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free) - 헤드폰 앰프에 대한 자유 게시판 (정치,경제,문화,개인 사생활 ....등은 삭제 조치사항입니다.)
조회 수 4994 추천 수 1 댓글 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안녕하세요... 이번엔 제목과 같이 컨덴서 타입별 주파수 성능표 입니다.

요즘은 자주 글 쓰네요.

 

어제, 동신전자를 방문 했습니다.

그런데, 동신전자 온라인 매장이 있더군요.

거기에 루비콘  MCZ  16V, 1500uF 있길래, 간만에 용산 간 김에 방문 했습니다.

 

그런데!   16V 1500uF 은 품절... 덴장...

대신 16V 1800uF 이 있더군요! 오홍....  간만에 쇼핑을 점 했습니다.

방열판이랑  기타등등...

그런데 컨덴서가 용량별로 많이 있어서 몇종류 집어 왔습니다.

 

지금 테스트 하면서 작성중인데, 간단히  120Hz 와 1KHz 주파수 특성만 기술해 볼게요.

 

 제조사, 종류                              120Hz                  1KHz      감소율            비고

------------------------------------------------------------------------------------------------------------

삼영 NXC 6.3V, 1500uF         1490 uF                 1150 uF      77 %         흔들림 10.uF 수준

루비콘 MCZ 10V 1500uF       1440 uF                 1130 uF     78.5 %       흔들림 10 uF 수준

삼영 NXH 10V 1000uF           1040 uF                  900 uF      86.5 %       흔들림 10.uF 수준

루비콘 MCZ 16V 1800uF       1690 uF                1390 uF      82.2 %       흔들림 5uF 수준

산요 OSCON 4V, 820uF          838 uF                   765 uF      91.3 %      흔들림 1uF 미만.  측정 몇초 후 딱 고정됨

 

삼영 KMG 16V, 1000uF        850 uF                      300 uF    35 %     흔들림 수십 uF 이상

---------------------------------------------------------------------------------------------------------------

 

음, 위 측정은 지금 두개 정도씩 꺼내서 측정중인데 비슷 하네요.

그런데, 그냥 있길래 줏어온 OSCON...  폴리콘 타입이라 그런지 거의 고정값이네요.

감소율도 거진 90% 육박하고..

저전압 배터리 동작으로 만든다면 OSCON도 좋은 특성을 보일것 같습니다.

일단, Low ESR을 가진 특성의 컨덴서가 대체적으로 양호 합니다.

그리고 같은 타입이라도 저전압 보다 고전압 쪽으로 갈수록 감소율이 적어지는 것은

아무래도 내압을 높이는 과정에서 재질 두께라던가. 기타 여러가지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것 같습니다.

특히 루비콘 MCZ 16V 1800 uF 이 5개 시험 중인데, 다들  측정 값이 1700 uF 에서 왔다 갔다 하네요.

편차가 20uF 이내로 고릅니다.

 

그리고 삼영 NXH 시리즈도 좋은 특성을 보입니다만, 문젠 구하기가 힘들다는 건데, AHS 시리즈 보다 훨씬

고른 특성을 보입니다.

 

그럼 이만... ~~~!

 

 

 

 

 

 

 

  • ?
    이복열 2012.11.30 12:01
    역시 오스콘 이군요.

    이번에 이것 저것 전원용으로 구했는데 요놈들은 16V이상급이라 어떨지 모르겠군요.

    조치훈님처럼 장비가 없으니 측정은 못하고....

    니치콘 비교가 없어서...ㅎㅎㅎ....제가 요사이 거의 니치콘을 쓰는지라....아쉽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 ?
    배종선 2012.11.30 12:28

    좋은 정보에 감사드립니다. ^^b

  • ?
    김나라 2012.11.30 12:33

    귀중한 자료입니다. 콘덴서 선택에 도움이 많이 될 듯 합니다

  • ?
    조지훈 2012.11.30 12:43

    니치콘.. 구하기 힘들어서요..

    구할려고 맘만 먹으면 못구하는건 아닌데...

    취미생활이란게, 이걸로 주업이 아니라, 가끔  생각날때 불타 올랐다가..

    또 몇달 잠잠 하다가...

    또 불타 올랐다가 반복이다 보니...

