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Y META42 완성~

by 지승배 posted Jul 25, 200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복열님의 입력단의 buffer구성을 붙인 META42를 완성했습니다.
( 그래서 JAY META42라고 붙여봤습니다. 복열님 상표권 침해 아니죠? ^^* )

일단 기본 회로도를 약간 수정하여 다음과 같은 회로도를 구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완성된 사진들 입니다.








<< 회로구성 >>
1. 입력 Buffer단 : 복열님의 JAY 시리즈에서 볼수 있는 회로를 사용했습니다.
2. Volume : Jay-09-05-Circuit 에서 볼수 있듯이 입력단 버퍼를 통과한 후에 volume을 통과하도록 하였습니다.
3. META42 회로:
ㄱ) 저항 : 커플링 다음에 입력저항을 feedback에 사용되는 저항을 고려하여 2K를 사용하였고, 저같은 경우는 커플링 Cap.을 5.1uF을 사용했기 때문에 입력단의 100k 대신 47K를 사용하였는데, 이부분도 1uF를 사용하시면 원 회로도 대로 100K를 사용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ㄴ) Gain : 6이상 되어야 안정적인것 같다는 정섭님의 조언을 따라 200옴과 1k옴을 사용하여 gain을 6으로 조정하였습니다.
ㄷ) 3pF Cap. : 바깥쪽 loop의 안정화를 고려하여 3pF짜리 실버마이카 콘덴서를 1k옴과 병렬로 연결하였습니다.
ㄹ) BUF634 : buffer가 내부적으로 바이어스 전류를 흘려준다고는 하나 , BUF634의 장점을 사용하기 위해서, wide bandwidth mode를 사용하였는데, 내부적으로 15mA정도의 바이어스 전류가 흐르게됩니다.


<< 제작 >>
1. 전원부
BUF634양전원 회로를 따랐고, 맨 마지막 단에 WIMA MKS4 6.8uF 짜리 페탈 폴리에스테르 Cap.을 달아주었습니다. META42원문에 3uF이상 달아주면 베이스가 좀더 punchy있어 진다고해서 달았습니다.
전원을 끌때 마지막에 약간 쉭~ 하는 소리는 나는군요..
(전원부는 케이스 안에 들어가 있기 있기 때문에 보이지 않습니다. -- ;)

2. 회로부
OPAMP : V+, V- rail 마다 0.22uF ( tantal cap.) , 0.1uF(film cap.)를 병렬로 연결하여 달아주었습니다.
OPAMP가 신호를 증폭할때 좀더 안정적으로 증폭하여 줄 수 있다는 생각에서 달아보았습니다.

Coupling Cap : Solen fastcap 5.1uF를 달아 주었습니다. 고역과 저역대에서 상당히 부드러운 소리를 내준다고 생각합니다.

그외의 Cap : OPAMP의 안정화를 위해서 20p, 3p짜리 일반 실버 마이카를 사용하였고, 입력단의 220p짜리는 ASC 스치롤 콘덴서를 사용하였습니다.

OPAMP : 기본적으로 전에 코다에서 쓰던 OPA627 x 4와 BUF634 x 2를 사용하였습니다.

POT : 김태성님께서 공구해주신 알프스 블루벨벳 10K A형 볼륨을 사용하였는데, Gain이 높고, 볼륨이 하나씩 걸리는 형태여서 볼륨조절하기 좀 힘드네요.. --;;

Class A 동작을 위한 Bias :
ㄱ) OPA627 : LM317 (TO-92) Type을 사용하고 250옴 저항을 사용하여 약 5mA정도 걸리게 하였습니다.
ㄴ) BUF634 : wide Bandwidth mode를 사용하여(1번을 V-)에 연결. 내부적으로 약 15mA정도의 바이어스가 거리게 되어있습니다.
--> OPA627의 경우는 미지근하고 , BUF634가 약간 뜨겁군요.. 방열판을 생각해 봐야겠습니다.

배선 : 요즘 랜선을 까서 사용하는게 인기인것 같아서 0.6mm 랜선을 사용하였습니다. (두꺼우니 배선하기 힘드네요.)

3. 케이스
문구점에서 건축과 학생들이 쓰는 나무판들을 사다가 잘라서 만들었습니다.
채리나무라고 적혀있었는데 진짜 채리 나무인지는모르겠구요.. 2mm 정도의 판을 판매하기 때문에
구멍가공해서 짹을 끼우시기는 딱 좋을것 같습니다.
매번 느끼는 거지만, 케이스 만드는거 너무 힘듭니다.. ㅠ.ㅜ

<< 소감 >>
일단 대 만족입니다. 저의 SDS를 재치고 이놈이 1위를 탈환하는군요..
SDS보다 부드러운 면은 덜하지만 베이스의 양도 SDS보다 많고,
베이스의 울림과 단단함. 넓은 공간감이 참 맘에 듭니다.

좀더 들어보고 소감은 다시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즐거운 자작생활 하시고 오늘 하루도 행복하세요.. ^^*
* 이복열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4-06-25 2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