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free) - 헤드폰 앰프에 대한 자유 게시판 (정치,경제,문화,개인 사생활 ....등은 삭제 조치사항입니다.)
조회 수 5822 추천 수 0 댓글 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SRPP를 만들 때 주의할 점 입니다.
몇가지는 많이 만들면서 가끔하는 실수도 있습니다.
제가 가장 많이 하는 실수이죠.
실수해도 소리엔 전혀 이상없는 좌우만 바뀌는 그런 실수이니 전혀 걱정없는 실수 입니다.

사진 보시죠?
기판작업하면 신경안쓰지만 선으로 작업하면 왼쪽 오른쪽 헷갈리는 부분입니다.

 

vr.JPG

zzaRA-1.jpg

PIN2.JPG

 

PLUG.JPG

잭.JPG

이번에 공구한 3.5 잭입니다.

5.5짜리는 현재 가지고 있는 게 없어 사진 못올립니다.
위 사진 이해되리라 봅니다.

아래 잭 사진은 잘못 알고 있어 수정했습니다.

 

 opa2134.JPG
OPA2134는 위 사진 같이 꽂으면 됩니다.
사진속 빨간 표시는 소켓모양입니다.

 

1000.JPG

pin.JPG
전원콘덴서가 진공관쪽과 전원SW쪽 +- 꽂은 게 다르죠?
진공관쪽 전해는 가운데쪽이 - 이고 전원SW 쪽은 둘다 오른쪽이 -입니다.
잘 보고 꽂으시기 바랍니다.

 

부품 잘 꽂은 것 2,3번 확인하신 후 땜하시길 바랍니다.
생각보다 패턴이 조금 약합니다.
출력전해를 바꾸기 위해 땜으로 막힌 구멍을 납흡입기로 몇번 작업하니
동박패턴이 약간 떨어지더군요.

솔더웍.JPG
차라리 솔더웍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페이스트.JPG
땜이 안될리 없지만 위 제품은 가능한 사용하시지 마세요.
노이즈발생 킹왕짱입니다.
사용한다면 기판 땜구멍 막힌 곳에 이쑤시게로 살짝 찍어 발라서
사용하는 정도 그리고 그 곳은 반드시 휴지로 닦아내는 정성도 있어야 합니다.

 

power.JPG
SMPS는 반드시 SMPS G를 기판 G와 연결해야 노이즈 없습니다.

왼쪽 황색 볼륨을 조금씩 돌리면서 전압을 조정할 수 있는 데 가능한 손대지 않았으면 합니다.


기판 작업을 다 했다면 OP와 진공관을 꽂기 전에 전원을 넣어서 LED가 켜진다면
전원 제대로 연결한 것 맞습니다.
LED를 잘못 꽂지 않았다면 3군데 LED가 다 켜져야 합니다.


전체 전류는 180ma 정도 인것 같습니다.
처음 전원 연결시는 확올라가는 데 디지탈표시가 늦어서 250ma 표시됩니다.
처음엔 더 올라갈거라 봅니다.

 

100_3114.jpg
1khz 정현파(용어 맞는지?) 건겁니다.
왼쪽이 올라가는 게 저역? 고역? 특성이 과도? 과소? 인지 이젠 가물가물합니다.
역시 돌팔이입니다. ㅠㅠ 아시는 분 댓글로 알려주세요.
찾기도 귀차니즘 입니다.

 

100_3115.jpg

기억 더듬으니 왼쪽부분이 올라가는 게 고역특성과다 인 것 생각납니다.

위보다는 조금 내려간 것 보일겁니다.

vr1.JPG

회로보시면 이해 하실겁니다.

220p를 달았습니다. 고역 특성을 약간 죽인겁니다.

 

100_3116.jpg

반고정이 원회로도엔 없지만 다른 분들 만든 사진에 다들  있기에 공구도 했지만

얼핏 봐선 없어도 될 것 같습니다.

양쪽 출력 재보니 반고정 위치 때문인 지 진공관 출력 특성때문인 지 출력이 약간 다릅니다.

양쪽 출력을 같게 맞추려면 스코프가 보기 편하지만 거의 없으니 일정한 소리신호인 1k 사인파물리고

테스터기로 출력쪽 AC 전압을 재보면 좋겠죠? 

입력 볼륨을 가장 많이 들을 만한 2,3포인트를 맞추면서 저 반고정을 좌우로 돌리면서 AC 전압맞춰주면

진공관 특성에 따른 양쪽 출력오차를 줄일 수 있을겁니다.

