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free) - 헤드폰 앰프에 대한 자유 게시판 (정치,경제,문화,개인 사생활 ....등은 삭제 조치사항입니다.)
조회 수 1313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갑자기 친한 척 해서 죄송합니다.

그러나 제가 처한 상황에서 객관화된 측정 자료를 얻기 어려워 감히 부탁을 드려 봅니다.

회사에 좋은 장비 많이 있으시니,

전지류의 무부하시 노이즈 레벨 좀 측정해서 공개해 주실 수 있을런지 감히 청을 드립니다.
(일반 알카라인 전지, 납축전지, 리튬 폴리머, 리튬수소등 그냥 실험실에서 쉽게 보이는 것 들만이라도... )
  • ?
    김병진 2011.06.11 01:33
    궁금 :
    전지의 무부하시 노이즈레벨이라... 배터리도 노이즈가 존재하나요?
    배터리는 물탱크에 물을 담아두고 수도꼭지를 틀어버린것과같아서 전류가 충분할때는 일정량이 나오다가 모자라면 전압이 떨어지는데...
    노이즈라면 얼만큼의 리플을 말씀하시는지?
    리플이 존재한다고해도 얼마나 정밀한 기계로 해야 할지...
    디지털 애널라이저로 하면 uV도 측정가능하지만, 그걸 리플로 봐야 할지요?
  • ?
    윤서진 2011.06.11 08:31
    당연히 노이즈 존재합니다. 일전에 왜율계로 납축전지 측정해본 값으로는 20uV 레벨정도로 기억합니다. 이유는 차차 설명드리죠. (김병진님이 생각하는 자기 용량을 다하면서 서서히 출력전압이 드롭되는 현상을 말하는 것은 아니구요)
  • ?
    이길범 2011.06.11 11:13
    장비는 원하시는 것을 측정하는데 도움이 될지는 모르겠습니다. 개발실이다 보니 부품품질에서 사용되는 장비대비 특정 부품의 측정에 적합하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제가 사용할 수 있는 계측기는 오디오 측정에 AP와 Panasonic Audio Analyzer가 있고, 그 외에 DMM, 오실로스코프 외에 대부분 RF관련 장비들입니다. (부서가 모바일 단말기쪽이라)

    아무래도 DSO로 노이즈 파형을 잡아보는 정도가 될 것 같습니다.

    측정대상 전지로, 회사에서 수급 가능한 것이 알카라인, NiMH정도는 개인용 가져가면 되고, Li-Ion과 Li-Pol은 완전히 널려 있습니다. 하지만 납축전지는 어렵습니다.

  1. 흠 짜증나는 세관..

  2. 가장 짜증나는 부품들

  3. QUICK-KOREA 704A 인두기가 5만원에

  4. 고급 부품에 대한 열망

  5. 케이스 조각문제

  6. 제목은 직류전원장치지만,

  7. A47에서 피드백 루프밖 저항 없이 한계가..

  8. 초보자용 앰프

  9. 에칭 버퍼

  10. 쿠미사 호시덴 헤드폰잭과 rca 2조+전환sw 연결법입니다.

  11. 저의 쿠미사는 071로 돌아왔습니다.

  12. 끝판왕이라...+_+;

  13. 쿠미사... 사람 안달나게 하네요...^^

  14. #$%#$^#$#$%

  15. 전 대륙도 죽었습니다. ㅠㅠ

  16. 끝판왕 3종 세트 물건너 오다.

  17. CMOY에 AD712 등 이거저거 꼽아보고..

  18. 몇몇 Op-Amp들 거품이 엄청 나군요

  19. 이길범님 부탁이 있습니다.

  20. 쿠미사로 들을 때 좋은 음악 하나씩 말해봐요...ㅎㅎ

Board Pagination Prev 1 ...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 355 Next
/ 355
CLOSE
253120 5941447/ 오늘어제 전체     534733 79223415/ 오늘어제 전체 페이지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