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님 자작품(member) - 헤드폰 앰프 관련 자작 게시판 입니다.
조회 수 6746 추천 수 1 댓글 5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오늘 아침 기판이 도착하고 콘덴서가 없어서 구색이 안맞지만 실험을 해야 해서 급하게 만들었습니다.

만들어서 들어보니 저만의 생각인지 모르지만 소리는 역시 좋습니다.

회원님들 2014년 새해 설날 선물이 될 것입니다. ^^;

패턴에 이상이 없어서 우선 다행이고 이제 발송작업을 해야 하는 일이 기다리고 있군요

 

<기판 제작 중 실수한 점>

OUTPUT이라고 적어야 될 곳에 I NPUT 글자를 복사해 붙여놓고 수정을 안한 실수가 있습니다.

OP앰프 옆에 있는 3pin 단자는 헤드폰에 연결해야 하는 OUTPUT입니다.

 

<제작 중 알아 두셔야 될 것>

1. 진공관을 사용한 앰프라 진공관이 달궈지기 전에 듣고 있다보면 바스락, 스르륵 이상한 소리가 들리고 있으나 회로의 문제가 아니라 진공관의 특성입니다.

   (사라지지 않으면 관 교체)

2. 전원 연결부분 앞  2개 사각형이 겹쳐있는  곳은 저항 5오옴 사용하시던지 사진에 나와 있는 것처럼 코일을 사용하셔도 됩니다.

용량은 정해지지 않았으니 적당한 것을 사용

3. 진공관 밑에 LED는 고휘도 LED  3mm를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4. 기판에 있는 2K저항은  LED의 밝기 조절용 저항이므로 1.26k~2k사이를 사용

   20mA 전류를 흘릴시 25.2/0.02=1.26K

5. 앰프 최대 전압은 25.2V입니다.

  회로를 간단하게 하다보니 히터를 직렬로 사용하여 6.3*4 = 25.2V

6. 입력쪽에 가변저항은 볼륨의 편차를 줄이기 위한 용도입니다.

   가변저항은 일반적으로 중간정도에 있으므로 최대값 가까이 돌려서 맞춘 다음 기판에 장착하시고 볼륨편차가  있을때 소리 큰쪽을 돌려서 줄여 주시면 됩니다.

 

123.jpg

SO.gif

 

추가 : 20130108

케이스 없이 위 사진에서 그대로 사용하면 험이 많이 발생하고 있으나 알루미늄 호일을 GND에 연결하여 덮어 주기만 해도 소음이 사라집니다.

진공관 중에는 옆에서 키보드 치기만 해도 진동이 진공관을 통하여 헤드폰에 들리는 것도 있고 앞에 언급한 치르륵, 차르륵 불규칙한 잡음도 발생합니다.

진공관도 선별해야 하나 (???)하는 생각도 들지만 듣고 있어도 기분 나쁘지 않고  소리에는 표현하기 힘든 매력이 있어 몇시간 듣고 있어도 질리지 않습니다.

  • ?
    최재봉 2014.02.14 20:13

    안녕하세요.


    일반회원으로 SRPP+OP PCB 공제 기판을 신청하여, 받아보고, 궁금한점이 있어.....제가 잘모르는 부분이 이라서....배우는 차원에서 문의드립니다...


    전원부 2K (LED) 저항 위 10K 저항이 있는데,  전원 + 와 GND로 바로 연결되어 있는데, 혹시 이 저항이 왜 회로에 들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게시판에 있는 Hibrid SRPP+OP 회로도와 실장 회로도(?)도 참고했는데, 전원부는 C2 2200 uf 와 0.1uf (bypass) 만 있네요.


    제가 추정하기에는 콘덴서- 저항 - 콘덴서 (CRC) 평활 회로인것 같은데, coll & Res(코일) CLC 회로를 구성해서, 2개를 같이 사용할려고 한것 같은데.....


    CRC 나 CLC 둘 중 한개만 회로를 구성해야되는 것이 아니라, 2개 모두 (CRC +CLC)으로 구성하실려고 PCB를 만드신것인지..


    궁금해서 문의드립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최근 수정일 최종 글 아이디 이름
2514 CHA 10 +Rail splitter 8 file 장순규 2003.12.29 1989 0 2012.05.22 2012.05.22(by 김명섭) chirp 장순규
2513 cha 47 거치용 ... 정신영 2007.04.30 2194 0 2007.04.30   kidssoma 정신영
2512 CHA 47 첫 성공 6 file 정재훈 2005.04.21 2148 0 2005.04.21 2005.04.21 hoony555 정재훈
2511 CHA 47에 이어 universal CMOY까지... 2 김명 2002.12.02 1949 0 2002.12.02 2002.12.02 김명
2510 CHA 47완성...(CMOY아크릴 케이스 제작중...) 1 김경찬 2006.09.08 2550 0 2006.09.08 2006.09.08 widekk3 김경찬
2509 cha-10 입니다... 9 file 김도란 2004.01.28 1766 0 2004.01.28 2004.01.28 irq1995 김도란
2508 cha-47 7 file 송부홍 2005.11.24 1879 0 2005.11.24 2005.11.24 emtsbh 송부홍
2507 CHA-47 PCB 18 file 이충우 2014.04.09 4214 0 2015.04.15 2015.04.15(by 하스팡) chungwoo73 이충우
2506 CHA-47 PCB 전 Test 7 file 이충우 2014.04.13 2564 0 2014.04.20 2014.04.20(by 이정호(ljh8917)) chungwoo73 이충우
2505 CHA-47 PCB 제작 <- 공제 관련 내용 추가 23 file 이충우 2014.04.21 3247 0 2014.05.16 2014.05.16(by 대마왕) chungwoo73 이충우
2504 CHA-47 테스트를... 3 file 김성태(birgirl) 2014.06.04 2506 0 2014.06.26 2014.06.26(by 김주영(softy64)) birgirl 김성태
2503 CHA47 7 file 이홍관 2004.03.25 1924 0 2012.05.22 2012.05.22(by 하스팡) guanilee 이홍관
2502 CHA47 file 김도란 2003.07.07 1725 0 2003.07.07   irq1995 김도란
2501 CHA47 10 file 최정현 2013.08.02 3113 0 2013.09.04 2013.09.04(by 최정현) tenji 최정현
2500 CHA47 완성 8 김지훈 2002.10.20 2161 0 2012.05.22 2012.05.22(by 김명섭) 김지훈
2499 cha47 & 제커즈 & 봐블리... 13 김성중 2003.08.18 4870 0 2003.08.18 2003.08.18 freek 김성중
2498 CHA47 두번쨰 제작 4 file 전계원 2014.10.01 2616 0 2015.04.08 2015.04.08(by 김선재) kwjeon69 전계원
2497 CHA47 만들어 봤습니다. 소리 좋네요.^^ 1 file 전계원 2014.09.26 2487 0 2014.09.30 2014.09.30(by 이학신) kwjeon69 전계원
2496 CHA47 만들었습니다. 4 이홍주 2008.08.22 3178 0 2008.08.22 2008.08.22 lenalhj 이홍주
2495 CHA47 만들었습니다.+ Tiny Altoids소개 3 file 임태욱 2004.02.28 1968 0 2004.02.28 2004.02.28 megarancid 임태욱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32 Next
/ 132
CLOSE
386120 5941580/ 오늘어제 전체     1055733 79223936/ 오늘어제 전체 페이지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