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free) - 헤드폰 앰프에 대한 자유 게시판 (정치,경제,문화,개인 사생활 ....등은 삭제 조치사항입니다.)
조회 수 1278 추천 수 0 댓글 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http://nwavguy.blogspot.com/2011/06/qrv09-diy-headphone-amp.html

NuForce의 uDac-2를 리뷰함으로써 국내 오디오 커뮤니티에 많이 알려졌던 NwAvGuy가 최근 DIY 헤드폰 앰프들을 리뷰하고 있습니다.

AMB의 Mini3를 시작으로 NJM4556A를 사용한 CMOY도 리뷰했고, 이번엔 Sjoestroem Audio의 QRV09도 리뷰했군요.

그런데 AMB의 Mini3 리뷰 때도 그랬지만 사용한 부품들에 비해 측정 결과가 상당히 좋지 않습니다.
(아래는 Mini3 리뷰 링크)

http://nwavguy.blogspot.com/2011/05/amb-mini3-diy-headphone-amp.html

물론 그렇다고 아주 나쁜 정도는 아니고 그럭저럭 괜찮은 편인데,
AD8610과 TPA6120까지 사용했으면서 퍼포먼스가 저 정도라는 건 좀 많이 실망스럽군요.
역시 Mini3와 마찬가지로 사이트에 고지된 제원들과는 굉장히 상이한 측정결과를 보여줍니다.

오히려 CMOY의 퍼포먼스가 훨씬 좋습니다.

http://nwavguy.blogspot.com/2011/05/cmoy-ebay-headphone-amp.html

지난번 Mini3 리뷰에선 AMB 포럼에서 논쟁하다가 영구 제명 당하는등 불미스러운 일도 있어서 감정 때문에 결과과 편파적이지 않을까 했었는데,
이번 리뷰 서두에선 Sjoestroem에게 우호적인 문장들을 읽을 수 있어서 측정들이 과연 편파적일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여하튼 좋은 회로란 뭔지 좀 고민하게 만드는 글들입니다.
더불어 해외 DIY 사이트들의 정보들도 과연 신뢰로운가 의심스럽구요.

개인적으로는 한창 인기였던 PPA나 M3 앰프 역시 리뷰되었으면 좋겠다 싶습니다.
결과가 어떨는지 정말 궁금하군요.


덧. 한편으로는 뭔가 새 앰프를 만들 의욕들이 싹 없어지는 글들입니다.
NJM4556A 한알 쓴 CMOY가 그 비싼 부품들 들어간 앰프들보다 좋다니...
  • ?
    김병진 2011.07.03 13:56
    그거랑 같지 않을까요? 마트를 가는데, 무거운짐을 들고 와야하는것도 아닌데
    그랜저를 타고갈까, 마티즈를 타고갈까와 비슷한...

    굳이 필요없는데, 좀 더 좋은것을 추가하면서 오히려 필요이상의 성능을 만들다가 거꾸로 된경우.. 비효율적으로 되어버린...
    실험환경이 좋은곳이 아니라 안좋은 환경이라면 Cmoy가 더 나쁘게 나오지 않을까요?
    그냥 제 생각 ^^

    만들때보니까, 부품이 하나 더 들어가니까 오히려 노이즈만 생기고...없앨 수 있으면 없애는게 오히려 더 좋은 성능을 내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들더라구요.
    CMOY가 좋은성능을 낸다니까 ^^ 비싼거 쓸 이유가 없겠다는 생각이ㅋㅋ
  • ?
    이길범 2011.07.03 14:37
    모든 부품이 아이디얼한 조건을 만족한다면 왠만한 대부분의 회로는 모두 훌륭하게 동작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기 때문에 그 부품들의 조합으로 나올 수 있는 최상의 성능을 끌어내기 위해 노력을 하게 되는 것이죠.

