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free) - 헤드폰 앰프에 대한 자유 게시판 (정치,경제,문화,개인 사생활 ....등은 삭제 조치사항입니다.)
2002.10.13 18:22

Marantz CD-7300의 진실

조회 수 1652 추천 수 0 댓글 1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대장님께서 농담반 진담반으로 하스 공식 거치형 CDP라 명명하신
CD-7300에 대해 몇자 써봅니다. 그간 장난기 섞인 글을 몇차례
올린 적이 있었습니다만 이번 글은 정말 진지하게 적어 봅니다.

진지하게 적은만큼 글도 상당히 긴 편이므로 인내심을 가지고 차분히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그리고 마지막에 적은 제 질문에도
의견이 있으신 분께서는 답글을 올려주시구요 비슷한 경험을 하신 분
들께서도 경험담을 들려주세요.

=======================================================================
노이즈에 관해서는 수차례 논의가 있었고 감소방법 또한 여러가지가
제시된 줄로 앎니다만 이번에 경험한 사례는 제 무지가 낳은 신선한 충격
이었습니다.

<상황 재연>
CDP: Marantz CD-7300(알루미늄 케이스)
Amp: Rega Ear 2000(알루미늄 케이스) & SDS(금속 케이스 없음)
헤드폰: HD-600
인터케이블: CD-7300 번들.

짬을 내어 SDS와 Ear2000을 번갈아 들어보며 재대결을 펼치는 과정에서
인터케이블은 CDP에 물려 있고 앰프에는 꼽지 않은 상태에서도 음악이
들리는 참으로 묘한 경우를 경험하였고 원인을 찾아보기로 했습니다.
Rega와 SDS 모두 같은 현상이 발생하였습니다.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는 인터케이블의 끝단의 신호 라인을 손으로
잡고 앰프의 볼륨을 9시 이상으로 돌려놓을 때 발생했습니다. 물론 음악의
크기는 그리 크지 않았으나 볼륨을 11시 정도로 해놓으면 음악인지 노이즈
인지 충분히 분간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가 됩니다.

1. 인터케이블과 헤드폰 신호선 사이에서 전자기 유도가 일어났다???
가장 먼저 원인으로 생각된 것은 마란츠 번들 인터케이블이었습니다.
별다른 실드 선재를 쓰지 않아보여 신호가 유입된 것이 아닌가 생각이
들어 인터케이블과 헤드폰의 신호선을 이격시켜보았지만 차이가
없었습니다. 반대로 인터케이블과 신호선을 바짝붙혀서 평행하게 놓아
보았지만 별반 차이가 없었습니다.

2. 인간의 몸이 안테나의 역할을 했다???
물론 인간의 몸이 어느정도 안테나의 역할을 한다는 것은 이미 경험으로
알고 있습니다. 방송이 잘 안나올 때 실내 안테나를 손으로 잡아주면 잘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렇다고 TV볼 때 계속 실내 안테나를 손으로
잡고 있을 수도 없고... 마찬가지로 헤드폰으로 흘러들어오는 신호가
몸을 타고 앰프로 들어갔다고 볼 수도 있겠지요.
그래서, 본인의 몸뚱이를 앰프에서 2m 정도 떨어져보았습니다만, 음악이
들리는 크기나 잡음의 정도는 별반 차이가 없었습니다.

3. 앰프로 입력되는 전원선과 인터케이블간의 간섭이다???
분명히 앰프와 연결되어 있는 전선이라는 것은 헤드폰선과 전원선 이렇게
두 개뿐이므로 헤드폰 선이 아니라면 전원선이 의심을 받게 됩니다.
마찬가지로 전원선과 헤드폰선이나 인터케이블을 이격시켜보았지만
별반 차이 없이 음악은 계속 들립니다.

4. CD-7300의 진실
제목을 통해 이미 눈치를 채신 분들도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위 3가지 경우를 통해 선을 통해 들어오는 것은 아니다라는 것을 알게되었
습니다. 마지막으로 의심이 가는 것은 CDP 본체를 통해 발생하는 유도장
이었습니다. 기숙사의 작은 공간을 활용하려고 앰프를 CDP 바로 위에 두
었습니다만 앰프를 CDP에서 조금만 이격시켜도(약 20cm 정도) 음악소리가
사라졌습니다. 결국 원인은 CD-7300의 몸체에서 발생한 유도장이 앰프의
신호 입력부에 간섭을 일으킨 결과였습니다.

