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님 자작품(member) - 헤드폰 앰프 관련 자작 게시판 입니다.
2016.09.10 23:42

계속 MHHA,

조회 수 2212 추천 수 0 댓글 1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찬바람나고, 시간날때 마다 MHHA 가지고 놀고 있습니다. 덕분에 PCB 가 너덜 너덜 합니다. ㅜㅜ

그동안,


  . 룬달 파라피드 출력트랜스 달아보기 => 6:1 이라... 최종 게인이 부족해서 접었습니다.

    ( 하지만, 트랜스 출력이 가지고 장점인 에너지감을 결코 포기할수 가 없네요... 2:1 정도만 되도 좋겠는데. 이건 담으로)

 . 사진 처럼 페달파츠에서 케이스 사서 열나는 것들 모두 붙였습니다.

 . 히터는 별도 트랜스로 분리 공급=> 여러 진공관 적용을 위해./ LM317은 바로 GND로

 . IRF510 전류량을 늘렸습니다. ( 5.6R 적용) => 고역 개방감이 더 좋아졌습니다. 열이 엄청 나네요=> IRL510 이 오고 있어서,  이것도  나중에.

 . 출력 직렬저항을 30오옴으로... => 10R , 0R은 그라도 에서 히스 노이즈가 들려서.. 30오옴으로 타협.

 . 입력에 게인감쇄 저항 24K적용했다 삭제 => 아무래도 소리 깎아 먹네요.

 . 플레이트 부에 정전류 저항을 고정저항 + 반고정( 2K) => 6N1P 적용을 위해..

 . 출력커플링에( MUSE, 1000uF에 젠센 실버Z-Cap 1uF ) => 1.5uF 이상은 중역까지 침범해서 밸런스가 좀... 힘을 주려면, Copper foil 이 낫지만, 가격이..)

   ( ELNA 실믹II, EPICOS 실코렐, BC 중에 니치콘 MUSE 이 고역이 좋아서 낙점 했습니다 )

 . 바이어스 전압은, 플레이트에서 12V  =>  16 ~ 17V 보다 좋게 들려서 ,,, 이론이 미천하여..., 아래 미국버젼에서도 12V 를 권장..


 . 진공관은 이것 저것 바꾸어 봤고, 현재 6N1 P 입니다. 히터를 분리 하지 않고는 6N1P의 600mA 히터 전류를 맞출수가 없었습니다.


 . 6922 ( 멀라드, 텔레풍켄, 골드라이언, JJ, 6922EH등등) => 12AU7 보다는 화려한 배음이 더많은 소리라서

 . 6N23P( 러시아판 6922) : 로켓 로고... 위의 6922 들 보다 고역이 탄력이나 해상도 좋았습니다. 좀 진득한 무게감도 있고요. 좋다는 reflector Single Wire getter 버젼은 우크라이나에서 아직
 . 6N1P-EV:  사실 지금까지 모든 꼼지락이 이 관을 써보고 싶어서 였습니다. 예전에 아이키도 라인프리 만들면서 마지막까지 살아남은 관이라서..

            특유의 찰지고 탱글 거리는 소리와 단단한 중저역. 6N23P 와 비교해보면, 6N23P가 무대 폭이 조금 더 넓은듯 하고, 고역이 더 화려한편입니다.

             히터 밥(?)두배로  먹는 6N1P 는 좀더 찰지고 가라앉은 묵직한 느낌입니다.

충분히 가지고 놀다가, 살아남는 다면 케이스에 제대로 전원부 만들고, 보호회로 붙이고... 앉혀지겠지만요.


MHHA 를  고급 부품으로 대체하고 몇가지 수정( 히터 분리)해서 미국에서 팔고 있는 제품이 있습니다. 거의 모든 초단관을 다 바꿔가며 쓸수 있게 되어 있더군요.

몇가지 참고가 되었습니다.  ( G1217 Project Sunrise III,  www.garage1217.com)


이런 간단하면서도 많은 가능성을 가진 앰프를  처음 설계하여 배풀어 주신  그 분께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MHHA01.JPG MHHA02.JPG  






                       


  • ?
    김대영 2016.09.11 11:44

    좋은 소리 날 것 같아요.