    현실적인 문제는 부품도 부품이지만 전기의 공급조건, 사용환경도 워낙에 다양하기 때문에 특정 기기에서 최상의 성능이 나오는 것은 일반적으로 좋은 회로가 되기 어렵습니다. 부품 종류의 특성, 그리고 동일 부품간의 산포등 현실적인 제약들과 사용환경까지 감안해서 가능한 평균값 성능을 끌어올리되 성능의 산포를 줄이는 것이 좋은 회로라 평가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만족한 것을 얻어내기 위해 만드는 DIY는 그 성격이 완전히 다릅니다. THD가 좋다고 무조건 좋은 것일 수 없고, SNR이 좋다고 무조건 좋은 것일 수는 없다고 봅니다. 유형적 무형적으로 자기만 만족하면 되는 DIY는 객관적 성능 보다는 개인의 취향과 선호를 따라가는 것이 옳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계측기에 의한 결과도 단편적으로 따지면 아주 재밌는 현상도 있습니다. THD라는 것이 원 신호를 제외한 나머지 하모닉스를 전부 합한 수치가 그 의미인데, 첫번째 하모닉스가 원 신호대비 -28dB수준(거의 4%수준)으로 스펙트럼상 확연히 보이는데 THD+N 수치 표기는 0.014%라는 아주 훌륭한 수준의 수치를 보여주기도 합니다. (오디오쪽에서 가장 신뢰받는다는 AP에서 확인했던 건입니다. 이 화면 캡쳐도 갖고 있음)

    이런 여러가지 변수가 많다보니 몇몇가지 측정수치만으로 이것이 좋다 저것이 좋다 칼로 무자르듯 나누지 못한다는 문제점도 있습니다...^^
  • ?
    박용민 2011.07.03 15:11
    이길범님 // SNR과 디스토션이 그렇게 퍼포먼스에 영향을 주는가는 언제나 논쟁거리일 겁니다. 여하튼 이런 객관적 지표에 의한 성능은 대개 DIYer 입장에서는 무의미하지요.
    가령 MOSET Follower 앰프의 경우, 이런 객관적 지표는 매우 안 좋게 나올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도 많은 분들께서 그 소리를 좋아하시지요.
    아마 이런 건 전혀 비판할 수 없을 겁니다.

    다만 정보 생산자 입장에서는 확실한 정보를 유통할 책임은 있습니다.
    Mini3나 QRV09의 경우, 각각의 원문 사이트에 들어가보면 SNR이나 디스토션 등이 굉장히 좋게 고지되어 있는데, 해당 블로그의 리뷰에서는 이와는 전혀 상이한 성능을 보여줍니다.
    더불어 그런 회로 디자인들 모두 SNR이나 디스토션 등 '객관적 지표'의 향상을 지향하고 만들어진 걸 보면 이는 매우 실망스러운 결과지요.
    거기에 일정 부분 상업성을 띠고 있다는 걸 생각하면 이는 비판의 여지가 매우 크다고 봅니다.

    그래서 과연 현재 '좋은 회로'들을 정보 유통하고 있는 곳의 정보가 신뢰로운지 과연 의심이 들고,
    그들이 말하는 좋은 회로란 어떤 것인가 하는 의문이 든 것이죠.

    위에서도 말했지만 사실 DIY 하는 입장에서는 객관적 지표가 그리 좋지 않게 나와도 전혀 상관 없습니다.
    스스로 느끼는 퍼포먼스란 그런 객관적 지표 말고도 다른 여러 변수들이 개입하니까요.
    다만 DIY에 관련된 정보 유통을 하면서 (아마추어일지라도) 나름대로 전문가 위치에 있는 사람들이 스스로 공개한 회로에 대해 어떤 비판적 검토도 없는 것은 문제가 있지 않나, 싶네요.

  • ?
    이길범 2011.07.03 15:30
    그런데, 그 객관성이라는 것이 참 어려운 이야기입니다. A와 B가 똑같이 AP장비를 구입해서 환경을 꾸몄다 하더라도 아주 미세한 부분에서도 측정 결과가 많이 달라질 수 있다 보니 A가 0.005%를 주장했는데 B가 확인해 보니 0.02%더라 이런 이야기는 둘이 만나서 측정조건 확인하고 같이 결과를 보기 전에는 서로 자기 주장이 옳다고 할 수밖에 없을겁니다.

    거기다 원 설계자의 경우 아무리 객관적이려고 해도 자기도 모르게 BIAS된 결과가 들어갈 수도 있구요.

    해서 제 생각은 이렇습니다. 직접 동일조건에서 배교해 보기 전에는 어느정도 선까지만 참고할 뿐, 그것을 그대로 믿을 수는 없다. 이런 생각입니다.

