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free) - 헤드폰 앰프에 대한 자유 게시판 (정치,경제,문화,개인 사생활 ....등은 삭제 조치사항입니다.)
조회 수 1287 추천 수 0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요 아래 엄수호님께서 두가지 파츠팩으로 만들어진 쿠미사를

비교해보셨다는데, 분명 차이가 있다고 하셔서..

그 원인이 궁금해져서 회로도를 한번 다시 디다봤는데..


일단 회로상에서 결정적으로 차이나는 부분은 바로

78xx 출력단의 평활캡(하스팩의 470uF+1uF) 용량이었습니다.



일단 페달팩은 amb 사이트에서 공개된 회로와 PCB 레이아웃을
거의 그대로 복각한 팩이구요,  캡용량은 220uF전해 + 2.2uF필름

하스팩은 이정석님께서 약간의 수정을 가하신 팩인데
캡용량은 470uF전해 + 1uF 필름


이 외에 회로상 다른 부분은 크게 의미가 없는 부분이구요..
(DC서보 OPAMP야 바꿔끼우면 그만, 바이어스 조정측 저항값이
약간 다른부분은 단지 조정범위 차이일 뿐.  다이오드 2개
추가된건 역전압 방지용이고...  기판과 레이아웃이 음색까지
크게 좌우할 리는 없고.. 바로 확신하기 힘든부분은
소자들의 브랜드 차이가 있겠네요)



얼마전에 제가 쿠미사 업그레이드 관련해서 조언을 구한 글에

김상록님께서 다신 덧글을 좀 발췌해 왔습니다만 -

>>>>>>>>>>>
쿠미사에서 바꿔서 가장 효과가 있는것은 제가 테스트해본결과...전원단 470uF 였읍니다.. 중략 ...

전원단 마지막 콘덴서죠...소리에 영향을 제법 줍니다....처음부터 파나소닉 FM을 470uF를 달고 있었읍니다..소리성향이 저음이 상당히 부드럽죠...그런데 스테이지가 좀 좁습니다.. 귀에착 붙는느낌이라고 할까요?....오늘은 그것을 제거하고 ....니치콘 KZ "MUSE" 25V470uF로 바꾸어서 3~4시간을 들었읍니다...해상력이 상당합니다... 놀랬읍니다.....그런데 문제는 저음도 너무 깨끗해서...
깊은맛이 안나는거 같네요.. 생각과 고민끝에...다시 파나소닉 FM 470uF를 병렬로 달았읍니다.....저음이 어느정도 돌아왔읍니다..HD600으로 테스트 했읍니다...소리 개인적으로 참 마음에 듭니다..^^ 그런데 왜 공개를 안하려고 했냐면... 사용하시는 헤드폰도 다 다르고..환경이 다를거 같아서요.. 만약 니치콘에....대륙을 연결한다면...제생각에는 민폐입니다....헤드폰안에서 ...칼싸움합니다...챙챙챙~~~ㅋㅋ 470,470병렬보다는 .....330,220.......220,330 이런조합이 어떨까 생각해봅니다...
용량이 지나치게 키우는건 도움이 안될거 같고....가지고 계신것중...한번쯤은 테스트 해보시는것도 좋을거 같습니다..
.>>>>>>>>>>>>

................................. 라고 하셨는데,

분명 78xx 출력단의 평활캡 자체가 음색에 꽤 많은 영향을

미치는듯 합니다.


그렇다면 페달팩과 하스팩의 음색이 좀 다른 이유는

아무래도 저것이 상당히 결정적이지 않나, 싶은데요..

브랜드만 바뀌어도 저난리인데, 용량이 크게 차이가 나니까

분명히 캐릭터 형성에 적지않은 영향을 미쳤지 않을까 싶네요

뭐 전원부 평활캡 용량이 저역과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도 있고..



이 외에는 뭐 캐퍼시터와 저항의 브랜드 차이밖에 없는데,

저항은 두 팩 모두 일정그레이드 이상인데다,

제가알기론 둘다 메탈필름이고 카본필름이나 카본컴퍼지션이

섞이진 않은걸로 알고있기땜시... 크게 성향차이에 일조하지는

않았을까 싶고..


페달팩은 필름캡들이 모두 WIMA로 되어있다는 것이

약간의 고음성향에 일조하지 않았나 싶네요..



