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free) - 헤드폰 앰프에 대한 자유 게시판 (정치,경제,문화,개인 사생활 ....등은 삭제 조치사항입니다.)
조회 수 3174 추천 수 0 댓글 1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기존에 저항을 제거하고 일단 완료를 해서 적용을 시켜보았습니다. 

솔찍히 달기전에도 잡음은 없었서 바뀐점은 잘 모르겠습니다. 

페라이트 코아는 가지고 있는것이 있어서 보이는곳은 모두 달았습니다. ^^;;

 

* 역시 막귀는 소리만 잘나면 좋은것 같네요

 

a.jpg

 

b.jpg

  • ?
    김용배 2014.04.18 09:56

    빨간 저항이 보기에 좋습니다.....



  • ?
    박경서 2014.04.19 07:10

    어떻게 넣으셨나 기존 자작기와 같이 보았습니다.


    마치 미리 계획하신것 처럼 딱 자리가 있었네요.


    제거하신 330옴 시멘트 저항 자리에 터미널 단자도 원래 자기 자리마냥 자연스럽게 들어가 앉아 있고요.


    변경하시기 전 RC 리플 필터로도 충분히 전원 리플이 제거되었기 때문에 변경 후에도 별로 차이가 없는 것 처럼 들리시는 것이겠죠.


    잘 만드셨다는게 증명이 된 샘이네요. ^^


    수고하셨습니다.

  • ?
    권오경(photo66) 2014.04.19 15:24

    귀로 확인하는 것도 좋치만 가능하면 오실로스코프로 전과후를 비교하면 좋을것 입니다.

    그리고 입출력라인에 물른 페라이트 코어는 이왕이면 두번 정도 통과 시키면  효과가 더 좋씁니다. 

    페라이트 코어마다  고주파 성능에 대한 저항 수치로  용량이 표시 되는데 두번 통과시키면

    그 저항 값은 더욱 커질 테니까요.  실제로 pc등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코어를 통과 시킬때하고

    바로 측정할때 하고는 눈에 띄는 차이를 볼수 있씁니다.


  • ?
    권오경(photo66) 2014.04.19 20:13

    아~~!???  그림을 보고 궁금한것이 생겼씁니다.

    fet를 이용한 리플 필터는 250~300볼트 정도에서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것인데....

    사용하시는 전압이 어떻게 되나요?

    또 낮은 전압에서 사용하려면 회로의 저항등의 값을 바꾸어 구성해야  할텐데 이부분은 어떻게 하셨나요?

    이 리플 필터는 원래 쵸크 평활 방식의 전원 회로에서 쵸크 코일을 대신하여 사용하는 회로인데  사용된

    pcb를 보면 그런 구조의 회로 구성이 아닌것으로 보입니다.  그렇다면 리플 필터를 도압할 아무런 이유가 없겠고

    또 시정수를 바꿔 구성하지 않았다면 낮은 전압에서는 정상적으로 동작 할것인지도 의문 입니다.

    또 낮은 전압에서라면 굳이  300볼트 정도의 고전압용 필터를 사용할 필요도 없이 간단한 레귤레이터 하나만 

    가지고도 해결될 것인데요.



  • ?
    하스팡 2014.04.19 20:13
    축하합니다. 권오경님은 하스팡 10포인트에 당첨되셨습니다.^0^
  • ?
    손용욱 2014.04.19 20:26

    회로는 모건존스 회로 입니다.

    전원부 http://www.headphoneamp.co.kr/ftp/zerosoft/jay-t-2/power.gif

    앰프부 http://www.headphoneamp.co.kr/ftp/zerosoft/jay-t-2/amp.gif

    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제가 설명하는것 보다 권오경님이 보시면 잘 아실것이라고 생각 합니다

     

  • ?
    하스팡 2014.04.19 20:26
    축하합니다. 손용욱님은 하스팡 10포인트에 당첨되셨습니다.^0^
  • ?
    손용욱 2014.04.19 20:34

    B 전압은 회로를 연결한 상태에서 상태로 220V 정도 나오고 았습니다.

    무부하시 300V정도 나오구요

     

  • ?
    권오경(photo66) 2014.04.19 21:07

    본문의 그림에서 트랜스 부분이 보이질 않아서 질문을 드렸씁니다.

    제가 소개한 리플 필터는 약 330볼트를 넣어서 300볼트를 뽑는 구성입니다.

    그러니 대충 잡아도 220 임력이면 200정도가 출력 되리라 생각 되어집니다. 

    물론 정상 동적 된다는 가정에서의 결과 입니다. 손용욱님께서  링크하신 자료를

    보면 1차로 RC 필터, 2차로 LC 필터로 구성된 전원 회로가 사용되고 있씁니다. 

    만약 이회로로 구성해야 사용중이었다면 저러면 RC 필터 대신 리플 필터를 넣겠씁니다.

    손용욱님께서는 어떤 구성을  하셨나여?


  • ?
    손용욱 2014.04.19 22:03

    http://www.headphoneamp.co.kr/387399 제사 만들고 올린 계시물 입니다

    이것을 만들때 참고한것이 있는데 그 계시물이 않보이네요 ^^

    그 계시물에서 쵸크를 빼고 330옴을 쵸크대신 사용한것을 참고하고( 쵸크가 있으면 케이스를 만들때  크기가 커져서)

    전원 트랜스는 다른곳에서 탈거한것을 재 사용하였습니다.

