넹미펜이 떠요.다른회사제품은 다를까나?..
  • ?
    신정섭 2000.03.06 00:00
    용지마다 틀린가? 저는 아무리 흔들어도 토너가 떨어지진 않더군요. 한편 흔들어야 에칭도 더 잘되고 중간과정을 확인해야 하니까요.
  • ?
    신정섭 2000.03.06 00:00
    정말 외국에선 포토잉크젯용지에 하는 사람도 있더군요. 전 안해봐서 모릅니다만 일단 용지가격은 꽤 비싸죠? 하여간 별것 아닌 요령만 터득하면 이 방법만의 어떤 "짜릿함"이 있습니다.
  • ?
    신정섭 2000.03.06 00:00
    열을 받으면 종이가 우글거리고, 종이내 수분도 바깥으로 빠져 나오고 해서 패턴도 흔들리거나 제대로 안나오기 일쑤입니다. 기판이 좀 크다면 단번에 다림질하기 보다는 구석부터 붙여
  • ?
    신정섭 2000.03.06 00:00
    나가는 방식이 좀더 성공률이 높습니다. 온도가 높아야 기판쪽으로 토너가 옮겨가고 기판이 식은후 떼어야 토너가 기판쪽에 남아 있게됩니다.
  • ?
    강성훈 2000.03.06 00:00
    그러게요..지금까지는 1/5 타작 정도 했던것 같은데요..땜빵하려해도 네임펜이 뜨는 관꼐로~~.차분히 한번 성공률을 높이는 쪽으로 해봐야할것 같습니다...
  • ?
    박건희 2000.03.09 00:00
    http://www.techniks.com/
  • ?
    박건희 2000.03.09 00:00
    이곳에 가시면 'Press-n-Peel PCB Blue Transfer Film' 이란것을 팔지요. 이게 PCB 에칭기판 인쇄용으로 나온 특수 용지입니다. 가격은 좀 되지만 포토잉
  • ?
    박건희 2000.03.09 00:00
    크젯 용지보다는 싸지 않을까 합니다. 뜨는것도 덜 뜰거 같구요. 아무래도 전용으로 나온 필름이니까요. 국내에 있는지 한번은 뒤져볼만한 용지라고 생각됩니다. ^^;;
  • ?
    강성훈 2000.03.09 00:00
    네~건희님 아무래도 저도 그걸 쓰는게 정신건강상 좋지않나 생각 중에 잇습니다...
  • ?
    강성훈 2000.03.09 00:00
    몇번 더해보고....저한테 않되겠다 싶으면 찾아나서야지요...^^감사합니다
  • ?
    신정섭 2000.03.09 00:00
    시트지 뒷면으로 잘 안되나 보지요?
  • ?
    강성훈 2000.03.11 00:00
    아~적당히는 모두 그럭저러 잘나와요 정섭님..저한테맞는 아주확실한넘을 찾는데 말이죠.^^아무래도 열처리 문제인것 같기도하구요..다리미를 꼭 새로 사야하나.망설이고있습니다...^^
  • ?
    김명섭 2012.05.22 01:59

    에칭이란 상당히 어렵군요 ㄷㄷㄷ


  1. No Image

    만능 META42

    만능이라고 이름 붙인 것은 여러가지 기능을 할수 있어 그렇게 이름을 붙였습니다. 내부 META42는 하드 가이드를 이용한 것에 사용한 것인데... 실패작이고 해서 뜯어내고 여기에 다시 넣었네요.. 일단 케이스는 세운상가에서 만원주고 구입한 것입니다. 상당...
    Date2003.03.15 By고재성 Views1906 Votes0
    Read More
  2. No Image

    젠 완성했습니다

    젠 이퀄라이저랑 타이머 뺀 버전 만들었습니다 바이어스는 제가 495와 sr80을 쓰고 있어서 200ma 정도를 잡아놓았구요 전원은 24볼트 어댑터와 7824를 사용하였습니다 7824에는 제 제커스에 쓴 방열판과 똑같은것을 달아주었는데, 발열이 무지 심하네요. 언젠...
    Date2003.03.13 By김희태 Views1975 Votes0
    Read More
  3. No Image

    TORI 와 ZEN 실체 배선도

    TORI는 흔하지만 그래도 한번 만들어 봤습니다. TORI 실체배선도 링크 http://haparts.no-ip.com/ZBoard/view.php?id=ha_parts&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30 ZEN은 상당히 좋은 앰프인데 만든 사람이 없...
    Date2003.03.09 By고재성 Views3244 Votes0
    Read More
  4. No Image

    [자작기]마이어2.3a

    어제.. 김병태님,조자휘님과 같이.. 종로3가로 나갈 계획을 해 놓았는데 문제는.. 토요일.. 아시겠지만.. 중요한 상가들(이화전자.. 등등..)은 모두 2~3시면 닫습니다 그래서 1시에 끝나면 지하철로 40분 걸리니 최대한 뛰자는 계획이였는데;; 학교에서 갑자...
    Date2003.03.08 By강희백 Views1846 Votes0
    Read More
  5. No Image

    [실패기] 에칭 실패했습니다..

