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42의 local loop에 대해서...

by 지승배 posted Jul 02, 200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안녕하세요.. 학민님과 정섭님 덕분에 요즘 META42의 펌프가 대단합니다... ^^*

global loop는 학민님이 적으신데로, 전체 OPAMP의 gain을 결정하기 때문에 학민님의 글을 참고 하시면

될것 같구요..

META42의 Local loop에 대해서 나름대로 정리를 해볼까 해서요.. 지면상 메모대신 답글로 올립니다.

보통 Datasheet에서 말을 하게 되는 gain, bandwidth 이라는것은 저항등을 사용하지 않고,

OPAMP의 (+)(-)에 입력 신호를 가해서 gain이 얼마나 나오는지와 주파수를 얼마나 높이면

gain이 1이 되는지를 datasheet에 적게 됩니다.

이 값을 각각 open loop gain과 bandwidth라고 부르게 되는거구요.

학민님께서 말한 GBP는 이 두 값을 곱한게 되는거고,

OPAMP의 특성은 이 GBP값이 항상일정하다는 것입니다..

즉, 높은 gain을 얻으려면 주파수가 낮은 신호 밖에 쓸수 없고,

넓은 주파수대를 얻으려면 gain이 거의 없게 되는거죠.

여기서, headphone amp에서 사용하는 OPAMP의 gain이라는 것이 대해서 살펴보면,

우리가 흔히 AMP를 구성할 때 말하는 gain은 open loop gain이 아니라,

저항을 사용하여 gain을 조절하는 closed loop 방식의 closed loop gain이 됩니다.

이렇게 closed loop을 구성하면 feedback(되먹임)회로과 되는데,

이 feedback회로는 low coner frequency와 high coner frequency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여기서 coner frequncy라는 것은 gain이 -3DB(데시벨)로 떨어지는 지점의 주파수를 의미합니다.

datasheet를 보시면 gain 부분에 그래프가 보통 100~1kHz까지 평탄하다가 점점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gain이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으실 겁니다. 그 꺽어지는 부분이 coner freq.라고 보시면 됩니다.


바로 이 local loop로 feedback회로를 구성하면 이 high coner frequency를 gain만큼 높여줍니다.

즉, local loop의 gain이 100이라면 1kHz에서 coner frequency가 형성되는 OPAMP라고 가정했을때

100kHz까지 평탄한 gain의 특성을 보여주고, 100kHz가 지나서 부터 gain이

-3DB로 떨어지는 현상이 보이게 됩니다.

물론 open loop gain 은 더 작아지게 되겠죠..

이렇게 high coner frequency를 높이면 가청 주파수 범위내어서 linerity를 높일수 있기 때문에,

META42에서는 Walt Jung아저씨가 제안한 방식처럼 local loop방식을 쓰고 있습니다..

결국 OPAMP의 GBP 값에 따라서 local loop 저항을 변경하는것 보다는 이 high coner freq. 값을

보고 계산을 해야 하는것인데, 고가의 OPAMP일수록 이 coner freq.값이 높아 지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local loop gain 은 원 회로도 대로 100으로 설정하시는것이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됩니다.

즉, R5 = 2.2k , R6 = 220k 나 R5 = 2K , R6 = 200k 등의 조합을 추천하고 싶네요..

그럼 즐 자작 하시고, 오류 있으면 지적해주시구요.. 오늘 하루도 행복하시길~
* 이복열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4-06-25 2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