    PCB는 KICAD라고 심심풀이로 공부도 할겸해서 간단한 회로를 구하다보니 모건존스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 ?
    권오경(photo66) 2014.04.19 23:03

    링크한 자료를 보고 이해가 많이 되었씁니다.

    프리나 헤드폰 앰프같은 노이즈나 험에 예민한  앰프를  RC 필터로만으로 구성된 전원 회로로

    험이 없이 완성이 되셨다니 참 잘 만드신것 같씁니다. 

    이제 생각에 위의 헤드폰 앰프에 리플 필터의 도입은 적절한 선택이었다고 생각되어 집니다.

    보통의 프리 앰프등에는 LC 평활부에 20~40H 정도의 쵸크가 사용되고 있는것으로 알고 있씁니다.

    원 회로에서 사용하는 평활 필터의 품질이 어떤지는 모르겠지만  다른 앰프와의 경우를 비교해 보면

    조금 작은 용량의 코일이 사용된듯 생각되는데  이부분을 반도체 리플 필터로 보완이 된다면 큰 이득이

    있지 않을까 합니다.  이럴 경우 역시 전원 트랜스를 기성품의 저렴한 것들 사용할수 있으니 전체 제작

    비용 측면에서 비교할수 없이 큰 장점이 있을듯 합니다. 초심자들이 부담없이 만들어 보고 즐길수 있는

    멋진 작품이 돨것 같씁니다.  또 출력단의 출력 신호를 취하기 위해 도입된 전해 콘덴서는 음질에 많은

    영향을 줄수도 있을듯 헤서 가능하면 출력 트랜스 방식이 유리할것으로 보이나 이부분은 구하기도 어렵고 

    고비용이 발생함으로 양전원을 사용하는 OP를 통하여 신호를 축출하면 좀 색다른 조함도 가능할듯 합니다.




  • ?
    하스팡 2014.04.19 23:03
    축하합니다. 권오경님은 하스팡 10포인트에 당첨되셨습니다.^0^

List of Articles
번호 이름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최근 수정일 최종 글 아이디 추천 수
2893 김병진 이것은 뭘까요? 4 file 김병진 2011.06.21 1146 2011.06.21 2011.06.21 kimbj123 0
2892 박재현 변환기판 작업하다보니 역으로 장착했네요 15 file 박재현 2011.06.21 1170 2011.06.21 2011.06.21 akira4682 0
2891 박가람 아.... 3 박가람 2011.06.21 1122 2011.06.21 2011.06.21 rkfka9191 0
2890 박재현 변환기판 사진올려드려요 4 file 박재현 2011.06.21 1189 2011.06.21 2011.06.21 akira4682 0
2889 박재현 AD8610ARZ - 혹시 이거 한개 분양가능할까요 ㅜ.ㅜ 11 박재현 2011.06.21 1355 2011.06.21 2011.06.21 akira4682 0
2888 조용현 이걸 뭐라고 해야하나... 1 조용현 2011.06.21 1122 2011.06.21 2011.06.21 alclsghk 0
2887 최성남 산 넘어 산 ? 최성남 2011.06.22 1145 2011.06.22   semter 0
2886 방민혁 쿠미사 완성 3 방민혁 2011.06.22 1181 2011.06.22 2011.06.22 hi851107 0
2885 박명선 갤럭시s 폰쓰시나요? 박명선 2011.06.22 1143 2011.06.22   kelapa 0
2884 엄수호 페달 쿠미사와 하스 쿠미사가 소리가 조금은 다릅니다. 6 엄수호 2011.06.22 1253 2011.06.22 2011.06.22 cl1992 0
2883 박재현 PIMETA 공구하신분들중에서~ 13 박재현 2011.06.22 1275 2011.06.22 2011.06.22 akira4682 0
2882 정형영 쿠미사 1차 녹색 기판 케이스 방열시.. 4 정형영 2011.06.22 1283 2011.06.22 2011.06.22 ddegi 0
2881 박용민 Graham Slee SOLO 피드백 회로 4 file 박용민 2011.06.22 1861 2011.06.22 2011.06.22 ekdrms 0
2880 김병진 온보드 사운드카드 궁금증 4 김병진 2011.06.22 1211 2011.06.22 2011.06.22 kimbj123 0
2879 김병진 Adum4160 사용 시 PC와 링크여부 2 김병진 2011.06.22 1312 2011.06.22 2011.06.22 kimbj123 0
2878 이학신 쿠미사 관련 질문입니다. 5 이학신 2011.06.22 1135 2011.06.22 2011.06.22 acefrog 0
2877 유현목 쿠미사 험 제거 유현목 2011.06.22 1214 2011.06.22   yhmok 0
2876 박가람 피메타 누락분 정리 11 박가람 2011.06.22 1043 2011.06.22 2011.06.22 rkfka9191 0
2875 김창균 쿠미사 험에 대한 나만의 해결책 4 김창균 2011.06.22 1299 2011.06.22 2011.06.22 chunghui 0
2874 황재연 저도 돌날라올 쿠미사 해결책... 2 황재연 2011.06.22 1135 2011.06.22 2011.06.22 wodusking 0
Board Pagination Prev 1 ...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 355 Next
/ 355
CLOSE
265120 5941459/ 오늘어제 전체     573733 79223454/ 오늘어제 전체 페이지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