 

http://www.has.pe.kr/191504    <-------- 12AU7 PDF
 
12AU7.png

 

 

진공관 꽂으실 때 주의해서 꽂으시기 바랍니다.

소켓이 새거라서 꽂는 데 상당히 힘줘야 합니다.

손 다치거나 진공관 깨질 수 있으니 조심해서 꽂으세요.

 

**********************

추가글

 

섬세하게 듣고자 하는 분 참고하세요.

아마 리니어 정전압이 왜 필요할까하시는 분 도움될겁니다.

아직은 SMPS가 오됴에는 적당한 기기는 아니라는 건 다 아실겁니다.

정말 제대로된 오됴용고급 SMPS라면 몰라도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것은

오됴용에 100% 만족할 수는 없을겁니다.

그런데도 이번에 사용하는 된 이유는 비용+간편성때문 일겁니다.

사진 보세요. 선택은 자작인들 몫입니다.

DSCN0184.jpg DSCN0190.jpg

위 사진 2개는 무신호 입력시 헤드폰 출력쪽 전압을 재본겁니다.

위 스코프사진엔 튀어나오는 게 좀 있죠?

아래 사진 무신호시 전압은 0.5mV 정도 입니다.

 

DSCN0188.jpg DSCN0189.jpg

위 사진은 왼쪽에 보이는 정전압 기기로 연결한겁니다.

파형도 조금 고르게 보이죠?

아래 사진 출력전압도 0.2mV 정도입니다.

위 SMPS와 비교하면 조금은 차이나죠?

실제 저 정도 신호는 우리 귀엔 전혀 들릴 리 없습니다만 기기상 저렇게 차이난다라고 보면 됩니다.

 

저기에 진공관 히터까지 전원분리하면 더 작아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이 건 한대 더 만들어 봐야하는 데 부품이 없습니다.

 

  • ?
    이학신 2014.03.08 11:40

    꼼꼼하게 적어 주셔서 고맙습니다.

  • ?
    엄수호 2014.03.08 11:45

    생각나는 대로 계속 추가할겁니다.

  • ?
    이강오 2014.03.08 12:51

    참고하면서 만들면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정리 감사합니다.

  • ?
    이광호(solsolhea) 2014.03.08 13:43

    정말 세세한 배려 감사 드립니다^^ 초초보인제가 봐도 넘 자세히 만들어 주셨네요

  • ?
    김용배 2014.03.08 17:04

    감사합니다....


  • ?
    이찬무 2014.03.10 09:59

    정성이 돋보입니다. 12au7 의 내부 구조가 궁금했는데요 정말 감사드립니다!!

  • ?
    이학신 2014.03.10 17:35

    - 반고정은 볼륨편차를 맞추는 용도입니다.

    - 반고정 사용안하시려면 그리드와 GND에 저항은 꼭 하나 달아 주셔야 됩니다.

  • ?
    이찬무 2014.03.11 08:17

    몇 옴을 달아야 하나요? 그리고 있고 없고의 차이가 어떤걸까요??

  • ?
    엄수호 2014.03.11 09:23

    50K 정도 달면 될겁니다.

  • ?
    서영수 2014.03.11 03:36

    와우 감사합니다!

  • ?
    이민형(dawone) 2014.03.24 23:53

    감사합니다 하나 하나 생각을 다시 해보면서

    배우고 있습니다


  1. 에칭 방법을 소개합니다.

    안녕하세요 가끔 글 싸지르는 넘 입니다. 오늘은, 에칭 방법에 대해 소개드립니다. 보통 시트지를 많이 사용하시는데, 전 시트지 사용을 비추 합니다.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만, 가장 큰 이유는 프린터를 망가뜨릴 가능성이 큽니다. 그리고, 시트지를 구...
    Date2012.12.18 By조지훈 Views5620 Votes4
    Read More
  2. No Image

    항상 궁금합니다.. 과연.. 고급 부품이..

    콘덴서나 저항, 볼륨 등의 고급품이 어느 정도 성능차를 보여줄지 궁금한데요.. 특히.. 비슷하게 OP-AMP를 증폭소자를 쓴 회로에서.. 예를 들어.. CMOY에 고가의 부품 쓴 거랑, 싸구려 부품으로 만든 Meier회로랑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누구 이런 비교해보신...
    Date2002.06.06 By이학민 Views5632 Votes0
    Read More
  3. No Image

    하드 디스크가 날아갔네요. ㅠ.ㅠ;

    한 1년 정도 잘 사용하던 웨스턴 디지털 30기가 짜리였는데.. 요 며칠 전부터 뚝뚝 소리가 불규칙하게 나면서 동작이 끊겼다가 돌았다가 해서 용산 갔는데 간단히 바꿔주더군요.. 10년 넘게 컴 사용하면서 하드가 이런 말썽 부린게 처음이라 놀랐는데.. 쉽게 ...
    Date2002.06.07 By이학민 Views5635 Votes0
    Read More
  4. Combo 384를 위한 PCM5102A 의 소리를 들었습니다.

