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CMOY 만드시는 분들께 드리는 당부...

by 박용민 posted Apr 08, 20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관련 내용이 일반 정보 게시판에도 올라가겠지만

CMOY 원 회로대로 만드실 때 NJM5532나 NE5532 등의 OPAMP는 '절대' 사용하시면 안 됩니다.

출력 DC와 전압 불균형이 상당히 심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이는 NJM5532의 Input Bias Current가 높아서 생기는 현상이고,
당연히 데이터 시트상에서 Input Bias Current가 높은 OPAMP는 마찬가지로 CMOY 원 회로에 사용하실 수 없습니다.

즉 LM6172 같은 OPAMP도 '절대' 사용하시면 안 됩니다. (이건 더 위험합니다.)

NJM4556이나 NJM4580의 경우,
증폭률이 3 정도일 때는 괜찮은 편이지만, 증폭률이 그보다 커질 경우엔 마찬가지로 출력 DC와 전압 불균형이 상당히 심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OPAMP들은 모두 Bipolar 타입들로,
CMOY 원 회로는 Bipolar 타입 OPAMP에는 '대체로' 적용하기 힘들다는 걸 당부드립니다.

CMOY 원 회로에는 Input Bias Current가 낮은 FET 타입 OPAMP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따라서 원래 CMOY 회로대로 제작하실 땐 웬만하면 CMOY의 제안대로 OPA2134나 비슷한 스펙의 OPA2132 정도의 OPAMP를 권해드립니다.

(NJM4556이나 NJM4580도 증폭률이 3 정도일 경우, 허용범위 안이기는 합니다.)

그 외에 FET Type OPAMP를 사용하셔도 좋지만
TL072나 LF356 같은 경우 헤드폰을 직접 구동하기에는 무리가 있고,
그 외에 대역폭이 넓은 OPAMP들은 발진의 우려가 있어 권해드리지 않습니다.
(데이터시트에서 Unity Gain Bandwidth, 혹은 Bandwidth Gain Product 참고. 이 둘은 같은 값입니다.)

처음 CMOY를 만드시는 분들 뿐만 아니라, 혹시라도 페달파츠에서 CMOY 공제에 참여하시는 분이 계시거든 이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페달파츠에 댓글도 달아 놓았습니다.)

덧. TDA1308은 데이터시트 확인 결과 Input Offset Voltage가 높은 편이어서 CMOY 원 회로에 사용하시는 건 추천하지 않습니다.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