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님 자작품(member) - 헤드폰 앰프 관련 자작 게시판 입니다.
조회 수 3693 추천 수 0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추가-
링크 자료실에 오디오파트에서 모아온 전자부품들의 간략한 소개 및 음질관련
기사를 모아보았습니다.

=========================================
양전원 구성 회로를 제공해주신 신정섭님꼐 다시 한번 감사의 말을 전하며
신정섭 자작방에 리플로 적었던 전해 컨덴서 발열에 관한 분석 결과를 말씀드립니다.

결론은 최대 허용 전압 초과로 볼 수 있습니다. 입력단에 24V 직류를 물렸으며, 잘 아시겠지만
제가 가지고 있는 직류전원은 정전압이 아닌 관계로 무부하에서 29V나 나옵니다.

http://www.audioparts.co.kr/capacitors/capacitors.htm에 가보시면 페이지의 마지막
부분에 컨덴서 열화 방지를 위한 최대 허용 전압에 관한 짧은 글이 있습니다. P.S.2에 원
문을 옮겼습니다.

핵심만 간추린다면

컨덴서에 기재된 전압 > 회로상의 입력전압 * 1.41 이어야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고 하네요.

결국 제가 범한 실수는 25V(컨덴서 용량) < 회로상 입력전압(27V, 50mA 부하상태) * 1.41
이군요. 전해 컨덴서의 발열량은 펠티어 온도계로 측정한 결과 섭씨 46도입니다. 한계 온도
(섭씨 85도)보다는 낮았습니다. 신기한 것은 예전에 AC 24V로 고문당했던 TL072가 60도까지
상승했었고 이틀간 잘 작동하다가 결국 사망했습니다.
같은 경우에서 LF353도 59도까지 상승하더군요. LF353도 사망할까봐 컨덴서를 바꾸는 선에서
마무리지었습니다.

입력단의 컨덴서 용량을 470uF/35V 로 바꾼다음 전해의 발열량은 30도 부근에 머무르고 있으며
LF353의 발열도 46도에 머물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상기 페이지 가장 마지막 부분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P.S.1. 언제쯤이나 복열님의 멋있는 앰프를 복각할 수준이되려나...

P.S.2. audioparts 홈페이지 글을 그대로 옮겨옵니다.

·콘덴서 허용전압에 관하여·

콘덴서에 기재 되어 있는 전압은 회로에서 견딜 수 있는 내압을 말하며, 그 이상 전압의 회로에 사용하면 콘덴서 열화의 원인이 됩니다. 리플 전압 분을 포함한 콘덴서의 허용전압은 다음과 같습니다.

(회로상의 직류전압 x 1.41)

예) 회로상에 직류 100v가 걸렸을때, 100v x 1.41

따라서 회로에는 리플분(1.41)이 포함된 141V의 전압이 걸리므로 141V 이상의 콘덴서를 사용 하여야 좋습니다.
* 이복열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4-06-25 22:14)
  • ?
    신정섭 2000.06.06 00:00
    흐흐흐. 원인을 알았으니 테스트하지 않아도 되겠네요.
  • ?
    이복열 2000.06.06 00:00
    학구적인 연구심 부럽읍니다.자료 감사드립니다.
  • ?
    전홍기 2000.06.07 00:00
    좋은 정보네요... 감사합니다.
  • ?
    이복열 2000.06.09 00:00
    완전빵으로 x 1.7 조용히 권고하는 사람도 있더군요. 저는 이대로 하고 있읍니다. 참고하세요.

  1. 케이스 가공 1

    우선 1:1 비율로 캐드 드로잉한것을 출력해 상판에 붙입니다. 그리고 그 위에 Center Punch로 구멍 뚫을 모든 곳을 마킹합니다. 그 다음 3.5mm 드릴로 모든 구멍을 둟습니다. * 이복열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4-06-25 22:30)
    Date2004.05.25 By신건배 Views2081 Votes0
    Read More
  2. No Image

    컨덴서의 최대 허용 전압에 관하여...

    -추가- 링크 자료실에 오디오파트에서 모아온 전자부품들의 간략한 소개 및 음질관련 기사를 모아보았습니다. ========================================= 양전원 구성 회로를 제공해주신 신정섭님꼐 다시 한번 감사의 말을 전하며 신정섭 자작방에 리플로 적...
    Date2002.06.06 By조경남 Views3693 Votes0
    Read More
  3. 커넥션, 기판

    커넥터들 잘 보이는 각도에서 찍은 사진과 기판 도면입니다. * 이복열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4-06-25 22:31)
    Date2004.06.12 By이홍관 Views1903 Votes0
    Read More
  4. 칩저항을 이용한 cmoy

    약간 바보짓한거 같습니다... 어짜피 1/4저항을 세워서 써도 콘덴서나 다른 것들높이가 잇으니 그게 그거 이니 말이죠. 여하튼 그냥 굴러다니는 저항쓸겸 만들어 봣습니다. 저항은 정밀 칩저항을 사용햇구요. 아직 어려서 인지 칩저항이 무지 잘보입니...
    Date2006.06.18 By김석훈 Views4105 Votes0
    Read More
  5. 칩저항으로 꾸민 PPPA입니다.(아랫면 추가했습니다)

    안녕하세요. 태풍이 올라온다는데 피해가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요즘 거의 하루에 하나씩 휴대용 앰프를 만드는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칩저항을 사용한 PPPA 앰프를 만들어봤습니다. BUF634가 2개 밖에 안 남고 싱글 opamp+BUF634를 사용한 그라운드 채널...
    Date2004.08.19 By이석우 Views3777 Votes0
    Read More
  6. 칩저항 사용 Linkwitz Crossfeed Filter 만들기.