    최근 두어달째 주중 출장으로 한번 멈추면 1주일이 가는군요.. 걍 소리 테스트 와 틱 잡음등.. 검사할 겸 급조해서 만들었습니다. 조립후 전원부분 쇼트라 전원부분과 커넥터 부분이 재작업으로 지저분하네요. 물론 플럭스 세척 안하고 청음 중입니다. 급한 ...
    Date2013.04.19 By최성남 Views5635 Votes1
    Read More
  5. No Image

    rca잭에 대해 궁금합니다.

    스테레오용 rca잭의 gnd와 LEFT,RIGT 구분을 알고 싶습니다. 일단 RCA잭의 구멍부분이 GND 부분인지 바깥쪽 노출된부분이 GND인지 궁금합니다. 왼쪽 오른쪽 구분은 GND부분이 어떤쪽인지만 알면 알수있을것 같습니다. 그림 링크시키는법을 몰라서^^ 이렇게 글...
    Date2002.06.25 By김도환 Views5640 Votes0
    Read More
  6. No Image

    [질문] JFET 취급점 아시는 분?

    가만보니.. 질문할 게시판이 마땅치 않네요.. 시험 기간임에도 불구하고 다음 프로젝트를 위해 질문 올립니다. 왜이리 공부하기 싫은지 ㅜ.ㅜ JFET 여러 종류 많이 취급하는 상점 아시는 분 좀 알려주세요.. 발로 뛰어서 필요한 것 찾는 보람이 있긴 하지만, ...
    Date2002.06.14 By이학민 Views5644 Votes0
    Read More
  7. No Image

    Meier가 왜이리 안살아날까요 -_-;;

    배선 확인요? 20번도 더했습니다 -_-; 쇼트요? 겉보기엔 분명히 멀쩡하고, 혹시나 하는 마음에 테스터로 하나하나 전부 다찍어봤습니다 -_-; opamp문제요? 뻥좀 많이-_- 보태서 가진 opamp 전부 다껴봤습니다.-_-; 근데.. 왜 계속 '모노'로만 동작할까요 TT ...
    Date2002.06.08 By박희성 Views5665 Votes0
    Read More
  8. No Image

    [질문] 포터블 코다에서 아답터 연결;;

    쩝.. 오늘 24볼트 정전압 아답터를 사왔습니다. 막상 연결하여 쓰려하니깐 어떻게 연결해야 하는지 모르겠어요...ㅠ.ㅠ 몇번 실험을 해보긴 했는데 우선 전지에 들어가는 G를 (-)단자에 연결했는데 이건 아예 소리가 안나고, G를 아답터에 연결하지 않고 그냥...
    Date2002.06.08 By박상엽 Views5673 Votes0
    Read More
  9. No Image

    커플링의 용량...

    제가 커플링을 다양하게 써본 경험이 있습니다. 물론 고급은 아니고 탄탈을 10uf까지 써본 적이 있습니다. 저용량은 고역대가 강조되며 저역대가 줄어 듭니다. 고용량은 고역대가 줄어들며 저역대가 강조됩니다. 그럼 가장 알맞은 용량은... 무엇이냐. 1uf~5u...
    Date2002.06.28 By백광민 Views5675 Votes0
    Read More
  10. 리젠 풀사이즈 dac를 직접 열어보았습니다.

    역시 직접 눈으로 보니 물량투입의 깊은 포스가 느껴지지만 상당히 아쉬운 부분도 보이는군요. 그 첫번째는 플럭스... 플럭스 범벅의 기판은 칫솔을 들게 만드는 효과를 가지네요; 전원부도 너무 간단하게 구성해서 아쉽지만... 저런식으로 구성해도 아무 문...
    Date2012.11.21 By김명섭 Views5676 Votes0
    Read More
  11. No Image

    에휴.. 다른 분들은 열심히 앰프 만드시고.. 저는 계속 드릴질이나..