암튼.. 파츠팩별 성향차이가 분명히 나고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으니까,  그 차이를 형성하는 결정적인 부분을

파악하고.. 좋은 튜닝포인트를 찾아낼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한가지 잘 모르겠는 부분은 + - 15v 아웃단에 LED 연결인데

정석님버전은 LED 보호저항들이 마치 + - 분압을 하고있는듯한

형태이고 amb 회로는 그냥 + - 사이에 LED가 위치하는 형태인데

이게 혹시 평활캡과 필터구조를 이뤄서 영향을 미치는건

아니겠죠? -0-a;;


  • ?
    정성훈 2011.06.23 00:50
    제작중에 TR하나가 반대로 된적이 있었는데
    증상은 그쪽 채널의 레귤레이터와 출력석이 매우 뜨겁고
    50mV이하로 트리머를 조절해도 내려가지 않는 증상입니다
    돌려놓으니 정상으로 돌아오더군요
  • ?
    방민혁 2011.06.23 00:52
    제가 아직 초보라 잘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
    전원부의 캐패시터가 음색에 영향을 줄 수도 있는건가요?
  • ?
    이하윤 2011.06.23 00:58
    저도 설마설마 했는데 김상록님의 덧글을 보니 그런것 같더군요; 환장할 노릇이죠...-0-; 튜닝의 길은 멀고도 험한...
  • ?
    방민혁 2011.06.23 01:04
    헛.. 신경쓸게 하나 더 생긴 샘이네요...........
  • ?
    이길범 2011.06.23 01:51
    음색을 좌우하는 요소는 무궁무진합니다.

    첫번째는 노이즈입니다. 가청음량대에 들어오는 노이즈는 바로 귀에 거슬리는 소리로 들리기
    때문에 쉽게 차이를 느낍니다.

    그다음 차이를 느끼는 부분이 Frequency Response특성인데, 이게 flat하지 않으면 특정 대역이
    바로 강조되거나 빠지기 때문입니다.

    그 다음이 왜곡문제인데, 쿠미사의 경우는 AC관련 Frequency Response를 변형시킬 만한 부분이
    없습니다. 즉, 대역폭이 어디까지냐에 따라 고역 한도가 정해지는데, 피드백도 없어서 훨씬 더
    고역(가청범위를 한참 벗어난)까지 뻗어 나갑니다. 문제의 소지는 여기 왜곡에 있는데, 아무래도
    피드백을 주는 회로방식인 초단 차동회로대비 선형성에 한계가 있어서 하모닉스에 의한 왜곡이
    피드백 방식보다 좋을 수는 없습니다.

    하모닉스를 얼마나 억제하느냐의 관건은 선형성을 얼마나 개선 확보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선형성 확보에 실패한 경우 어떻게 확인이 가능하냐면, 스펙트럼으로 분석해 보아도 되지만
    심한 경우는 오실로스코프상에서 나타납니다. 쉽게 보이는 것이 사인파를 넣어줬을 때 출력에
    나타나는 파형이 윗쪽 스윙과 아랫쪽 스윙의 폭이 달라집니다.

    회로에서 +15V쪽 회로를 통해 전달되는 신호와 -15V쪽에 붙어서 전달되는 회로의 각각의
    파형이 왜곡되었더라도 서로 방향이 반대가 되면 최종단에선 보상이 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윗쪽과 아랫쪽의 게인이 일치해야 합니다.

    이상적으로 왜곡이 없고 노이즈도 없다면 THD+N Ratio는 0이 되어야 합니다만, 가장 선형성이
    우수하다는 차동입력 방식 조차도 0이 나오지는 않습니다. OP-AMP의 경우에도 출력전압 range가
    일정영역 내에 있어야 OP-AMP칩에서 주장하는 THD성능이 나옵니다. 이 영역을 벗어나면 급격히
    왜곡이 증가하게 됩니다.
  • ?
    이길범 2011.06.23 01:53
    그 다음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이, 전원 공급장치의 내부저항 (낮을수록 전류공급 능력이 높음)에
    따라서 실제 신호가 스윙할 때, 특히 저역이 full-scale로 스윙하는 경우 출력석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오실로스코프로 찍어보면 신호에 따라서 흔들리는 경우가 있는데, 전원캐파가 충분하면 아무래도
    이 영향은 덜하겠죠.

  1. No Image

    드디어 저도 쿠미사 시작할 수 있습니다...^^

    회원 여러분들 쿠미사 만드시느라 이런이야기 저런 이야기 오가는데 궁금하기도 하고 빨리 부품팩 안오나 조바심도 나고 했었습니다...^^ 피드백 없는 푸시풀 회로에 대해 한번도 해석을 해본 적이 없다보니 실물없이 회로도 놓고 보는 것도 하품납니다... 어...
    Date2011.06.22 By이길범 Views1062 Votes0
    Read More
  2. 쿠미사.. 페달팩과 하스팩의 차이..

