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free) - 헤드폰 앰프에 대한 자유 게시판 (정치,경제,문화,개인 사생활 ....등은 삭제 조치사항입니다.)
조회 수 3287 추천 수 0 댓글 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SRPP+OP 앰프에 기존에 공제했던 COMBO384와 ES9023 DAC을 만들어 붙여 보아습니다...

이제 여기에다  만들고 있는 LM1875 앰프만 만들어 붙이면 완벽한 대 와이프용 올인원 음감 시스템이 완성됩니다...

 

트랜스는 통큰트랜스 1개와 안큰 트랜스(?) 각 1개가 투입되었으며 SRPP+OP는 전원 분리했습니다...

안큰트랜스가 각각 SRPP+OP의 히터 12.6V와 ES9023의 5V에 공급됩니다...

 

음감은 일반 간이형 DAC에 직접물렸을 때는 극단적으로 표현해 가수의 소리가 멀리 동굴에서 부르는 것처럼 들렸다면  

COMBO384와 ES9023 DAC로 물렸을 때는 바로 앞에서 부르는것처럼 인위적인 소리가 줄고 자연스런 소리를 들려주는 것 같습니다...

아쉽게도 DDC-X가 이상동작하여 수리를 보냈으므로 들어보지 못한 것입니다... 기대가 큽니다만 뒤로 미뤄야 할 것 같습니다...

 

20140428_101322_resized.jpg

 

 

음악을 늘 들으면서 일하는 와이프에게 쿠미사를 에전에 만들어 주었지만 자주 스피커로 듣다 헤드폰으로 듣다 바꿔가면서 듣는것이 불편하다고

기존의 알텍랜싱 컴퓨터 스피커와 컴퓨터 내장 앰프로 듣는게 싫어 이번에 스위치 조작 하나로 완벽하게 올인원으로 만든세트로 만들려 합니다...

중고장터에서 소니 50W급 스피커도 하나 구해놨거든요... 내가 만든것으로 늘 듣고 나의 자작을 찬양(?) 했으면 하지만 굳이 엇나가는 와이프가 밉습니다... ㅠㅠ

이제 다른 자작 생활 인 목공과 폴리카보네이트 전후면 패널의 케이스를 만들어야  하는데 아마 10년뒤 환갑에나 가능할 지도...ㅋㅋㅋ

 

근테 해결해야 할 문제는 SRPP+OP에  LM1875를 어떤 식으로 물려야 하는지 아리송합니다...

SRPP+OP에  출력을 바로 LM1875물리는 대신  LM187의 게인을 대폭 낮추어야 하는지..

아니면 SRPP+OP의 진공관과 OP 사이에서 신호선을 빼서 물리고 LM187의 게인은 정상적으로 해야하는지...

아미면 다른 연결 방식이 있을 지... 아시는 분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제 몇칠은 좀 쉬면서 부품정리나 해야 겠습니다... ㅋㅋㅋ

  • ?
    권오경(photo66) 2014.04.28 12:14

    조만간 멋진 작품으로 탄생할듯 합니다.

    또 만능 기판에 회로부터 작업을 진행하는 모습도 진정한 자작파의 진수를 보는것 같씁니다.

    제가 아는 것은 별로 없지만 두어번  같은 작업을 해봐서 제경험담은 말씀드릴수 있겠다 싶씁니다.

    진공관 srpp 프리 앰프는 출력을 트랜스나 혹은 커플링 콘덴서를 통해서 메인 앰프로 신호를 넘겨 줍니다.

    그래서 반듯이 진곤광 앰프와 1875 등의 연결부엔  매칭 트랜스나 커플링 콘덴서를 사용해야 합니다.

    그래야 케소드 전압에서 증폭된 신호 만을 분리하여 다음단의 증폭 회로로 전달이 되지요.


    http://home5d5.co.kr/file/51/6DJ8_SRPP_Line_Preamp.GIF


    위 자료를 보면 간단 명료하게 알수 있씁니다. 

    그러므로 op를 제거하고 커플링 콘덴서를 달아주세요. 