    인터넷에서 저런 자료를 보았는데, 데이터 발표자가 과거 어떤 일이 있었고, 어떤 입장을 가진 사람인지까지 알기는 어렵죠. 그냥 저렇게 측정해서 나온 데이터도 있구나, 그리고 저런 방법으로 비교하는 경우도 있구나 정도로 넘어가야죠...^^

    서로 통제가 안되는 인터넷상도 아니고, 기업체 내에서도 동일 사안을 놓고 의견충돌이 꽤 많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저는 올해초에도 오디오 음질 관련한 건으로 임원까지 설전에 끼어들어서 밀고 당기는 광경도 보았습니다...^^
  • ?
    김병진 2011.07.03 16:15
    박용민님이 만드는게 좋은겁니다. -0-ㅋ
  • ?
    유문구 2011.07.03 17:42
    용민님 지식을 짜내서 정말 좋은 앰프 공제?!
    물타기는 타이밍!
  • ?
    박용민 2011.07.03 17:48
    저 아는 거 없습니다. 저번에 올렸던 디스크리트 버퍼도 열폭주했다는데 뭘 공제합니까 ㅇㅈㄴ
  • ?
    김병진 2011.07.03 17:50
    네박사(네이버지식인)..혹자는 네이뇬 이라고 하는 ㅋㅋ
    많이 아시면서 겸손한척 ㅋㅋ
  • ?
    박용민 2011.07.03 18:03
    아마 공제한다면 NJM4556A 해외에서 공수해다가 CMOY나 만들지 않을지... ^^
    ... 솔직히 앰프 너무 어려워요.
  • ?
    김병진 2011.07.03 18:33
    그것도 좋을꺼같은데요^^
    건전지말고, PC에 거치형으로ㅎㅎ USB DAC를 Cmoy에해서 ^^ 전원부넣고 미니거치형으로 ㅎㅎ
  • ?
    정원경 2011.07.03 19:06
    Cmoy도 훌륭하지만, 혼자 증폭이다 구동이다 다하는 OP앰프가 헐떡거리는 소리가 들려서 뭔가 안타까운 생각이 드는건 어쩔수가 없네요. ㅎㅎ

    오디오라는 분야가 어찌보면 콘서트홀의 소리를 그대로 재현하는 것에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어떤 식으로든 가공하여 입맛에 맛게 변환하는 것에 목적이 있지 않나 싶습니다.

    고기를 생으로 육회를 해 먹을지, 아니면 양념을 해서 숯불에 구워 먹을지 어느게 좋다 나쁘다 할 수 없다고 봅니다. 선택의 문제이지요.

  1. No Image

    예전에 만든 BUF634파워

    예전에 diymania에서 공제했던 634파워가 있습니다. 만들다가 실수로, 한쪽 채널 + - 를 바꿔연결해서 불꽃이 튀겨서, 그냥 봉인한 상태입니다. 우연히 이복열대장님 자작방을 보다가 비슷한 것을 발견했습니다. 집에 가서 다시 열어봐야 겠습니다. 잘 하면 헤...
    Date2011.07.05 By임석현 Views1202 Votes0
    Read More
  2. No Image

    쿠미사 언제 만들지....

    케이스 방열 위한 타공 완료...(출력 4개, 전원 2개) 상판 타공 완료..(무려 102 개의 구멍을 타공을 하고선 체력이 완전 방전 되버렸습니다.. 비오는날 작업을 하는건 정말 하지 말아야될 일중 하나인것 같습니다.) 전원트랜스 이동 ( 7815/7915 를 케이스에 ...
    Date2011.07.05 By정형영 Views1184 Votes0
    Read More
  3. No Image

    사진 보시고 구매할 것 있으면 공구하죠.

