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free) - 헤드폰 앰프에 대한 자유 게시판 (정치,경제,문화,개인 사생활 ....등은 삭제 조치사항입니다.)
조회 수 3174 추천 수 0 댓글 1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기존에 저항을 제거하고 일단 완료를 해서 적용을 시켜보았습니다. 

솔찍히 달기전에도 잡음은 없었서 바뀐점은 잘 모르겠습니다. 

페라이트 코아는 가지고 있는것이 있어서 보이는곳은 모두 달았습니다. ^^;;

 

* 역시 막귀는 소리만 잘나면 좋은것 같네요

 

a.jpg

 

b.jpg

  • ?
    김용배 2014.04.18 09:56

    빨간 저항이 보기에 좋습니다.....



  • ?
    박경서 2014.04.19 07:10

    어떻게 넣으셨나 기존 자작기와 같이 보았습니다.


    마치 미리 계획하신것 처럼 딱 자리가 있었네요.


    제거하신 330옴 시멘트 저항 자리에 터미널 단자도 원래 자기 자리마냥 자연스럽게 들어가 앉아 있고요.


    변경하시기 전 RC 리플 필터로도 충분히 전원 리플이 제거되었기 때문에 변경 후에도 별로 차이가 없는 것 처럼 들리시는 것이겠죠.


    잘 만드셨다는게 증명이 된 샘이네요. ^^


    수고하셨습니다.

  • ?
    권오경(photo66) 2014.04.19 15:24

    귀로 확인하는 것도 좋치만 가능하면 오실로스코프로 전과후를 비교하면 좋을것 입니다.

    그리고 입출력라인에 물른 페라이트 코어는 이왕이면 두번 정도 통과 시키면  효과가 더 좋씁니다. 

    페라이트 코어마다  고주파 성능에 대한 저항 수치로  용량이 표시 되는데 두번 통과시키면

    그 저항 값은 더욱 커질 테니까요.  실제로 pc등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코어를 통과 시킬때하고

    바로 측정할때 하고는 눈에 띄는 차이를 볼수 있씁니다.


  • ?
    권오경(photo66) 2014.04.19 20:13

    아~~!???  그림을 보고 궁금한것이 생겼씁니다.

    fet를 이용한 리플 필터는 250~300볼트 정도에서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것인데....

    사용하시는 전압이 어떻게 되나요?

    또 낮은 전압에서 사용하려면 회로의 저항등의 값을 바꾸어 구성해야  할텐데 이부분은 어떻게 하셨나요?

    이 리플 필터는 원래 쵸크 평활 방식의 전원 회로에서 쵸크 코일을 대신하여 사용하는 회로인데  사용된

    pcb를 보면 그런 구조의 회로 구성이 아닌것으로 보입니다.  그렇다면 리플 필터를 도압할 아무런 이유가 없겠고

    또 시정수를 바꿔 구성하지 않았다면 낮은 전압에서는 정상적으로 동작 할것인지도 의문 입니다.

    또 낮은 전압에서라면 굳이  300볼트 정도의 고전압용 필터를 사용할 필요도 없이 간단한 레귤레이터 하나만 

    가지고도 해결될 것인데요.



  • ?
    하스팡 2014.04.19 20:13
    축하합니다. 권오경님은 하스팡 10포인트에 당첨되셨습니다.^0^
  • ?
    손용욱 2014.04.19 20:26

    회로는 모건존스 회로 입니다.

    전원부 http://www.headphoneamp.co.kr/ftp/zerosoft/jay-t-2/power.gif

    앰프부 http://www.headphoneamp.co.kr/ftp/zerosoft/jay-t-2/amp.gif

    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제가 설명하는것 보다 권오경님이 보시면 잘 아실것이라고 생각 합니다

     

  • ?
    하스팡 2014.04.19 20:26
    축하합니다. 손용욱님은 하스팡 10포인트에 당첨되셨습니다.^0^
  • ?
    손용욱 2014.04.19 20:34

    B 전압은 회로를 연결한 상태에서 상태로 220V 정도 나오고 았습니다.

    무부하시 300V정도 나오구요

     

  • ?
    권오경(photo66) 2014.04.19 21:07

    본문의 그림에서 트랜스 부분이 보이질 않아서 질문을 드렸씁니다.

    제가 소개한 리플 필터는 약 330볼트를 넣어서 300볼트를 뽑는 구성입니다.

    그러니 대충 잡아도 220 임력이면 200정도가 출력 되리라 생각 되어집니다. 

    물론 정상 동적 된다는 가정에서의 결과 입니다. 손용욱님께서  링크하신 자료를

    보면 1차로 RC 필터, 2차로 LC 필터로 구성된 전원 회로가 사용되고 있씁니다. 

    만약 이회로로 구성해야 사용중이었다면 저러면 RC 필터 대신 리플 필터를 넣겠씁니다.

    손용욱님께서는 어떤 구성을  하셨나여?


  • ?
    손용욱 2014.04.19 22:03

    http://www.headphoneamp.co.kr/387399 제사 만들고 올린 계시물 입니다

    이것을 만들때 참고한것이 있는데 그 계시물이 않보이네요 ^^

    그 계시물에서 쵸크를 빼고 330옴을 쵸크대신 사용한것을 참고하고( 쵸크가 있으면 케이스를 만들때  크기가 커져서)

    전원 트랜스는 다른곳에서 탈거한것을 재 사용하였습니다.

    PCB는 KICAD라고 심심풀이로 공부도 할겸해서 간단한 회로를 구하다보니 모건존스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 ?
    권오경(photo66) 2014.04.19 23:03

    링크한 자료를 보고 이해가 많이 되었씁니다.