    요 아래 엄수호님께서 두가지 파츠팩으로 만들어진 쿠미사를 비교해보셨다는데, 분명 차이가 있다고 하셔서.. 그 원인이 궁금해져서 회로도를 한번 다시 디다봤는데.. 일단 회로상에서 결정적으로 차이나는 부분은 바로 78xx 출력단의 평활캡(하스팩의 470uF+...
    Date2011.06.23 By이하윤 Views1287 Votes0
    Read More
  3. No Image

    [KUMISA] 게시판 이슈를 정리 했습니다

    자유 게시판이 아닌 공구/공제 게시판에 정식으로 적어 놓았습니다 http://www.has.pe.kr/bbs/zboard.php?id=buy_make&page=1&page_num=15&select_arrange=headnum&desc=&sn=off&ss=on&sc=on&keyword=&no=350&category=1 현재 나타난 문제점들에 대한 정리와 ...
    Date2011.06.23 By이정석 Views2609 Votes0
    Read More
  4. No Image

    알레프 제작 고민중에..-.-a

    어찌저찌 해서^^; LT1085 / LT1033 구했습니다!! 그런데 알레프를 꾸밀 계획을 좀 세워보니까.. 헐-_- 케이스가 뭐이리 거대해진답니까.. 오디오렉이 아닌, 책상위에 올려서 쓸건데... 선물받은 알레프 기판이 이벤트버전으로, 전원부가 구형이라 전원부를 개...
    Date2011.06.23 By이하윤 Views1184 Votes0
    Read More
  5. 지락꼼지락꼼

    먼저, 좋은공제 해 주신 박가람님 감사합니다 ^^;; 화이트기판은 처음보는데 씐기하네요~ 이쁘기도 하고... 개인적으로 Opamp 기반의 빠른 응답성과 경질된 소리를 좋아하는데 피메타는 참 기대됩니다 ^^;; 베이스부스트도 사용안하고, 6321대신 정버퍼를 사...
    Date2011.06.23 By유문구 Views1118 Votes0
    Read More
  6. No Image

    그런데 요즘 보이는..

    자유게시판에 Top(상위)에 보이는 321의 숫자는... 무언가를 넣으실려고 일부러 미리 넣어놓으신건가... ...저만 신경쓰였나요..?
    Date2011.06.23 By박가람 Views1262 Votes0
    Read More
  7. No Image

    Omokpass DAC을 구상중입니다.

    지난번 OmokDAC을 현재 음감 메인 소스로 잘 활용중입니다. 처음에는 하스 공개용으로 제작한 버전이었는데, 트랜스 수급 등으로 인해 다른 분들이 따라하시기에는 한계가 커 보이더군요. (PCB 설계만 할수 있었으면 공제도 해볼만한 아이템이라 생각했습니다....
    Date2011.06.23 By김희태 Views1226 Votes0
    Read More
  8. No Image

    버퍼 공제 좀 해보고 싶군요

    BUF634나 LMH6321 등의 버퍼 IC는 IC 앰프나 몇몇 Hybrid 앰프에 자주 쓰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급이나 가격적인 면에서 난점이 있어 쉽게 쓰이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럴 때 대체품으로 쓸 수 있는 게 이들 IC의 핀아웃과 호환되게끔 만든 Discrete 버퍼 모...
    Date2011.06.23 By박용민 Views1313 Votes0
    Read More
  9. No Image

    쿠미사 건

    출장다녀 오는 길이라 이제 하스 제대로 접속합니다. 시간 날 때 정리해서 글 올리겠습니다. 그리고 쿠미사 부품공제 하신 분 중 만드시는 데 부담 되시는 분은 아직 부품 구하지 않아서 부담 없습니다. 환불 해드릴 테니 눈치보지 마시고 쪽지로 환불계좌 주...
    Date2011.06.23 By엄수호 Views1325 Votes0
    Read More
  10. No Image

    +-17.5V 정전압 어댑터로 뭘하면 좋을까요?

    출력은 1.8A 이고 smps 인거 같습니다. 원래 스피커에 쓰던 것인데 잠시 봉인해놓고 헤드폰 앰프에 쓸수 있을까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근데 참 전압이 애매하네요. 테스터로 재보니 +-17.3~4v 정도 나오는데 opamp 계열은 +-17V 정도가 마지노선인것 같더군요...
    Date2011.06.23 By엄석찬 Views1267 Votes0
    Read More
  11. No Image

    공제 PIMETA의 주파수 응답특성과 Bass Bosst

    PSpice 시뮬레이션 결과입니다. Op-Amp : TL072 버퍼 : LMH6321 저항 부하 : 600옴 20Hz에서 약 -0.1dB, 20Khz에서 약 -0.01dB로 매우 평탄한 주파수 응답특성을 보여줍니다. - Bass Bosst 적용 - 1. Bass Bosst 위치에 10K 볼륨 사용 볼륨의 저항값을 20단계...
    Date2011.06.24 By박용민 Views1243 Votes0
    Read More
  12. PCM2704 (USB-DAC)

