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crete Rail Splitter의 성능 (김병진 님 보세요)

by 박용민 posted Apr 17, 20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PSpice 듣기만 듣고 사용법은 몰라서 낑낑대고 있다가 결국 사용법 익혀서 시뮬레이션해봤습니다.

LM6172로 간단한 증폭회로를 구성했고, 가상접지를 TL072+신정섭님의 Discrete Rail Splitter로 잡았습니다.
소스는 RMS 전압 1V의 1Khz Sine Wave고요.
(같이 올린 스키메틱 참고하세요.)

TL072를 추가로 사용한 이유는 버퍼 단독으로는 전혀 쓸만한 결과를 얻지 못해서죠.
시뮬레이팅상 1V 정도의 진폭으로 가상접지가 흔들립니다.

검색으로 Headwize의 어떤 글에 달린 Tangent의 코멘트를 읽게 되었고, 버퍼의 출력 임피던스가 커지기 때문에 이런 결과가 생긴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Tangentsoft의 Virtual Ground Circuits를 참고하여 OPAMP를 추가해줬습니다.  

반면 버퍼 쪽엔 1N4148 대신 1N914가 그려져 있습니다. 1N4148 쪽이 914보다 조금 결과가 나쁘긴 한데, 미미한 수준이고 전체적인 경향은 비슷한터라 그냥 914로 한걸 올립니다.
(... 단지 스샷 다시 또 찍기가 귀찮았습니다.)


전체적으로는 4.5V를 매우 잘 유지하고 있고, 매우 짧은 시간동안 전압이 수직적으로 상승, 하강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좀 안타까운 부분이기는 한데, 그래도 크로스토크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전원 입장에서는 리플로 보아도 될듯합니다.

그런데 그렇다고 Bypass Cap을 단다한들 딱히 도움되는 건 없습니다. 오히려 더 나쁜 그래프를 보여주거든요.

[정확하지 않아서 윗부분 정정합니다.]

아마도 제 생각엔 다이오드 때문일듯 한데, 신정섭님께서 Simple Class-AB Headphone Amp - I에 사용하신 버퍼나 Diamond 버퍼를 사용한다면 4.5V에서 거의 꿈쩍도 안 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듯 합니다.

[버퍼간 차이는 꽤 미미한 걸로 시뮬레이팅 결과 밝혀졌습니다. 4148을 쓰는 경우 가장 나쁘긴 하지만 좋은 쪽과 약 0.1mV 차이니 미미하다고 봐도 되겠죠.]

테스트해보고 결과 알려드리겠습니다.

덧. 참 32옴 저항은 헤드폰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32옴 양단에 걸리는 전압을 시뮬레이팅해보면 굉장히 깔끔하게 파형이 출력됩니다.
이 회로가 잘 작동한다는 이야기죠. :-)

덧2. 김병진님 덕분에 좋은 문제거리를 하나 얻게 된듯 합니다.
안 그래도 새로 만들 앰프 전원 때문에 매우 고민 중이었는데, 회로 개선이 필요하겠다 싶어집니다. ㅎㅎ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