상황을 정리하면 앰프를 CDP바로 위에 올려놓고 CDP에 인터케이블을 물리고
앰프에는 연결을 하지 않은채, 인터케이블의 신호축(뾰족하게 튀어나온 부분)
을 잡고 HD-600의 1/4" 잭의 금속부분을 잡고 있으면 잡음이 거의 없는
음악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물론 앰프의 신호를 넣은 상태에 비하면
상당히 작은 소리입니다만...

여기서 인터케이블의 신호축을 만지지않으면 들리는 것은 "뿌~~"하는
잡음 뿐입니다.

그럼 CDP에서 앰프로 신호는 어떻게 전달되었을까요?
CD-7300의 겉면은 알루미늄 케이스입니다. 물론 이것으로 완전한 전자기장
차폐는 불가능합니다. Rega의 겉면 역시 알루미늄 케이스입니다. 제 몸뚱이는
CDP의 출력단에 비해 엄청나게 큰 임피던스를 지니고 있으니 CDP에서의 신호
가 무리없이 몸뚱이로 들어왔겠지요. 그런데 몸뚱이로 들어온 신호와 앰프의
입력단으로 흐르는 신호는 무슨 관계일까요? 반드시 신호축을 손으로 잡고 있
어야만 앰프에서 음악이 들렸습니다. 인터케이블의 접지부를 잡는 경우는 의미
가 없더군요.

제 가정은 이렇습니다.

CDP의 출력단에 아무런 장비가 연결되지 않으면 CDP의 출력회로는 정지
상태를 유지합니다. 그리고 CDP의 출력단으로 부하가 걸리면 그제서야
CDP는 출력신호를 증가시켜 신호축으로 보냅니다. 인간의 몸뚱이가 상당히
큰 임피던스를 갖습니다만 아무튼 작은 전기가 흐르는 것은 다 아실 것입니다.
때문에 CDP에서는 앰프가 물린 것으로 착각하고 인터케이블을 통해 신호를
보내기 위해 출력회로가 작동하게 됩니다. 이 때, CDP의 몸체를 통해 큰
유도장이 발생하고 이 신호가 앰프의 입력단을 간섭하여 음악이 들리는
것입니다. 다시 신호축을 놓으면 CDP의 출력회로는 정지상태로 돌아가고
CDP의 몸체에서 발생하는 유도장은 사라집니다.

그렇다면 제 경우에 정상상태에서 앰프로 들어오는 신호 경로는 인터케이블
을 통한 입력과 CDP에서 방사되는 유도 신호 이렇게 2가지인데 모두 동일
한 신호입니다. 하지만 음향 신호의 경우 경로가 여러개일 경우 위상차가
발생할 수 있어서 경로는 되도록 적은 것이 좋다고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동일한 신호를 그것도 강하게 방사하는 CDP위에 앰프를 올려놓으면 전원
케이블이나 다른 전기장치로부터 들어오는 유도장보다 월등히 쎄므로 일종의
차폐장을 형성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을텐데, 제 지식으로는 앰프와
CDP를 이격시키는 것이 좋을른지 아닌지 판단을 내리기가 힘들군요.

혹시 어떤 상황이 좋을른지 의견이 있으시면 개진해주실 수 있을른지요?

P.S. 간만에 엉뚱한 상상을 하며 시간을 제법 보냈군요... ^^;
  • ?
    최낙민 2000.10.13 00:00
    아..그런 이유로 비행기 안에서는 시디피를 못듣게 하나 보군요.....아닌가? ㅡㅡ;
  • ?
    이복열 2000.10.13 00:00
    새로운 경험을 하셨군요. 저도 시간되면 한번 해보겠읍니다.
  • ?
    이학민 2000.10.13 00:00
    내일 아마 받게 될텐데, 꽤 흥미롭게 느껴지네요^^ 7300과 첫만남이 기대됩니다ㅋㅋ
  • ?
    이복열 2000.10.13 00:00
    학민님도 거치형으로 가나 봅니다..구입을 축하드립니다. 사실 요새 맥킨토시보다 7300으로 주로 듣고 있습니다.
  • ?
    이동엽 2000.10.13 00:00
    으...7300 괜히 팔았다는...
  • ?
    이복열 2000.10.14 00:00
    동엽님 하하 입니다. 요새는 가격도 39-38정도로 내렸나 봅니다.
  • ?
    이동엽 2000.10.14 00:00
    헹~ㅜ.ㅜ 38하는 곳이 있더군요...그래도 7080R로 이젠 만족입니다...졸업해서 돈 벌면 그때나 좋은 것 살렵니다..ㅜ.ㅜ
  • ?
    정진욱 2000.10.14 00:00
    6000OSE가 그거랑 비슷한 소리니.. 아무래도 기계업같은건 신경 끄고 살아도 되지 않나 싶네요^^
  • ?
    이학민 2000.10.14 00:00
    ^^ 거치형을 지금도 쓰고있긴합니다. 7300 들이고 별 차이 못 느낄까봐 걱정이랍니다ㅋㅋ 쫌 차이가 있어야 할텐데요..
  • ?
    김민석 2000.10.14 00:00
    흑흑 부럽습니다. 난 언제 업글함 해볼려나,,
  • ?
    민동훈 2000.10.14 00:00
    어디서 38 인가요? ^^;; 많이 내렸네요. 에구구...
  • ?
    이동엽 2000.10.15 00:00
    7300의 경우, 6000에 비해 소리가 좀더 디테일해졌다고들 하던데...전 모르겠습니다. 38하는 곳 어디서 봤는데...잘 모르겠습니다. 시간나면 한번 찾아볼께요.