  • ?
    이진구(notwokorea) 2016.09.11 13:56

    끝을 보시는군요... 대단하십니다.


    저도 플레이트 전압을 좀 낮추어서 시도 해봐야겠습니다.

    아무래도 전류량이 좀 많아져야 좀더 유리한 것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감사합니다. ^^

  • ?
    심호철(caddis) 2016.09.11 14:08

    ^^ 앰프 만들기는 이젠 열정이 식어서... 헤드폰 앰프는 규모가 작아서 그냥 가지고 놀고 있습니다.

    전류량을 늘리면 소리의 속도나  윤기가 좋긴 한데요... 열이 무지막지 합니다. 보이는 올 알루미늄  케이스전체가  앗 뜨거  할정도 입니다.( 얼마나 견디나.. 24시간 풀가동중입니다)

    나중에 케이싱할때도 고민을 해봐야 할듯 합니다.  미국의 판매품(G1217)은 그 작은 방열판으로 어떻게 견디는지 의아 스럽습니다.

  • ?
    김병진(kimbj123) 2016.09.12 08:56
    ㅎㅎ 엄청나네요ㅎ 열정에 경의를 표합니다
  • ?
    하스팡 2016.09.12 08:56
    축하합니다. 김병진님은 하스팡 5포인트에 당첨되셨습니다.^0^
  • ?

    G1217 의 회로도 첨부 합니다.  구글의 힘으로 찾았습니다.

    Simple  MHHA 의 변형 버젼과 최근작인 OP-Amp 결합버젼 회로도 입니다. 참고 하실분께 도움이 됐으면 합니다.

  • ?
    심호철(caddis) 2016.09.13 00:01

      FET 전류량을 150mA 으로 원복 했습니다. 210mA 일때는 좀 고역쪽으로 치우치는 날카로운 소리가 납니다. 음이 두께도 얇아진다는 느낌이고요.

     출력커플링콘에 덧붙인 필름콘도 제거... 중고역 착색이. ( 역시 뭘 덧붙인다는 건 득보다 실이 ㅜㅜ)

     출력커플링을 니치콘 MUSE 에서 ELNA 실믹II 로 ..MUSE 는 너무 화려한 소리라서 오래듣기에는 피곤했습니다.


    OPPO HA-1 과 BMC PURE DAC 의 헤드폰단 소리와 수시로 비교하면서 놀고 있습니다.

    수퍼튜브라는 6H30P( 히터전류, 900mA) 도 시도했는데, 12AU7 비스므리... 6922 계열보다는 수더분합니다. 배음이...

    어쿠스틱 기타 소리 기준으로.

    현재는 6N1P 가 꽂혔습니다.

    중고역은 튜브 사운드로 맘에 드는데... 중저역의 무게감( 슬램베이스?)이 좀 아쉽네요. 위의 두기종과 비교시. 회로의 한계일까요?

  • ?

    IRL510 이 도착해서 교체 해봤습니다. 헤드룸이 넓어져서 고역이 좋아진다고 리뷰에 있었는데... 제가 느끼기는 중저역이 더 좋아 졌습니다.

    저역의 양이나 힘이 IRF510 대비... 전류량은 166mA ( 7.5오옴)

    추천 바이어스는 14.5V 였는데.. 제 경우는 cross talk 가 16V 근처가 더 좋아서.. 출력 커플링 기준으로 12V 내외가 되게 맞췄습니다.


    크기변환_MHHA_13SEP.JPG

  • ?
    심호철(caddis) 2016.09.22 16:41 Files첨부 (1)

    음질에 가장 긍적적인 변화는 IRL510 이었습니다.  전류량은 많으면 소리가 너무 뽀족한 느낌이라,... 채널당 180mA 로 타협, 그리고, 12AT7으로 정착 했습니다.

    6922 계열의 현란한 고음이 자꾸들으니 식상해져서... 울림이 적고 직선적인 소리지만, 아래도리도 양이 많은 편인  AT7 으로.

