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님 자작품(member) - 헤드폰 앰프 관련 자작 게시판 입니다.
조회 수 3693 추천 수 0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추가-
링크 자료실에 오디오파트에서 모아온 전자부품들의 간략한 소개 및 음질관련
기사를 모아보았습니다.

=========================================
양전원 구성 회로를 제공해주신 신정섭님꼐 다시 한번 감사의 말을 전하며
신정섭 자작방에 리플로 적었던 전해 컨덴서 발열에 관한 분석 결과를 말씀드립니다.

결론은 최대 허용 전압 초과로 볼 수 있습니다. 입력단에 24V 직류를 물렸으며, 잘 아시겠지만
제가 가지고 있는 직류전원은 정전압이 아닌 관계로 무부하에서 29V나 나옵니다.

http://www.audioparts.co.kr/capacitors/capacitors.htm에 가보시면 페이지의 마지막
부분에 컨덴서 열화 방지를 위한 최대 허용 전압에 관한 짧은 글이 있습니다. P.S.2에 원
문을 옮겼습니다.

핵심만 간추린다면

컨덴서에 기재된 전압 > 회로상의 입력전압 * 1.41 이어야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고 하네요.

결국 제가 범한 실수는 25V(컨덴서 용량) < 회로상 입력전압(27V, 50mA 부하상태) * 1.41
이군요. 전해 컨덴서의 발열량은 펠티어 온도계로 측정한 결과 섭씨 46도입니다. 한계 온도
(섭씨 85도)보다는 낮았습니다. 신기한 것은 예전에 AC 24V로 고문당했던 TL072가 60도까지
상승했었고 이틀간 잘 작동하다가 결국 사망했습니다.
같은 경우에서 LF353도 59도까지 상승하더군요. LF353도 사망할까봐 컨덴서를 바꾸는 선에서
마무리지었습니다.

입력단의 컨덴서 용량을 470uF/35V 로 바꾼다음 전해의 발열량은 30도 부근에 머무르고 있으며
LF353의 발열도 46도에 머물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상기 페이지 가장 마지막 부분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P.S.1. 언제쯤이나 복열님의 멋있는 앰프를 복각할 수준이되려나...

P.S.2. audioparts 홈페이지 글을 그대로 옮겨옵니다.

·콘덴서 허용전압에 관하여·

콘덴서에 기재 되어 있는 전압은 회로에서 견딜 수 있는 내압을 말하며, 그 이상 전압의 회로에 사용하면 콘덴서 열화의 원인이 됩니다. 리플 전압 분을 포함한 콘덴서의 허용전압은 다음과 같습니다.

(회로상의 직류전압 x 1.41)

예) 회로상에 직류 100v가 걸렸을때, 100v x 1.41

따라서 회로에는 리플분(1.41)이 포함된 141V의 전압이 걸리므로 141V 이상의 콘덴서를 사용 하여야 좋습니다.
* 이복열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4-06-25 22:14)
  • ?
    신정섭 2000.06.06 00:00
    흐흐흐. 원인을 알았으니 테스트하지 않아도 되겠네요.
  • ?
    이복열 2000.06.06 00:00
    학구적인 연구심 부럽읍니다.자료 감사드립니다.
  • ?
    전홍기 2000.06.07 00:00
    좋은 정보네요... 감사합니다.
  • ?
    이복열 2000.06.09 00:00
    완전빵으로 x 1.7 조용히 권고하는 사람도 있더군요. 저는 이대로 하고 있읍니다. 참고하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최근 수정일 최종 글 아이디 이름
2634 MUSBDAC 작업완료했습니다.^^ 8 file 윤영석 2012.06.05 14372 2 2012.10.22 2012.10.22(by 장시영) upuaut 윤영석
2633 TPA6120 을 이용한 엠프 - SKEL6120 공제기 31 박은서 2005.10.27 11829 0 2005.10.27 2005.10.27 박은서
2632 [re] [제작포인트] Hybrid Headphone Amp (Sijosae HHA) v1.1 4 2 file 지승배 2005.07.13 11328 1 2005.07.13 2005.07.13 whiteland 지승배
2631 드디어 JAY-3 완성했습니다.^^ 62 file 정원경 2012.02.12 10490 13 2012.08.31 2012.08.31(by 신재원) won43113 정원경
2630 O2 헤드폰 앰프입니다 12 2 file 박용민(ekdrms) 2013.03.04 10258 0 2013.11.23 2013.11.23(by 전병수) ekdrms 박용민
2629 변형 CMOY Full Set: Basic, CHA47, BUF634 1 file 2003.01.01 9903 0 2011.11.25 2011.11.25(by 최재영(cjy625))
2628 [2013.01.21. 업뎃] 저도 Simple MHHA 만들어 봤습니다. ^^;; 7 file 황인창(ichwang) 2013.01.19 9800 0 2013.02.08 2013.02.08(by 정재택) ichwang 황인창
2627 출력지연회로 제작 17 file 홍재영 2011.11.21 9700 2 2011.11.24 2011.11.24(by 배종선) hong1583 홍재영
2626 작은 거인 알레프(Aleph) 헤드폰 앰프 18 48 박찬영 2007.07.04 9442 0 2007.07.04 2007.07.04 luciel 박찬영
2625 SHHA의 여름나기 대비; 24V 전원부 발열 줄이기 성공! 14 박찬영 2007.06.08 9171 0 2007.06.08 2007.06.08 luciel 박찬영
2624 거치형 마이어 앰프 2 file 2003.01.01 9079 1 2003.01.01 2003.01.01
2623 [박희성] Szekeres 헤드폰 앰프 4 file 2003.01.01 8970 0 2013.02.06 2013.02.06(by 이원식)
2622 진공관 입문작, Sijosae-YAHA.. (종합) 25 55 file 전일도 2005.10.19 8852 0 2005.10.19 2005.10.19 ryanjun 전일도
2621 Morgan Jones 진공관 헤드폰 앰프 15 4 file 성호성 2006.07.26 8555 0 2006.07.26 2006.07.26 savor 성호성
2620 브라질산 하데스(HADES) 반완성기.. 54 43 file 전일도 2012.06.20 8426 6 2012.06.28 2012.06.28(by 전일도) ryanjun 전일도
2619 [박희성] 거치형 Cmoy앰프 1 file 2003.01.01 8411 0 2011.11.23 2011.11.23(by 최재영(cjy625))
2618 하이브리드 헤드폰 앰프(SRPP+OP) 회로도, 배선도 26 file 이학신 2013.09.30 8192 0 2014.01.31 2014.01.31(by 김태국) acefrog 이학신
2617 [박희성] Cmoy + Szekeres 작동 모습 4 file 2003.01.01 8168 0 2003.01.01 2003.01.01
2616 내멋대로 헤드폰앰프 3 신용성 2009.02.03 8067 0 2009.02.03 2009.02.03 vitreous 신용성
2615 [본방] 합기도 헤드폰 앰프 (Aikido Headphone Amplifier) 12 file 배종선 2011.11.09 8011 1 2012.06.23 2012.06.23(by 전일도) montechristo 배종선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32 Next
/ 132
CLOSE
334120 5941528/ 오늘어제 전체     790733 79223671/ 오늘어제 전체 페이지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