    어떤 건 수량이 많은 것도 있고 몇 개 없는 것도 있답니다. 어떤 것이 필요할 지 댓글 다세요. AD8610BR AD8610BR AD8620BR AD8610BR
    Date2011.07.05 By엄수호 Views1517 Votes0
    Read More
  4. No Image

    쿠미사 대충 정산중입니다. LT1085/라고 입금하신분도

    트랜스, 전부품, TR만등 쿠미사 부품 위주로 신청하신 분들 대부분 환불 해드릴 차액 발생합니다. 일일이 쪽지나 문자 어려우니 무조건 쪽지로 계좌 주세요. 다른 공부품 진행하면서 차액 입금 안하신 분은 입금 부탁 드립니다. 오늘 트랜스도 주문 했습니다. ...
    Date2011.07.04 By엄수호 Views1426 Votes0
    Read More
  5. No Image

    쿠미사 고장났어요 ㅡ,,ㅡ

    아... BD140,139 하구 7815, 7915를 몰렉스 핀으로 바꾼 후 커넥터를 만든 후 선을 길게 빼서 못쓰는 컴퓨터 시퓨 방열판에 작업한 후 바이어스 전압을 재볼려고 시도했습니다. 뭐 어제 작업 다 하고 오늘 전기를 먹이는 순간 !! 뻥!!! 이 아니구요.. 7915쪽...
    Date2011.07.04 By양경모 Views1193 Votes0
    Read More
  6. No Image

    간만에 제대로된 음악감상중입니다ㅎㅎ

    항상 버스나 지하철안에서 듣다가 모니터님이 사망하시는 바람에 노트북을 사용하다보니 별로 할게없어서 음악감상중이네용.... 시스템은(??) 노트북 -> CARAT-HD1V -> 공제마이어(LM6172, BUF634 x2, OPA277 x2) -> HFI-580 뭐 이렇습니다 ㅡ,.ㅡ 푸바2000으...
    Date2011.07.04 By최다형 Views1360 Votes0
    Read More
  7. No Image

    엇... 레벨 6이다...ㅋ

    자작은 하는 것도 별로 없고.. 공제도 안하고.. 뻔질나게 들어왔더니... 하는 것 없이 레벨 6이네요;;ㅋ
    Date2011.07.04 By윤성훈 Views1163 Votes0
    Read More
  8. No Image

    소니오디오를 개조 한다면??ㅋ

    집에서 쓰던 저렴한 소니 미니 오디오의 cd가 맛이 갔네요.;; 렌즈가 나간 것 같습니다. 수리하느니 새로 사는게 좋을 듯 싶어서 (7만원짜리라ㅠㅠ) 다른 부분들은 멀쩡한데.. 개조를 하면 좋겠다 싶어서 혹시 좋은 의견있으시면 알려주세요..ㅋ 오늘은 날씨가...
    Date2011.07.04 By윤성훈 Views1367 Votes0
    Read More
  9. No Image

    대전류용 HPS-1 구성에 대한 고민.

    회로는 어제 공개한 방법에서 달라질 건 없습니다. 문제는 늘어난 전류량만큼 발열도 또한 늘어나게 되기 때문에 방열판을 좀 크게 쓴다고 하더라도 PCB상에 마운트하면 열이 대기복사를 통해 케이스 내부를 덮히고 내부 공기열이 케이스에 닿아서 전도되어 외...
    Date2011.07.04 By이길범 Views1411 Votes0
    Read More
  10. No Image

    쿠미사 상록님께 보낸거...

    오늘 출근하면서 받았습니다. ^^ 감사합니다. 두껑 열어보지는 못했지만,, 밑에보니,,, 나사가 몇개 더 체결되어있네요.. 이래저래 손보신 흔적들이 겉으로도 보이네요.. ^^ 무상으로 점검해주시고,, 그리고, 니치콘이랑 TR 교체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
    Date2011.07.04 By윤영석 Views1196 Votes0
    Read More
  11. No Image

    쿠미사 트랜스 건으로 공제가 조금 늦어지고 있습니다.

    장마가 계속되고 있어 덜 움직이는 것도 있습니다. 트랜스가 생각보다 까다롭습니다. 표준? 규격이라 할 수 있는 7cm 크기는 당장되지만 페달쿠미사케이스에 맞추려니 최소 6.5 cm 이하로 하려니 다들 하지 않으려 합니다. 기다리던 제대로 감는 곳은 금액은 ...
    Date2011.07.04 By엄수호 Views1179 Votes0
    Read More
  12. No Image

    케이스 아노다이징.. 이제 업체 찾아 헤메시지 마세요.

    http://www.pro-chemi.com/shopdetail/003000000001/즉접 하시면 되는 겁니다. http://www.pro-chemi.com/shopdetail/003000000001/
    Date2011.07.03 By김태형 Views1435 Votes0
    Read More
  13. No Image

    QFPN도 에칭이 가능할까요?