    안녕하세요. 정말 몇 일동안 헤드폰 앰프를 안 만들고 잘 버티고 있습니다.^^ PIMETA에 마이어 크로스피더를 만들 때는 빈 자리에 마이어 크로스피더만 들어갈 줄 알고 그냥 만들었는데 다른 크로스피더들의 회로도를 보니 같은 공간에 집어넣을 수 있겠더라...
    Date2004.08.25 By이석우 Views2287 Votes0
    Read More
  7. 칠전팔기. 세번째 cmoy완성입니다.

    한번 만들기 시작하니.. 결국엔 또 만들고야 말았습니다. 두번째 cmoy를 뚫어져라 봣으나 결국 원인을 못찾았는데.. 세번째 cmoy를 다 만들고 들어보니 두번째랑 증상이 완전히 똑같았습니다.. 그래서 진짜 천천히 하나씩 살펴봤습니다..-_-; 결국 연결...
    Date2004.08.29 By권상훈 Views1825 Votes0
    Read More
  8. No Image

    층층층

    늦게나마 소개 해 봅니다. 박가람님 공제 메이어 (위)와 COSDAC V2 입니다. 저 엔클로저 프라스틱이라 가공도 쉽고 디자인도 세련되서 맘에 드는군요 ㅎㅎ 저렇게 하면 간단한 Pc-Fi가 완성됩니다 하핫!
    Date2011.10.04 By유문구 Views3115 Votes0
    Read More
  9. 측면입니다

    ... * 이복열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4-06-25 22:23)
    Date2003.04.19 By김도석 Views1592 Votes0
    Read More
  10. No Image

    충성! 일도님! ~~ ㅇㅏ크릴당 입문작입니다. ㅎㅎㅎ (MHHA 2.0)

    http://blog.naver.com/PostList.nhn?blogId=cyclopia&categoryNo=0&from=postList 아래 일부 데이타 깨져서 원문 링크합니다. **************************************************** 지금 제 주력기는 얼마전 공구했었던 SHHA입니다. 원래 오피앰프...
    Date2006.01.22 By김준범 Views4167 Votes0
    Read More
  11. 출력지연회로 제작

    빨강 쿠미사제작을 완료하고 퍽노이즈가 있어 또 손을 댈까 합니다. 문제의 원인은 전원트랜스 가까이 출력지연회로를 내장하다보니 유도전류로 퍽노이즈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퍽노이즈는 작지만 완벽한 쿠미사제작을 위해 작은 부분이지만 용납할 수 없어 좀...
    Date2011.11.21 By홍재영 Views9700 Votes2
    Read More
  12. 추가...

    . * 이복열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4-06-25 22:23)
    Date2003.08.28 By이복열 Views1979 Votes0
    Read More
  13. 추가..

    . * 이복열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4-06-25 22:23)
    Date2003.08.28 By이복열 Views1671 Votes0
    Read More
  14. 추가.

    . * 이복열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4-06-25 22:23)
    Date2003.08.28 By이복열 Views1981 Votes0
    Read More
  15. No Image

    최종형 하스만세

    버퍼는 클래스 ab 다이아몬드 버퍼입니다. 2.2k 대신 3k로 바꿨습니다. 오피는 ad8620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오랫만에 CRD도 구매했습니다. 2ma짜리도 사놓긴 했습니다만 쓸일이 있을까 모르겠네요. 베이스부스터는 200hz정도입니다 ㅎ 8월이나 되어야 시간이...
    Date2010.05.22 By박가람 Views3256 Votes0
    Read More
  16. 최종 완성된 eaton amp

    구보다 파워부를 수리하고 완성했습니다. 처음에 부품 몇개를 잘못 삽입해서 하나씩 교체하고 나니 결국에는 부품을 전부다 바꾼 결과가 되어 버렸네요... ^^; 전원 IC를 사용할때보다 노이즈나 음질면에서 확연하게 차이가 납니다.... 볼륨을 끝까지 올려도 ...
    Date2004.06.05 By민경민 Views1863 Votes0
    Read More
  17. 최재준 - Jay-3 복각-콘덴서

    * 이복열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4-06-25 22:18)
    Date2003.01.01 By Views1938 Votes0
    Read More
  18. 최재준 - Jay-3 복각-전원연결 케이블 단자

    * 이복열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4-06-25 22:18)
    Date2003.01.01 By Views2046 Votes0
    Read More
  19. 최재준 - Jay-3 복각-전원연결 케이블

    * 이복열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4-06-25 22:18)
    Date2003.01.01 By Views1931 Votes0
    Read More
  20. 최재준 - Jay-3 복각-전원부 내부

    * 이복열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4-06-25 22:18)
    Date2003.01.01 By Views1934 Votes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32 Next
/ 132
CLOSE
188120 5941382/ 오늘어제 전체     388733 79223269/ 오늘어제 전체 페이지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