    OPPO HA-1 과 비교해도 ... 계속 MHHA 로 손이 더 갑니다.  ^^

    MHHA.JPG

  • ?
    정광식(ksjung88) 2016.09.28 17:42

    대단한 열의십니다. 소리로 보답하겠죠. 저도 한번 맹글어보고 싶네요.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최근 수정일 최종 글 아이디 이름
2254 G-2 기판을 나눔 받았습니다. 13 file 유현우 2013.06.28 2715 0 2013.07.13 2013.07.13(by 윤인상) yoohwoo 유현우
» 계속 MHHA, 10 file 심호철(caddis) 2016.09.10 2212 0 2016.09.28 2016.09.28(by 정광식(ksjung88)) lure0920 심호철
2252 여기 수준에는 좀 안 맞지만 자작품 몇 종입니다. 19 file 문상환 2013.06.07 4102 0 2013.08.14 2013.08.14(by 박병욱) cynthia 문상환
2251 LME49600을 이용한 헤드폰앰프 PCB아트웍 해봤습니다. 3 file 배강식 2013.05.21 5127 0 2013.05.22 2013.05.22(by 김나라) lewispae 배강식
2250 Simple MHHA 얼짱 사진및 경과 보고입니다. 2 file 이진구(notwokorea) 2016.08.15 2270 0 2017.07.11 2017.07.11(by 이진구(notwokorea)) notwokorea 이진구
2249 울궈먹기 입니다.(옷을 해입히고 있습니다, 학신표 차동앰프...) 4 37 file 전병수 2013.05.01 3488 0 2013.05.02 2013.05.02(by 정두영) hl2ajt 전병수
2248 기쁘게 만들고 기쁘게 들었던 제커스와 전원부 2 file 정재훈(hoony555) 2016.04.16 1403 0 2016.04.16 2016.04.16(by 정재훈(hoony555)) hoony555 정재훈
2247 META42 자작 올려봅니다.^^ 8 file 전계원 2014.10.13 2388 0 2015.04.16 2015.04.16(by 김선재) kwjeon69 전계원
2246 Jay-OD-L 완성 입니다^^ 16 40 file 정두영 2013.04.09 4018 0 2013.04.17 2013.04.17(by 김재용(lovefalls)) j4241g 정두영
2245 2옴 다이나하스 디버그 완료 했습니다(100%!!) 8 file 김명섭 2013.04.05 3782 0 2013.06.07 2013.06.07(by 유현우) sopoi2 김명섭
2244 2옴 다이나하스 완성했습니다. 9 1 file 김명섭 2013.04.03 3877 0 2013.04.05 2013.04.05(by 김창수(sopphill)) sopoi2 김명섭
2243 H6120 두번째 완성 8 2 file 김나라 2013.03.31 3693 0 2013.05.07 2013.05.07(by 이학신) minipole 김나라
2242 Morgan Jones 27 1 file 손용욱 2013.04.01 5897 0 2015.04.06 2015.04.06(by 전병수) son4130 손용욱
2241 H6120 자작기 18 2 file 김병진(kimbj123) 2013.03.13 4164 0 2013.06.26 2013.06.26(by 이빈) kimbj123 김병진
2240 철지난 sha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4 file 김명섭 2012.09.17 4988 0 2012.10.24 2012.10.24(by 박문서) sopoi2 김명섭
2239 길범님께 무상제공받은 앰프 20 file 김상록 2012.06.28 4751 0 2012.10.22 2012.10.22(by 장시영) ksr0757 김상록
2238 길모어 베타(추가) 15 file 송기환(majors) 2012.05.04 3609 0 2013.03.20 2013.03.20(by 정두영) majors 송기환
2237 루나 제작완료 사용중입니다. 15 file 서찬영 2012.05.01 3042 0 2012.05.08 2012.05.08(by 이원묵) mydoc2001 서찬영
2236 MHHA 완성입니다.ㅋ 13 file 정연규 2012.04.29 2745 0 2012.06.27 2012.06.27(by 박은혁) dusrbekd 정연규
2235 길모어 베타 성공 11 file 송길섭 2012.04.21 3045 0 2012.04.27 2012.04.27(by 김준태) gen39 송길섭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132 Next
/ 132
CLOSE
134120 5941328/ 오늘어제 전체     244733 79223125/ 오늘어제 전체 페이지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