    지난주 일요일 하는거 없이 TV만 보고 있다가 납냄새가 그리워지더군요(벌써 중독이...헉) 같이 사는 동생(동생이랑 자취합니다..)의 눈치를 무릅쓰고 인두를 꺼내려는데 동판이 보이더군요.. 에칭할려고 사놓았었는데 그동안 까먹고 있었습니다..요즘 기억력...
    Date2003.03.05 By전국경 Views2047 Votes0
    Read More
  6. No Image

    제작기-길모어 완성

    첫번째 했던게 실패해서 저항,볼륨등 사려고 청계천에 나갔습니다. 볼륨은 알프스 50k 성남전자에서 구입했습니다. 성남전자에서 호시덴짹과 토글도 구입했구요.. 저항은 이화저항 처음으로 가봤습니다. 아가씨 귀엽더군요^^ 081뺀걸로 했다가 실패해서 처음...
    Date2003.03.04 By유희창 Views1862 Votes0
    Read More
  7. No Image

    헤드폰 앰프 케이스들에 대해서...

    지금까지 사용했던 헤드폰 앰프 케이스를 한번 정리하겠습니다. 케이스는 아무래도 있는 편이 없는 것보다는 좋은 것 같고, 웬지 케이스가 없으면 허전한 느낌도 듭니다. 가치적인 면에서도 있는 게 좋구요. 그리고 헤드폰 앰프는 사이즈가 작아서 비싸지 않...
    Date2003.02.28 By고재성 Views2775 Votes0
    Read More
  8. No Image

    [가입인사 & 자작 계획] S/PDIF입력의 진공관 프리/헤드폰 앰프

    안녕하세요. 방금전 가입한 형준입니다. [가입 인사] 서울 삽니다. 최근에 S/PDIF 대응의 라인앰프를 제작하기 위해 몇몇 부품들을 입수하다가 헤드폰 앰프를 만들고 싶은 생각이 생겨서 정보를 찾던중 이곳을 알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많은 지도 편달 부탁드...
    Date2003.02.24 By박형준 Views3097 Votes0
    Read More
  9. No Image

    [제작기]Death of Zen Prototype

    며칠 전에 DC잭 달고 손볼것을 다 손봤습니다. 인터넷을 그간 계속 사용하지 못하는 바람에 제작기를 계속 못 올리다가, 이제서야 올려봅니다. 이놈때문에 약 5일을 고생한 것 같습니다. 서두는 이쯤으로 하고 본격적인 제작기에 들어가겠습니다. -----------...
    Date2003.02.23 By황용근 Views3493 Votes0
    Read More
  10. No Image

    [PCB패턴-3탄]대장님의 Jay-3입니다.

    아싸...줄줄이 3개 올렸당...헤헤 오후 시간이 남아 후다닥 그려보았습니다..(아무리 그래도 눈치보이는건 똑같네요..) 따로 수정하거나 한건 없습니다.. 대장님이 올려주신 PCB배치도 보구서 그대로 배낀겁니다.. 이번주말 제가 한번 시도해볼려구 만들었습...
    Date2003.02.21 By전국경 Views1937 Votes0
    Read More
  11. No Image

    DIY매니아에서 공제한 정전압 기판사진입니다.

    김규겸님이 공제하신 정전압기판사진 올립니다. 자작갤러리에 올리려다가 사진이 많아서 여기에다 올립니다.(죄송하네요..^^) 자세한 제작기는 대장님의 글을 참조하시는게 나을것 같네요.. 저는 어설프게 실수한 죄로 고생많이 했습니다.(TR을 잘못꼽았죠.....
    Date2003.02.20 By전국경 Views3716 Votes0
    Read More
  12. No Image

    앰프하고는 관계가 없는 것이긴 하나..