List of Articles
번호 이름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최근 수정일 최종 글 아이디 추천 수
6673 지승배 하스 청음회(11/15) 관련글 수정하였습니다. 지승배 2003.11.08 1143 2003.11.08   whiteland 0
6672 지승배 하스 청음회 의견 수렴해봅니다. 18 지승배 2007.10.31 1594 2007.10.31 2007.10.31 whiteland 0
6671 허유완 하스 첫 글 올려봅니다. 19 file 허유완 2012.03.17 1579 2012.03.17 2012.03.17(by 박원웅) invader 2
6670 윤민철 하스 자동로그인 방법 10 64 윤민철 2012.04.12 2190 2012.04.26 2012.04.26(by 박재승) femtochem 1
6669 이복열 하스 이벤트.... 14 이복열 2003.12.31 1363 2003.12.31 2003.12.31 zerosoft 0
6668 이복열 하스 월요일 번개...원래 술먹는날 이라 합니다. 이복열 2012.07.09 2328 2012.07.09   zerosoft 0
6667 엄수호 하스 여러분들 중고기기나 공구는 어디서 구하십니까? 6 엄수호 2013.02.24 2810 2013.02.25 2013.02.25(by 한태호) cl1992 0
6666 이준 하스 여러분~ 즐거운 설 즐겁게 보내세요^^ 2 이준 2004.01.21 1708 2004.01.21 2004.01.21 juntom10 0
6665 홍경의 하스 실시간 모니터링 시작!!! 4 홍경의 2011.06.28 1130 2011.06.28 2011.06.28 monoflame 0
6664 황용근 하스 서버가 많이 불안하네요... 4 황용근 2007.01.18 1229 2007.01.18 2007.01.18 ykstyle 0
6663 황용근 하스 사이트의 악성코드를 제거 완료했습니다 4 황용근 2009.11.11 2126 2009.11.11 2009.11.11 ykstyle 0
6662 최재영 하스 부활 감사드립니다.. 2 최재영(cjy625) 2019.12.05 1841 2019.12.08 2019.12.08(by 김성언) cjy625 0
6661 이복열 하스 벙개입니다. 5 이복열 2012.06.22 1478 2012.06.23 2012.06.23(by 황인용) zerosoft 0
6660 이복열 하스 번개불... 28 이복열 2012.06.21 1577 2012.06.22 2012.06.22(by 정연규) zerosoft 0
6659 이복열 하스 번개...미팅... 8 이복열 2012.06.18 1508 2012.06.19 2012.06.19(by 이복열) zerosoft 0
6658 이복열 하스 바탕은 넘 좋아요... 8 이복열 2005.11.16 1119 2005.11.16 2005.11.16 zerosoft 0
6657 황용근 하스 메인 타이틀이 바뀌었네요.. 8 황용근 2007.10.07 1383 2007.10.07 2007.10.07 ykstyle 0
6656 전일도 하스 만세~ 8 전일도 2005.12.06 1142 2005.12.06 2005.12.06 ryanjun 0
6655 엄수호 하스 데이타 필요하신 분 받으세요. 엄수호 2023.05.18 200 2023.05.18   cl1992 0
6654 이복열 하스 광명시 반짝 번개...(오후 6시30분) 2 이복열 2012.07.12 1839 2012.07.16 2012.07.16(by 박은서) zerosoft 0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355 Next
/ 355
CLOSE
263120 5941457/ 오늘어제 전체     561733 79223442/ 오늘어제 전체 페이지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