    그리고 나서 1875 이던 3886 이던 달면 됩니다.


    또 제가 6922 srpp + 1875의 조합으로 음악을 들어보니 편안하고

    저음도 넉넉한 사운드를 접할수 있었씁니다. 아마도 무난한 조합이라고

    생각 됩니다. 3886 정도의 출력이면 당당한 저음의 에너지 감도 느낄수 있지만 

    1875만 해도 소품 앰프라고는 느끼지 못할 정도의 멋진 음장감도 나옵니다.

    12au7, 6922 + 1875 멋진 궁합이라고 생각 됩니다.

     

     


  • ?
    이학신 2014.04.28 12:17

    이찬무님이 만드신 내용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www.headphoneamp.co.kr/diy_member/443732

  • ?
    임주형 2014.04.28 12:33

    권오경님 이학신님 관심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문제는 해드폰앰프도 있어야 하고 스피커 앰프도 있어야 하는 것인데요...

     

    만약 SRPP에 OP를 그냥두고 해드폰 앰프로 듣다가 스피커  앰프를 들을 때는 진공관 다음에서 신호선을 따서  LM1875로 넘기면 될런지요?.

    LM1875에도 입력단에 2.2~4.7UF 이 들어가나까 이중으로 커플링이 되어 진공관 다음에서 LM1875로 바로 보내면 되지 않을까요.....

    헤드폰으로 듣다가 스위치를 전환하면 진공관 다음에서 딴 신호선을 LM1875로 보내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것 같은데요...

     

    그리고 듣다보니까 히터 전원공급용 LM317이 열이  많이 나네요...

    트랜스를 아세아 등에서 트랜스를 따로 감아야 할 까봅니다... LM1875에 18-0 0-18V 50VA 트로이달트랜스면 될까요..?

    된다면 거기에다 12V와 28V 정도 추가하면 될것도 같은데요,,,

    아니면 따로 12-0 0-12V를 다로 추가하는 방법도 괞찮은 것 같습니다만...

  • ?
    권오경(photo66) 2014.04.28 16:54

    지금 싯점에서 1875를 만든다면 저라면 20볼트 트랜스를 사용할것 입니다.

    또 출력 트랜스가 100% 전압이 나오지는 않기에 제경우 10% 정도 높게 사용합니다.

    그런후에 출력 전압이 2~3 볼트 정도가 높가 나와준다면 고맙씁니다가 됩니다.

    즉 리플을 능동적으로 제거하는 약간의 여유가 생겼다는 의미가 되니까요.

    이때는 노이즈 제거용 트로이달 코일을 사용하는 전류량에서  인덕턴스 용량이

    가장 큰 코일을 2개 준비하여 lc 필터를 구성하여 장착하면 나름 리플, 노이즈 제거

    에 한몫 합니다. 또 이때 전압 강하 여분이 있다면 rc 필터까지도 도입하면 상당히

    리플 제거에 되움이 될것 입니다.

     

    다음으로 헤드폰 앰프와 메인 앰프의 병용 구성에서는 앞서 링크한 회로에서 커플링

    콘덴서를 통해 출력 신호를 뽑아낸 다음에는 헤드폰 앰프와 메인앰프 두개를 같이 

    구성해도 좋씁니다. 회로 구성상 전혀 문제가 되지 않치요. 또 완벽한 구성이 가능 합니다.

    이황이면 헤드폰 전용 OP 앰프를 사용하여 보다 본격적인 헤드폰 앰프 회로로 도입하는 편이

    좋치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해봅니다.


    이때 1875 의 메인 전원을 헤드폰 앰프와 같이 사용해도 무관  합니다. 만약 일반 op-amp를 

    사용하여 헤드폰 앰프를 구성 한다면 대략 +-15 볼트 전후의전압이 필요할것 입니다.

    이때 메인 앰프의 전원에서 레귤레이터를 사용하여 전압을 다운하여 사용하면 따로이

    트랜스를 사용치 않아도 되니 일거 양득 입니다. 이때 op의 소비 전류가 아주 작기 때문에  

    레귤레이터의 발열은 거의 느끼지 못할 정도로 미미 할것 입니다. 