    공짜계정들을 정리하다 보니..이전에 리모콘 수신기 만들어서 올린게 아직도 있더군요.. 얼마전인지 기억도 잘안나는데 말입니다... 아실만한 분들은 다 아시겠죠.. 그러니까 요게 뭐냐하면 가정에 있는 리모콘(적외선)을 이용해서 컴터를 이용하는겁니다. 요...
    Date2003.02.18 By전국경 Views1832 Votes0
    Read More
  13. No Image

    [자작기]거치형 다이아 버퍼 앰프

    정말 허탈했습니다;; 왜 한달전 그렇게 미친듯이 7시간을 이 앰프에 매달렸는지.. 회로도 대로 배선하니 ㅡㅡ;; 3시간이 채 안되는군요 다만 RCA 단자에.. 볼륨은 국산 알프스입니다 470uf 전해는 위대한 삼화 콘덴서이고.. 1uf 콘덴서는 필코입니다 저항은 ...
    Date2003.02.17 By강희백 Views1965 Votes0
    Read More
  14. No Image

    [잡설수준] LM6172 감상기 + OP 별 특성

    음.. 오늘 아침 (20분전) 에 LM6172 입수한게 택배로 도착했습니다. 그래서 감상을... ----------------------------------- 앰프는 신정섭님의 듀얼형 마이어 입니다. (그런데 콘덴서가 세라믹 이라죠.. ㅜ.ㅜ) 전에는 2132 2134 2604 072 다 끼워서 들어봤...
    Date2003.02.17 By정희섭 Views1920 Votes0
    Read More
  15. No Image

    우여곡절끝에 정전압기판 완성했습니다.

    먼저 질답란에 올린 질문에 답변해주신 이학민님과 대장님 감사합니다.. 점심먹고 시작한게 지금 새벽 2시까지 이거랑 씨름했습니다.. 간단히 생각하고 시작했던게..생각외의 난관에 부딪히다 보니 그렇게 됐군요,,ㅠㅠ 총 3대 신청해서 2개를 완성했는데...1...
    Date2003.02.17 By전국경 Views1833 Votes0
    Read More
  16. No Image

    씨모이 완성했습니다!

    휴;; 초보가 겁없이 시도해서 꽤나 힘들군요; 보기엔 간단해 보이는데;; 정섭님의 초보용 씨모이를 완성했습니다; 이리저리 부품도 사러 다녀보고 이것저것 만져보고 하니까 상당히 재밌네요; 어제 새벽 다섯시간을 꼬박 새웠습니다; 땜질이 서툴러서 그런지 ...
    Date2003.02.16 By심성훈 Views1846 Votes0
    Read More
  17. No Image

    소리전자 E 형 케이스 사진

    ZEN 을 수납하려고 소리전자 E 형 케이스를 주문했습니다. 사이즈는 200(W) X 50(H) X 250(D) 뒤로 좀 길죠.. 아담한 사이즈입니다. 기본적으로 뒤의 AC 입력단자와 밑 부분의 받침대는 있네요. 사진 참고하세요.. 궁금해하시는 분이 계실것 같아서 올립니다....
    Date2003.02.16 By고재성 Views2432 Votes0
    Read More
  18. No Image

    [PCB패턴-2탄]신정섭님이 소개해주신 양전원회로 PCB 자료입니다.

    자고 일어나서(낮에 잠깐 졸았더니만..선잠자고 말았습니다..) 인두질 시작하려다가 신정섭님이 올린 게시물을 보았습니다..SDS 앰프에 소개된 양전원 회로!! 바로 신정섭님이 올려주신 간단한 양전원회로 Layout을 보고 후다닥 만들었습니다.. 단순명쾌..깔...
    Date2003.02.16 By전국경 Views2390 Votes0
    Read More
  19. No Image

    [자작기] 두 번째 자작품 Cha47...

    안녕하세요? 어제 처음으로 자작을 시도해 본 신정섭님의 기본형 Cmoy와 휴대용 양전원 변환기의 합체품 -_-;; 은 오늘 오후 늦게까지 꼼꼼히 살펴 보았으나 도저히 구제 불능이라는 생각에 포기하고 Cha47에 도전 했습니다. 역시 신정섭님의 실체 배선도를 ...
    Date2003.02.15 By박지형 Views1941 Votes0
    Read More
  20. No Image

    DIYMANIA에서 공제한 정전압기판..

    콘덴서 부분만 빼놓고 만들어 놓았었는데, 어제 드디어 기다리던 BC component사의 전해 콘덴서가 와서 오늘 완성하고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우리 사이트에서도 비교적 여러분들이 정전압기판을 구입한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일전에 DIYMANIA에 김영규님께서 ...
    Date2003.02.13 By지승배 Views3436 Votes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 132 Next
/ 132
CLOSE
367120 5941561/ 오늘어제 전체     963733 79223844/ 오늘어제 전체 페이지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