    저도 왠만큼 납땜이란건 다 해봤거든요. BGA빼고는 QFPN도 납땜하긴 했었는데..그땐 핀수가 좀 적고.. 점프선으로 날려서 납땜했는데.. 오디오라서 노이즈가 많이 생길꺼같고.. 사용할껀데 그건 좀 그래서 ^^ QFP는 쉬운데. QFPN (no lead) 타입을 에칭가능할...
    Date2011.07.03 By김병진 Views1221 Votes0
    Read More
  14. No Image

    부품만 쌓여가고 진행은 전혀안되네요 ㅠ

    맹글지는 못하고 모아둔 부품이 많네요 ㅠㅜ 시간이 참 안납니다 ㅠㅜ 쿠미사랑 구보다전원부 피메타 이렇게만 모두 완성되면 한동안 절두를 할듯하네요.. 사실 구보다전원부로 전원통합정책(?) 을 위해 길모어의 암베코가 적출되어서 길모어도 못쓰고있습니다...
    Date2011.07.03 By유문구 Views1286 Votes0
    Read More
  15. No Image

    좋은 회로란 무엇인가...

    http://nwavguy.blogspot.com/2011/06/qrv09-diy-headphone-amp.html NuForce의 uDac-2를 리뷰함으로써 국내 오디오 커뮤니티에 많이 알려졌던 NwAvGuy가 최근 DIY 헤드폰 앰프들을 리뷰하고 있습니다. AMB의 Mini3를 시작으로 NJM4556A를 사용한 CMOY도 리뷰...
    Date2011.07.03 By박용민 Views1278 Votes0
    Read More
  16. HPS-1 이복열 대장님 따라하기.

    간이 3D기능 이용해서 대략적인 예상 조립도면을 올렸습니다. Amveco PCB마운트식 Transformer를 이용한 양전원을 준비해 보고 있습니다. 현재 진도는 첨부 회로(회로도에서 PCB 고정홀 2개 더 추가했음)를 완성했고, PCB Layout이 거의 끝난 상황입니다. 이...
    Date2011.07.03 By이길범 Views1188 Votes0
    Read More
  17. No Image

    [re] 암베코 트랜스 지운 버전입니다.

    아무래도 암베코 트랜스가 가격이 만만찮다 보니 부담스러워 하실 분들이 계실 것같아 동일한 구조에서 트랜스만 빼낸 버전을 만들었습니다. 트랜스 제거하고, 대신 입력을 4핀으로 해서 0V-ACV, 0V-ACV로 표기했습니다. 트로이달 트랜스의 2채널을 각각에 연...
    Date2011.07.03 By이길범 Views1191 Votes0
    Read More
  18. No Image

    [re] 거버파일 올립니다.

    CAM이나 Gerber Viewer를 가지고 계신 분들은 한번 열어보시기 바랍니다. Ref No.는 부품을 조립한 뒤에도 확인이 가능하도록 부품에 안가리는 위치로 정렬을 했으며, 저항과 일부 CAP은 부품이 가리는 부분에 용량을 표기해 뒀습니다. 정류부 Diode는 1N4004...
    Date2011.07.03 By이길범 Views1231 Votes0
    Read More
  19. No Image

    안녕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곳을 알게된지는 꽤 되었지만 이제야 가입하게 된 김경민 입니다. ^^ 처음 이곳을 알게된게 PCB 에칭 기판 제작 때문이었는데 (신정섭님의 강좌는 정말 큰 도움이 되었지요) 당시에는 디지털 회로 작업을 하던 때라 다른 내용들에 관해서는 크게...
    Date2011.07.03 By김경민 Views1180 Votes0
    Read More
  20. 파워 앰프 관련 서적을 보다가...

    반가운 회로가 보이더군요. 이것 말고도 double diff. input이라고 길모어도 있군요. 학부때 전자회로 배울때는 열심히 계산만 했지 어디에 쓸지 신경도 안썼는데 말입니다.
    Date2011.07.02 By유현목 Views1290 Votes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 355 Next
/ 355
CLOSE
226120 5941420/ 오늘어제 전체     475733 79223356/ 오늘어제 전체 페이지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