    이정도면 두가지 모두를 취할 충분한 가치가 있을것 입니다.


    앞서 설명한 OP를 이용한 헤드폰 앰프 회로의 내용은 +-15볼트를 이용하는 양파 사용회로 임으로

    출력 부분이 전해 콘덴서를 달지 않아도 됩니다. 결국 단파 헤드폰 앰프보다 좋은 음질을 기대 할수도

    있겠씁니다. 메인 앰프에 양파 전원이 사용됨으로 당연하게 이런 장점이 생기게 되네요.

     

    만약 이왕에 하는것 메인 앰프의 전원까지도 정전압 전원을 도입한다면 더욱 깔끔한 사운드를 기대해 볼수도

    있겠씁니다만. 일반 콘덴서 평활 전원 만으로도 왠만한 음질을 기대할수 있습니다.  

  • ?
    임주형 2014.04.29 02:53

    권오경님이 조언해주신것을 제가 이해한 것으로 이해하여 정리하면...

    1. SRPP+OP 에서 OP를 빼고 직결한 다음 출력 컨덴서는 2~5uF으로 교체를 한다. 

    2. 헤드폰 앰프는  OP앰프 기준 양전원 공급하는 예를 들어 피메타 마이어 등으로 한다.

    3. 스피커 앰프는 LM1875로 하고 SRPP의 출력 커플링 컨덴서 전에서 봅아야 하는지 아니면 헤드폰 앰프처럼 출력 커플링 컨덴서 다음에서 뽑아야 하는지 헷갈립니다...

    여기서 의문은 이찬무님의 예처럼 OP뺀 SRPP를 프리처럼 사용하여 진공관 앰프의 임색을 내는 하이브리드처럼 되는 것인데.....

    SRPP의 출력 커플링 컨덴서  2~5uF과 LM1875 입력  커플링 컨덴서 2~5uF가 중복되는것이 음질에 어떤 영향을 줄수 있냐의 문제입니다...

    4. 전원은 OP를 뺀 SRPP 히터전원 만  필요함으로 15V 양파 트랜스에서  한쪽으로 LM317로 정전압 12.6을  다른 12V 한쪽으로  LM317로 정전압 5V를  DAC에 공급하며,

    다시 12V 양파를  LM317, 337로 양전원 12V(15V면 좋겠지만...)  을 피메타나 마이어에 공급합니다...

    5. LM1875는 50VA 22-0 0-22 양파를  LM317, 337로 양전원 24V 를 공급합니다...

     

    이정도로 정리했습니다... 맞게 이해했는지 모르겠습니다...  정전압만 6개가 들어가는 군요 큼...

  • ?
    권오경(photo66) 2014.04.29 10:59

    1. 맞습니다. srpp 회로의 커플링 콘덴서 용량은 회로에 명시된 수치를 기준으로 도입하면 됩니다.

    2.페메타 마이어 가 뭔지 머르겠씁니다만. 양파 전원 방식의 op 증폭 회로의 기본회로 입니다.

    3.1875는 진공관측 출력 커플링 콘덴서 다음에 붙입니다. 그로 인하여 회로상 2연속 코플링 도입되는 부분은 과감히 1개를 (1875 측)을 들어 냅니다.

      이때 1875의 입력 측에 볼륨을 연결하면 됩니다. 이때 음질 열화의 원인인 커프링 1단을 생략함으로 음의 순도를 높일수 있씀.

    4. 히터는 12볼트를 317로  정전압 공급함.

        LM1875측은 20 볼트 전후의 양파 전원을 공급함. (굳이 정전압을 공급할  필요는 없씀. 단지 LC, RC 필터를 적절히 사용해도 큰 효과를 볼수 있씀.)

        +-15볼트(오래전부터 실험해본 결과 개인적으론 이 전압이 가장 좋게 느겨짐.)를 OP 헤드폰 전원으로 만들어 사용.

         결론으로 12볼트 히터 트랜스와 +-20 볼트만 사용하면 헤드폰 앰프와 스피커 앰프를 구성 할수 있슴.

