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free) - 헤드폰 앰프에 대한 자유 게시판 (정치,경제,문화,개인 사생활 ....등은 삭제 조치사항입니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하스에 감사드리며 이글을 씁니다.그리고 제 생초보질문에 리플 달아주신 송관섭님에게도 감사드리고요
자작은 아니었지만 그래도 정말이지 놀라운 소리변화에 감동했습니다 이제 이 세계에서 헤어나지 못할 것 같아요.^^;;;;

오늘 하스의 보물지도를 복사해가지고선 청계천 아세아 상가에 갔습니다. 질문게시판보신분은 아시겠지만 제 오래된 앰프의 녹슨 콘덴서를 갈아끼우고자 학교에서 큰맘먹고 버스에 올라탔더랍니다.  그리고선 아세아2층 삼ㅇ상사에서 삼화 콘덴서10000uf 50wv(사실 이게 무슨의민지는 모릅니다)를 3000원씩 두개 사고 땜납을 구하고자 돌아다니다 12000원짜리 땜납을 사서 왔거든요..
어디서 주워들은 건 있어 은납을 사고 싶었지만 너무 비싸서^^;;그리고선 12시에 작업들어가 지금 소리들어보고 넘 감격한 나머지 여기에 이렇게 글을 씁니다. 첨엔 생각처럼 안되서 맘고생 심했습니다 기판에 열이 오래 가해지면 안된다는 어디선가 5초 이내에 해야된다는 말만 머리속에 맴도는데 기판에 대고 한시간은 지진것 같습니다. 녹아서 뱅뱅맴돌지 떨어지지가 않더라구요 도대체어떻게 해야 납을 기판에서 뗄수 있는건지...
뭔가 노하우가 있겠지만 전 원래 콘덴서를 제거하는 일이 쉽지만은 않았습니다.
그래서 찝찝한마음으로 흔들어뺐습니다.거의 억지로^^

그리고선 새로 사온 콘덴서를 끼우고 납땜을대고 제가 15년전초딩시절 라디오 자작을 위해 구입하였던 인두로 열심히 땜질을 했습니다
그랬더니 소리가 달라졌습니다.
전 헤드폰을 얼마전 alessandro ms-2를 구입하여 사용중인데 정말 좋은 소리가 나더군요. 불만이었던 저음이 살고 소리또한 정말 따뜻해졌고 거의 전무하다시피한 공간감이 멋지게 생겼습니다!! 그 전해콘덴서가 전원부 평활용이라고 하던데 어떻게 그렇게 큰 변화가 생기는지....
하스 자작도우미에 보니 전압 큰걸 넣으면 좋아진다는 말씀을 적어놓으셨던데 그게 좀 아쉬울 따름입니다 높은 전압으로 하면 얼마나 좋아졌을까 궁금하기도 하구요
여기 있는 여러분들이 이런 기쁨을 느끼며 자작생활을 하셨던 것이었나요?? 전 눈물이 맺히더라구요
가능한데로 하나씩 좋은 부품으로 갈아끼우고 싶네요 뭐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몰라 손댈순 없지만^^;;;
앞으로도 기본없는 질문을 어여삐 여겨 답해주시길 바랄게요

지금까지 흥분한 초보생의 개조기였습니다^^;;

  • ?
    이현성 2004.10.06 07:34
    아하..성공축하드립니다..
    땜납제거하는 도구가 있습니다..제가 아는 건..흡입기(?)라고 해야하나..그거하고..솔더웍이라는 거 하고..
    솔더웍은 소모품이라 저는 아까워서 잘 사용안하는데..흡입기 정도는 비싸지 않으니..하나정도 구해 놓으시면 편하실듯 합니다.
    그리고..전원부 보강을위해서는..전원캐패시터에 필름캐패시터를 병렬로 연결해 주는 방법도 많이들 사용하시는 방법이구요...
    저도 질문이 있는데..전원캐패시터에(용량이나 메이커변화나..)따른 음질변화에 대한 고수분들의 경험이나 의견을 듣고 싶으네요..전 무뎌서 그런지..차이가 느껴지질 않으니..(사실 커플링도 전해나, 유니콘이나, 필름이나..똑같이 느껴지니..) 이래저래 공부가 필요합니다..
  • ?
    이현규 2004.10.06 12:07
    그런게 있군요ㅡ,.ㅡa
    역시 뭘 모르면 수족이 고생한다더니^^;; 구부리고 했더니 아직도 허리가뻐근.........
    저의 첫 자작에 대한 입문은 전원부로 해야겠습니다. 다른 것들도 추후 공부하다보면 알게 되겠지만 지금으로선 전원부의 변화가 이렇게 큰 역할을 할 줄을 몰랐습니다. 사실 소모품 갈아끼운다는 생각으로 시작한건데^^;;
    님께서 말씀하신 병렬연결 많이들 하신다면 저도 해봐야겠습니다 기판에 구멍 뚫어 병렬로 연결하면 되는거죠? 자세히 알아봐야겠네요 어떤 효과가 나는건지.. 병렬연결 그것도 좀 공부하면 알게 되겠죠^^ 초보생의 생각으로는 신호부<-이게 정말 큰 영향을 미칠것 같은데 제 앰프의 신호부가 뭔지 모르니^^;;;;;;
  • ?
    송관섭 2004.10.06 22:09
    좋은 경험 축하드립니다. 아마도 기존 콘덴서가 몹시 기능이 저하되었던 것 같군요.
    정상적인 부품인 경우 8,200->10,000uF로의 교체는 표현하신것 만큼의 큰 음질 차이는 느껴지지
    않을것입니다.
    전원부를 포함하여 앰프는 여러 부분이 조화를 잘 이루어야 좋은 음이 재생되기 때문에
    기존 앰프의 부분적인 부품 교체 보다는 조그마한 헤드폰 앰프를 만들어 보시는것이 더 큰
    기쁨을 안겨드릴것으로 생각됩니다.
  • ?
    이현규 2004.10.06 23:20
    ^^;;;;;;;
    제 앰프가 그동안 많이 굶주리고 있었던듯 싶어요
    앰프하나가지고 죽어라 10년을 들으면 이놈의 조그만 변화에도 민감한듯 싶습니다
    기판을 뚫어져라 보니 그래도 먼가 조금씩 감이 잡히지만 전 전혀 다른 공부를 해야하는 처지라 아직은 그 광활한 자작의 바다에 뛰어들 수 없음이 아쉽네요
    내일 제 애기에 오스콘 밥을 먹여주고 또 한동안 굴리기만 하기로 맘 먹었답니다
    사이트 찾아보고 거울로 용량과 전압 봐가면서 나름대로 부품 목록을 작성했답니다 휴.....
    오스콘이 좋다고 또 주워들었거든요^^;;;;;;
    초보들은 귀가 얇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조언 부탁드릴게여