    안녕하세요. 실력은 없지만 ~~ 쿠미사 열기도 뜨겁고, PCFI에 대한 생각도 있어서..... 간단하게 PCM2704 칩 이용해서 USB-DAC 만들어보고 자료 공유합니다. 방민혁 님 올려주신 PCB 기판이 있어서 보고 작업할 수 있었습니다. 1. PCM2704 칩은 구하기 쉽고 ...
    Date2011.06.24 By송기환 Views2480 Votes0
    Read More
  13. 쿠미사 방열

    제가 만든 쿠미사 방열 한번 해봤습니다. 처음에 정석대로 만들었을 때 14mv바이어스시 열이 7812쪽은 58~60도, 출력 TR쪽은 66~68도 정도로 만지기 힘들 정도였습니다.(나중엔 바이어스가 19.2mv까지 상승) 김상록님과 엄수호님이 케이스 방열을 추천하시는 ...
    Date2011.06.24 By방민혁 Views1594 Votes0
    Read More
  14. No Image

    인두팁 리프레셔..

    엊그제 청계천 가서 인두팁 사는김에, Tip Refresher 라는 인두팁 코팅제를 사왔는데요... 솔직히 반신반의 했는데...-_- 이거 대박이네요 ㅋ; 다들 아시겠지만, 일단 인두팁 새것을 보면 은빛으로 반딱반딱 하지만.. 조금만 쓰기 시작하면 팁 끝부분이.. 의외...
    Date2011.06.24 By이하윤 Views1412 Votes0
    Read More
  15. No Image

    깨작깨작 PIMETA 제작 중

    보시는대로 일단 주요 부품 납땜만 해놨습니다. 나머지는 (언제 마련될지 모를) 인클로져가 생긴 뒤에야 할 듯 싶습니다. 아마 보시면 아시겠지만 몇몇 부분은 회로에 인쇄된 값이랑 전혀 다르게 되어 있고, 특히 전해 콘덴서가 좀 정신 사납게 납땜되어 있습...
    Date2011.06.24 By박용민 Views1158 Votes0
    Read More
  16. No Image

    550/560만 공구 할 때 수량을

    몇 개씩으로 했으면 좋겟습니까? 수량 제한 하지 않으면 2,3명 정도가 싹쓸이 할 것 같은 예감이 들어서입니다. 그렇다고 너무 적으면 그 것도 양이 안찰 것 같습니다. 대략 550=500개, 560은 600개씩이 남을 것 같습니다. KEC 재품은 100원도 안하겠지만 첫 ...
    Date2011.06.24 By엄수호 Views1282 Votes0
    Read More
  17. No Image

    오랜만에 왔더니 쿠미사 공제가 있었군요;;;

    학위과정 중이라 간간히 들렸는데 간만에 왔더니 엄수호님께서 쿠미사 공제중이시네요... 헌데 기판 공구가 수량 달성으로 마감되었군요... 휴우...ㅠㅜ) 혹시 불쌍한 저를(;;;) 위해서 기판 한장만 양보해주실 분 계실지 찾아봅니다.. 부품 공제를 토요일 까...
    Date2011.06.24 By한병희 Views1164 Votes0
    Read More
  18. No Image

    피메타의 RMAA테스트는...

    추후에 테스트를 해보고 올려드리겠습니다. 현재는 측정할 선이 없습니다. 사용하는 인터페이스가 밸런스 케이블을 써야해서 불편하니 일단 출력부분 하나만(좌+우 -> 스테레오) 선을 만들어서 사용중입니다. 주말에 시간나면 한개 선을 더 만들어서 테스트를 ...
    Date2011.06.25 By박가람 Views1150 Votes0
    Read More
  19. 비오는 야밤에 밥상에서 납땜질.

    방금 PCB조립 끝낸 납땜 환경입니다. 편하게 의자에 앉아서 작업할 공간이 없다보니 밥상에 종이깔고 세팅해서 땜질 했습니다...^^ 가운데가 작업한 페달버전 쿠미사3 PCB이고, 왼쪽은 후루꾸 87V 멀티메터, 뒷쪽은 메칼 SP-200 스테이션, 오른쪽은 인두기 핸...
    Date2011.06.25 By이길범 Views1421 Votes0
    Read More
  20. No Image

    토요일 맘편합니다만 몇몇분 싫은 소리 일 수 있습니다.

    당분간 시샆 맡은 죄로 이 것 저 것 할 일 꽤 있습니다. 가끔 DB도 내려받아야 하는 것도 일입니다. 그 DB 가 어떻게 되어 있나 보기도 합니다만 제가 프로그램 짜는 DB형태와 다르게 TEXT 상태로 볼 수 있더군요. DB 내용중 MEMO 라는 글자가 쪽지 인 ...
    Date2011.06.25 By엄수호 Views1206 Votes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 355 Next
/ 355
CLOSE
156120 5941350/ 오늘어제 전체     292733 79223173/ 오늘어제 전체 페이지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