    5. SRPP는 카페의 저전압 회로를 사용해도 되겠으나 이왕이면 사용 진공관의 최적의 전압을 공급하여 충분한 진공관의 음색을 만들어 낸다. 

        이부분은 진공관의  출력 파형등에도 영향을 줄수 있씁니다.

    6. SRPP는 아니지만 참고 할만한 가치가 있는 회로를 소개합니다.


        http://i371.photobucket.com/albums/oo152/artker/eTBIGC_schematic-1.jpg

        위에서는 SRPP가 아니지만 SRPP로 교체하여 도입해도 좋겠다고 생각 됩니다.

        또 우리 카페에서 12볼트를 진공관을 구동하는데 이부분을 LM1875 구동 전압을 사용한다고 해도

        훨신 나은 결과를 불수 있을듯 합니다. 이경우  +- 20~24 볼트 정도를 정전압으로 공급한다면

        진공관 B전원을 비롯한 히터 전원 결국 모든 전원이 정전압 공급이 되어져서 리플등의 

        걱정은 전무하게 될수 있을듯 합니다. 


      

      



  • ?
    이찬무 2014.04.29 09:07

    SRPP 출력 디커플링에서 옵셋이 완전이 잡히는 용량으로 1개를 설치 하고 1875단에는 입력 커플링을 생략하는것이 음질에 도움이 될거라 생각됩니다.

     

    커플링은 어쩔수 없이 설치하는 것이지 없는것이 최상이라고 생각됩니다. 저도 권오경님께서 많은 가르침 주셔서 완성 할 수 있었네요 ^^

     

  • ?
    권오경(photo66) 2014.04.29 11:01

    저야 뭐 한마디 거든것 밖에 없지요.

    모든 작업은 이찬무님께서 자력으로 왼성하신 자작품 입니다. 



  1. 우허 EG750 디엠파시스 변경

    오늘 그동안 미루어 두었던 우허 튜너의 디엠파시스를 변경 했습니다. 독일 내수용인 관계로 50us로 설계되어 있어 고역이 좀 날립니다. 그래도 소리가 워낙 좋아 그냥 사용하시는 분이 많습니다만 75us로 변경 하면 정말 소리가 좌악 깔리면서 하이엔드 소리...
    Date2011.12.24 By송길섭 Views3331 Votes0
    Read More
  2. No Image

    첫 인사입니다.

    헤스를 통해 알게 되어 오게 되었습니다. 여러번 두리번거리다 오늘 더뎌 가입을 했습니다. 너무 많은 앰프 메니아님들이 우글( ^^) 거리는 사이트구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렇게 뭔가에 심취해서 묻고 답하는 모습이 너무 진진하구 좋아보입니다. 사실...
    Date2002.06.27 By안창근 Views3329 Votes0
    Read More
  3. No Image

    제가 META42 제작기에서 추가한 부분

    제 자작방의 글에도 추가했지만, 만드시려는 분들께 참고가 되시라고 여기에 따로 그 부분만 옮겨서 소개합니다. --------------------------- 제 배선도는 원래 META42의 앰프부 회로도와 다른점이 있습니다. 즉 A급 동작을 위해 바이어싱하는 방법입니다. ...
    Date2002.07.10 By신정섭 Views3327 Votes0
    Read More
  4. 흥미로운 회로.

    Inverted cascode One real advantage solid-state devices enjoy over the vacuum tube lies in having a "P" version of the FET, MOSFET, and transistor. Tube electronics would immeasurably benefit from a P version of the triode and pentode. In o...
    Date2006.03.01 By전일도 Views3321 Votes0
    Read More
  5. No Image

    [알림] 크롬,파이어 폭스 브라우저 수정 사항

    저번에 수정했는데 간혹 이상한것이 있더군요. 그래서 정리좀 했습니다. 크롬이나,파이어폭스에서 글쓸때 목록보기가 되지 않더군요. 그런일이 아직 없어서 보질 못했습니다. 이것은 수정했습니다. 그리고 게시판 리스트에서 헤더부분이 줄이 맞지 않는것.......
    Date2011.11.09 By관리자 Views3319 Votes0
    Read More
  6. No Image

    TGS는 어느 회사인가요?