List of Articles
번호 이름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최근 수정일 최종 글 아이디 추천 수
1853 엄수호 일이 안되려니 별게 다 속썩힙니다. 2 엄수호 2006.06.04 1341 2006.06.04 2006.06.04 cl1992 0
1852 김상록 일전에 소개드렸던 진공관하이브리드 앰프에 관하여. 6 김상록 2012.06.04 1439 2012.06.06 2012.06.06(by 안홍욱) ksr0757 0
1851 강일묵 일전에 자유게시판 글을 찾습니다. 3 강일묵 2004.12.02 1428 2004.12.02 2004.12.02 ilmook 0
1850 조경남 일주일이 금방 가버리는군요. 3 조경남 2007.06.02 1186 2007.06.02 2007.06.02 oceanpow 0
1849 이학민 일환님을 비롯.. 나무에.. 6 이학민 2003.11.30 1259 2003.11.30 2003.11.30 yhmzzz 0
1848 김병진 읽을거리 1 file 김병진(kimbj123) 2013.03.20 1857 2013.03.20 2013.03.20(by 홍석일) kimbj123 1
1847 이복열 임석현님 Lehmann,A1 PCB 감사합니다. 39 56 file 이복열 2011.12.15 2444 2011.12.18 2011.12.18 zerosoft 1
1846 이길범 임석현님 공구하신 LM용 방열판에 대한 간단정보. 14 이길범 2012.01.06 2784 2012.01.07 2012.01.07(by 이일성) marzio 0
1845 엄수호 임시 공휴일이긴 하지만 쉬지 못하는 분 많죠? 17 엄수호 2012.04.11 1429 2012.04.11 2012.04.11(by 이복열) cl1992 0
1844 이복열 임시로 첫 화면을 조정했습니다. 7 이복열 2003.11.16 1159 2003.11.16 2003.11.16 zerosoft 0
1843 전일도 임오(壬午)대참사 11 전일도 2005.12.20 1160 2005.12.20 2005.12.20 ryanjun 0
1842 박가람 입금 아직 하지 않으신분은 빠르게 박가람 2011.05.28 1139 2011.05.28   rkfka9191 0
1841 엄수호 입금 하는 동안 진해에서 보낸 해산물 받았습니다. 15 엄수호 2012.02.14 1596 2012.02.14 2012.02.14(by 신용준) cl1992 0
1840 엄수호 입금바랍니다. SRPP+OP 기판을 소량 공구한다면 구하실 분 몇분 될까요? 15 엄수호 2014.04.28 4032 2014.05.01 2014.05.01(by 엄수호) cl1992 0
1839 이보람 입대를 얼마 안남기고;; 3 이보람 2005.11.09 1150 2005.11.09 2005.11.09 hdmix 0
1838 조지훈 입력 노이즈 해결을 어떻게 하시는지요? 3 조지훈 2014.02.19 2074 2014.02.21 2014.02.21(by 조지훈) aromie 0
1837 박용민 입력 임피던스를 높히면서 저잡음을 실현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3 64 file 박용민(ekdrms) 2011.12.02 3997 2011.12.03 2011.12.03(by 이길범) ekdrms 0
1836 엄수호 입력선이 시일드선일 경우와 아닐 경우 3 file 엄수호 2015.04.24 2982 2015.05.01 2015.05.01(by 이용우(ageddragon)) cl1992 0
1835 윤영석 입력쏘스도 중요하네요. ㅠ.ㅠ 4 윤영석 2011.04.11 1113 2011.04.11 2011.04.11 upuaut 0
1834 이승열 입으로 전자제품 고치기 ^^ 2 이승열 2005.10.07 1325 2005.10.07 2005.10.07 koolkool 0
Board Pagination Prev 1 ...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 355 Next
/ 355
CLOSE
373120 5941567/ 오늘어제 전체     997733 79223878/ 오늘어제 전체 페이지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