    다음 작품에 쓰일 케이스입니다 이쁘게 잘 만들어 봐야 겠습니다 사실 이거 외에도 케이스가 몇가지 더 있는데 ... 보면 한숨만 푸욱 -_-;; 제꺼는 아무래도 거치형 반찬통 케이스가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Date2002.06.25 By이형근 Views5685 Votes0
    Read More
  12. No Image

    앰프의 종류에 관하여

    안녕하십니까! 땜쟁이입니다. 많은 분들께서 class A 동작을 하는 앰프가 A급 음질을 들려주고 AB급 동작을 하는 앰프는 A급 앰프만 못하다고 생각하시는데 이러한 오해를 풀고자 글을 띄웁니다. 한마디로 A급 동작이란 말 그대로 A형 동작을 의미하지 음질과...
    Date2002.06.09 By조경남 Views5733 Votes0
    Read More
  13. No Image

    보호회로...한판 더 추가하시면 안될까요?

    헉..예비조사시 신청을 하였는데 이렇게 끝날 줄 몰랐습니다 ㅠㅠ 한 판 더 하시면 안될까요?
    Date2011.12.07 By양성호 Views5756 Votes0
    Read More
  14. No Image

    SNS 기능이 추가되었네요.

    게시글을 여러 소셜네트워킹서비스로 연결시켜주는 아이콘들이 생겼네요. (마지막 아이콘은 애교로...ㅋㅋㅋ) 대장님, 좋은기능이 점점 더 많아지네요. 혼자서 관리하시느라 정말고생 많으십니다. 어느정도 정상화되었으니, 몸 생각하셔서 천천히 하시길 바랍...
    Date2011.12.16 By윤민철 Views5757 Votes0
    Read More
  15. CNC로 깍은 기판입니다.

    흡족한 결과가 나왔습니다. 아직 드릴비트가 1mm밖에 없어서 홀이 좀 삐뚤어져있습니다. 연습삼아 한 PCM2707 DAC인데 이정도 섬세함(?)정밀도(?)는 문제 없을 듯 합니다. 현재 사용하는 밀링비트가 0.8mm 90도인데 좀 더 세밀한것도 주문해야겠습니다. 원래...
    Date2012.09.15 By유문구 Views5770 Votes0
    Read More
  16. Bryston 4B 파워앰프 수리, 특성측정

    Bryston 4B 파워앰프를 수리하였습니다. 왼쪽 채널의 AC퓨즈가 나가는 것으로 보아 출력석이 죽은 것으로 생각되어 적출해서 테스터기로 측정해보니 쇼트 모드로 죽은 것으로 판명되었습니다. 채널당 출력석이 NPN/PNP 각각 4개씩 사용되는데 좀 특이한 방법으...
    Date2012.09.01 By김도익 Views5786 Votes0
    Read More
  17. USB 전원 절전모드 해제

    가끔씩 USB 장치(DDC,DAC, 메모리 등)의 연결이 끊기는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 원인이 윈도우의 USB장치의 절전기능 때문인데요.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http://www.parkoz.com/zboard/view.php?id=my_tips&page=1&sn1=&a...
    Date2012.03.01 By홍재영 Views5797 Votes1
    Read More
  18. No Image

    오! 필승 코리아~~~

    드디어 내일, 우리가 그렇게 바라고 바라던 대한민국의 월드컵 16강을 위한 첫 관문이자 가장 중요한 경기인 한국 : 폴란드 전입니다. 헤드폰 앰프 동호회 여러분 우리 모두 대한민국의 16강을 기원하며 열심히 성원합시다. 최근 상승세를 타고 있는 한국팀의...
    Date2002.06.03 By조경남 Views5818 Votes0
    Read More
  19. SRPP+OP 자작에 도움 될까해서 올립니다.

    SRPP를 만들 때 주의할 점 입니다. 몇가지는 많이 만들면서 가끔하는 실수도 있습니다. 제가 가장 많이 하는 실수이죠. 실수해도 소리엔 전혀 이상없는 좌우만 바뀌는 그런 실수이니 전혀 걱정없는 실수 입니다. 사진 보시죠? 기판작업하면 신경안쓰지만 선으...
    Date2014.03.08 By엄수호 Views5822 Votes0
    Read More
  20. otg 케이블 아시나요?..

    스마트폰 음원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OTG 케이블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고 합니다. 케이블은.. 이라는데 몇천원에 판다네요... usb 로 ddc 에 연결하면 디지털 출력이 된다는데.... dac 에도 연결이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컴의 시끄러운 소리를 잠재울 방법이...
    Date2013.03.08 By양영모 Views5833 Votes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Next
/ 355
CLOSE
237120 5941431/ 오늘어제 전체     504733 79223385/ 오늘어제 전체 페이지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