    디바이스X트에서 LM317T를 몇개 주문했습니다. 솔직히 제조회사 그렇게 따지지 않아서 대부분 잘 사용해 왔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받은 것은 TO220 패키지 모퉁이가 잘려있고 TGS라고 쓰여있군요. 웬만한 알려진 제조사면 맘편히 사용하겠는데, 처음보는 회사...
    Date2012.01.06 By정원경 Views3318 Votes0
    Read More
  7. No Image

    Aikido 한번 만들어 볼까요

    차기작으로 합기도를 만들까 합니다 (케이스는 실망이 커서 안할지도 모름니다, 아트웍은 제맘대로 합니다 여러의견을 들으면 일이 산으로 갑니다) 제가 따라하는것은 잘하는데 회로를 볼수있는것은 한계가 있어서 합기도에 관한 자료를 모으려고 합니다 라인...
    Date2015.07.31 By손용욱 Views3297 Votes0
    Read More
  8. 이런것도 하나 맹글어봤습니다...^^

    생긴건 이렇구요... 갤스2에 꼽은 모양이 이렇습니다...^^ 뭐하는 넘이냐 하면요... 아잉폰에 꼽아서 DSLR.Bot이라는 앱을 설치하면 아잉폰이 캄훼라의 리모콘 역할을 합니다. 인터벌촬영도 되고, 꽤 유용한 기능들이 됩니다. 안드로메다 전화기에는 DSLR Remo...
    Date2012.01.11 By이길범 Views3296 Votes0
    Read More
  9. No Image

    토모제커즈 만드신 분, 만드실 분 보세요~

    정섭님의 틀에서 부품 크기에 맞춰 약간 수정을 했습니다 모 회원님이 올려주신 패턴도도 참조를 했고요 점프를 없애려고 약간 아크로바틱한 배치가 되었습니다 선으로 배선하는게 귀찮아서 최대한 부품다리로 해결을 했습니다ㅎㅎ 1N4148이나 저항종류는 IC...
    Date2011.11.15 By최다형 Views3292 Votes0
    Read More
  10. 1000여개 선작업중 100개는 만들었습니다.

    기준이 되는 선 즉 1번이 되겠죠? 빨간 거 먼저 만들었습니다. 아니 벗기고 입혔습니다. 15금쯤 됩니다. ^^; 시간은 일하는 짬짬히 해서 모르겠습니다. 대략 2-3시간 걸린 것 같습니다. 일제압착기가 예민해서인지 아님 다루는 걸 잘못해서인지 몇개는 부러집...
    Date2011.12.27 By엄수호 Views3288 Votes7
    Read More
  11. SRPP+OP 앰프에 COMBO384와 ES9023 DAC을 만들어 붙였습니다...

    SRPP+OP 앰프에 기존에 공제했던 COMBO384와 ES9023 DAC을 만들어 붙여 보아습니다... 이제 여기에다 만들고 있는 LM1875 앰프만 만들어 붙이면 완벽한 대 와이프용 올인원 음감 시스템이 완성됩니다... 트랜스는 통큰트랜스 1개와 안큰 트랜스(?) 각 1개가 ...
    Date2014.04.28 By임주형 Views3287 Votes0
    Read More
  12. No Image

    공제좀 해주시면 좋겠습니다..-(허걱 실수로 글을 지웠습니다..)

    저 같은 고등학생들은 앰프를 구입할려고 해도 기성품은 총알부족, 자작은 시간의 문제때문에 할 수가 없습니 다... (집에서 자작같은걸 하고 있다간 엄마한테 욕 뒤집어 먹죠 ㅠ,ㅠ) 그래서 공제를 통해 구할 수 밖에 없는 데요....모 사이트에서 5만원에 시...
    Date2002.06.30 By류수민 Views3285 Votes0
    Read More
  13. lm4702+2sk135, 2sj50 혹시 만들어 보신분 계신가요?