    프리나 헤드폰 앰프같은 노이즈나 험에 예민한  앰프를  RC 필터로만으로 구성된 전원 회로로

    험이 없이 완성이 되셨다니 참 잘 만드신것 같씁니다. 

    이제 생각에 위의 헤드폰 앰프에 리플 필터의 도입은 적절한 선택이었다고 생각되어 집니다.

    보통의 프리 앰프등에는 LC 평활부에 20~40H 정도의 쵸크가 사용되고 있는것으로 알고 있씁니다.

    원 회로에서 사용하는 평활 필터의 품질이 어떤지는 모르겠지만  다른 앰프와의 경우를 비교해 보면

    조금 작은 용량의 코일이 사용된듯 생각되는데  이부분을 반도체 리플 필터로 보완이 된다면 큰 이득이

    있지 않을까 합니다.  이럴 경우 역시 전원 트랜스를 기성품의 저렴한 것들 사용할수 있으니 전체 제작

    비용 측면에서 비교할수 없이 큰 장점이 있을듯 합니다. 초심자들이 부담없이 만들어 보고 즐길수 있는

    멋진 작품이 돨것 같씁니다.  또 출력단의 출력 신호를 취하기 위해 도입된 전해 콘덴서는 음질에 많은

    영향을 줄수도 있을듯 헤서 가능하면 출력 트랜스 방식이 유리할것으로 보이나 이부분은 구하기도 어렵고 

    고비용이 발생함으로 양전원을 사용하는 OP를 통하여 신호를 축출하면 좀 색다른 조함도 가능할듯 합니다.




  • ?
    하스팡 2014.04.19 23:03
    축하합니다. 권오경님은 하스팡 10포인트에 당첨되셨습니다.^0^

List of Articles
번호 이름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최근 수정일 최종 글 아이디 추천 수
6453 김태형 팜dac I 에 대한 프로의 찬사 3 김태형 2008.09.24 2745 2008.09.24 2008.09.24 thkim15 0
6452 조동건 파이어폭스로 보니 화면이 이상하네요.. 7 조동건 2004.12.05 1445 2004.12.05 2004.12.05 k7388 0
6451 김찬 파이어폭스 4 엄청빨라졌는데요??? 7 김찬 2011.03.25 1236 2011.03.25 2011.03.25 chansamyo 0
6450 이길범 파워앰프 케이스 모델링 검증을 위한 부품 완료. 14 file 이길범 2012.02.06 1623 2012.02.07 2012.02.07(by 하스팡) marzio 0
6449 박용민 파워앰프 만들기도 참... 편하군요. 6 박용민 2011.05.06 1494 2011.05.06 2011.05.06 ekdrms 0
6448 이혁재 파워앰프 5 이혁재 2006.10.24 1397 2006.10.24 2006.10.24 jazz2250 0
6447 김도익 파워 트랜지스터 뚜껑따서 찍어봤습니다.(2N3055/MJ2955/MJ15016) 9 file 김도익 2013.08.11 4967 2013.08.17 2013.08.17(by 황재연(wodusking)) kimdoik 0
6446 김도익 파워 트랜지스터 NEC 2SD555 와 2SB600 Die 사진입니다.. 1 file 김도익 2013.10.20 5390 2013.10.20 2013.10.20(by 이광호(solsolhea)) kimdoik 0
6445 유현목 파워 앰프 관련 서적을 보다가... 2 file 유현목 2011.07.02 1290 2011.07.02 2011.07.02 yhmok 0
6444 이학신 파워 IC STK460 판매처 문의 드립니다. 5 이학신 2012.03.15 1639 2012.03.16 2012.03.16(by 김상록) acefrog 0
6443 박찬영 파란 벽돌의 압박 7 file 박찬영 2005.12.29 1208 2005.12.29 2005.12.29 luciel 0
6442 김병진 파는제품 전원회로 소개 1 김병진(kimbj123) 2013.07.08 2303 2013.07.09 2013.07.09(by 이광호(solsolhea)) kimbj123 0
6441 최문협 파나소닉 FM 콘덴서 성적표? 입니다. ^^; 2 최문협 2005.10.22 1539 2005.10.22 2005.10.22 impuni 0
6440 김도익 파괴된 파워 트랜지스터의 Die 사진입니다. 1 file 김도익 2013.10.20 4027 2013.10.20 2013.10.20(by 김태형) kimdoik 0
6439 이길범 틱잡음의 원인은 DDC가 아닌 PC인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10 이길범 2012.01.27 3040 2012.03.11 2012.03.11(by 신용준) marzio 1
6438 신건배 티볼리 클래식 모델원 샀습니다. 9 file 신건배 2004.04.11 1460 2004.04.11 2004.04.11 cretom 0
6437 조경남 티눈... 4 조경남 2007.10.31 2460 2007.10.31 2007.10.31 oceanpow 0
6436 윤영석 틈틈히 삽질을 위한 짜잘한 질문... 8 1 윤영석 2012.04.04 1500 2012.04.04 2012.04.04(by 전일도) upuaut 0
6435 윤영석 틈틈히 삽질 중입니다..... (몇번째인지 가물거립니당..ㅋㅋ) 6 file 윤영석 2012.05.16 1304 2012.05.17 2012.05.17(by 박은서) upuaut 0
6434 윤영석 틈틈히 삽질 중입니다.(5) 5 file 윤영석 2012.03.31 1722 2012.04.01 2012.04.01(by 김지환(muderstone)) upuaut 0
Board Pagination Prev 1 ...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355 Next
/ 355
CLOSE
177120 5941371/ 오늘어제 전체     349733 79223230/ 오늘어제 전체 페이지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