    1년은 넘은듯 한데 LM4702 3개를 구입해 놯씁니다. 다른 장난 하느라고 아직 만들지는 않았씁니다만 언젠가 만들기는 할겁니다. 이유야 몇벌의 앰프를 사용중이고 있는 앰프도 가끔 듣기도 버겁군요. 하지만 호기심 동하거나 또 손가락이 심심하면 작업...
    Date2011.09.13 By권오경 Views3284 Votes0
    Read More
  14. 길모어 케이스샘플..

    샘플을 받았습니다. 배선까지 마무리 하고 싶었지만.. 도저히 피곤해서 ..월요일이나 화요일쯤 배선마무리 할듯 합니다. 비닐벗기는것도 귀찮은 하루 입니다. 길범님 원안을 그대로 만들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공제를 진행할때는 모디파이를 조금 해야 할...
    Date2012.06.29 By김상록 Views3280 Votes2
    Read More
  15. 하데스 배선도

    올라온 사진 가지고 대략 작업했습니다. 작업 안하신분들은 참고 될듯 합니다. 크기를 줄이자니 선명도가 많이 떨어져서 좀 애매 합니다. 적당히 참고하세요.. 개인적으로 안쓰는 것은 뺐으니... 참고해서 적당히 넣으면 됩니다... 크기가 커서 한소리 하실듯 ...
    Date2012.02.17 By김상록 Views3279 Votes6
    Read More
  16. No Image

    스피커 네트워크에 들어갈 철심코일 판매처는?

    패씨브네트워크에 2~5mH 철심코일 판매처 아는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공심코일은 너무 비싸서 철심코일로 하려합니다. 1차필터 미드우퍼에 사용하려 합니다.
    Date2011.12.12 By홍재영 Views3278 Votes0
    Read More
  17. DSO NANO 오실로스코프 주파수 영역.

    휴대용 컴팩트 오실로스코프 형태인 DSO NANO의 측정 주파수 영역에 대해 말씀 드립니다. 첨부한 그림 자료와 같씁니다만. 12비트 ADC 일체형 CORTEX-M3 콘트롤러를 베이스로한 간이형 오실로스코프 임으로 정밀도나 높은 주파수 영역을 생각하기 보다는 작은...
    Date2011.09.10 By권오경 Views3275 Votes0
    Read More
  18. 하데스에 쿠미사와 헤드폰보호회를 단다면

    현재 테스트 한 결과로는 헤드폰보호회로대로 만든 상태에서 쿠미사 2차 정전압+- 15V (즉 30V) 에서 따서 헤드폰 보호회로 +V,-V 로 넘어간 상태로 (즉 가상접지 사용한다는 전제하에) 쿠미사출력연결하면 바로 릴레이보호회로 작동합니다. 지금 테스트 하기...
    Date2012.02.19 By엄수호 Views3272 Votes1
    Read More
  19. HiFiMAN HE-6 이녀석 뭔가요..

    질문/답변 게시판에서 이길범님과 박용민님의 지도에 따라 각 헤드폰 별로 헤드폰앰프에 필요한 출력에 대한 고민을 풀었습니다. 보통 임피던스가 높은 헤드폰은 전압이 더 필요하고, 임피던스가 낮은 헤드폰은 전류가 더 필요하다는게 상식처럼 되어 있는데...
    Date2012.09.16 By전일도 Views3271 Votes0
    Read More
  20. No Image

    인두팁 관리방법과 솔더링 방법

    동영상을 보시고 티닝은 꼭 하시기 바랍니다. 오디오 자작하시는분들이 플럭스를 안쓰시던데(노이즈, 쇼트현상 등등), 규격에서는 쓰기를 명시하고 있습니다. 저는 무조건 쓰고 있구요. 플럭스가 비싸서, 페이스트를 쓰긴하지만, 플럭스가 좋지요. 링크가 안보...
    Date2014.03.14 By김병진(kimbj123) Views3267 Votes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355 Next
/ 355
CLOSE
176120 5941370/ 오늘어제 전체     345733 79223226/ 오늘어제 전체 페이지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