    쩝.. ㅋ.ㅋ

  • ?
    이진혁(leejh) 2012.11.30 14:01

    장비를 구해야 하나 고민하게 만드시는군요... ㅎㅎ

  • ?
    박현근 2012.11.30 14:54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
    최정원 2012.12.01 00:00

    콘덴서 다리가 자석에 잘 붙나요?

    붙는게 많아서요.^^  붙는지 여부도 표시하면 더 좋을것 같아요.

  • ?
    조지훈 2012.12.01 13:05

    컨덴서 다리가 자석에 붙는다구요?

    헐...

    글쎄요.. 자석에 붙여본 적이 없어서...

    일단 구리 재질이라.. 자석에 안붙을 건데..........

    혹시 플럭서 땜에 붙는거 아닐런지...

  • ?
    정연규 2012.12.01 13:40

    대부분 안붙는경우가 많습니다만 가끔 약하게라도 붙는녀석은 생각보다 많습니다. ㅋ

  • ?
    최정원 2012.12.02 09:05

    한번 붙여보세요. 작은데 강한 자석? 이 있어서 부품구입하면 가끔 붙여봅니다 국산, 일산은 예상외로 붙는게 많을거예요^^ 독일 ROE도 붙는것도 있구요. 다리가 전부 구리일거라 생각하면 안됩니다.^^ 이것저것 붙여보며 갖고 있던 국산 1%저항은 다리는 안붙더라구요.^^

  • ?
    정연규 2012.12.01 13:39

    원래 전해콘덴서 자체가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특성이 좋지못합니다. 그나마 1khz에서 저정도 나오는거도 상당히 잘나오는거라고 봐야합니다. ㅋ

    그리고 그나마 전해콘덴서라도 계통도(?)같은델 보면 high ripple이랑 row ESR이 있는데 요 두놈은 대부분 주파수가 좀 올라가도 감소현상이 적을겁니다. ㅋ물론 전체적인 특성자체는 low ESR이 보통 더 좋겠지만 주파수 상승에 따른 안정성은 high ripple형으로 나온게 더 좋을겁니다. ㅋ

    요런거는 콘덴서 만드는 회사 홈페이지가면 쉽게 찾아볼수 있습니다. ㅋ

  • ?
    하스팡 2012.12.01 13:39
    축하합니다. 정연규님은 하스팡 15포인트에 당첨되셨습니다.^0^
  • ?
    조지훈 2012.12.02 10:57

    Low ESR은 내부저항이 작아서 고주파에서 성능이 좋을것이라고 생각은 했었습니다만, 저도 측정 이전에는 1KHz 근처에서 표준 타입이 심각하게 감소할 것이라고는 생각도 못했거든요.

    그리고 어제 이것 저것 시험하면서 MHHA에서 CRD로는 0.7mA 짜리를 썼었는데, 0.5mA 나  0.3, 02mA 짜리로 바꾸어야 할것 같습니다.

    일단 파형상 입력대비 출력 시그널이 4Vpp를 맞출려고 하는데, 지금 갖고 있는 24V 수준에서는 4Vpp 수준이 딱이더군요.

    더 올리면 찌그러짐 현상이 발생합니다.

    제가 설계한 회로에서는 0.25 mA 수준이 입력 400mVpp 에서 최대 출력대비 찌그러짐이 없습니다.

    전류를 키우면 증폭율이 많이 올라가서 소리를 크게 할 수는 있지만 찌그러짐이 발생합니다.

    물론 귀로는 거의 구별을 못합니다만, 파형상 측정해보면 확실히 찌그러짐이 발생합니다.

    일단 사인파로 측정해서 찌그러짐을 확인한 다음, 구형파로 교차 검증해보면 확실히 구별이 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이름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최근 수정일 최종 글 아이디 추천 수
913 김성중 오늘 작업(토모ver)을 마무리 하면.... 3 김성중 2003.08.07 1130 2003.08.07 2003.08.07 freek 0
912 이복열 하하하,저도 작업중입니다.-PCB 디자인 완료-(SB-1-PSU) 23 이복열 2003.08.07 1609 2003.08.07 2003.08.07 zerosoft 0
911 김진호 가입인사 5 김진호 2003.08.06 1141 2003.08.06 2003.08.06 gimjh56 0
910 신정섭 하하하. Kumisa III 작업 완료... 11 file 신정섭 2003.08.06 1174 2003.08.06 2003.08.06 sijosae 0
909 관리자 글 삭제에 대한글..... 관리자 2003.08.06 1347 2003.08.06   sysop 0
908 신상호 아~, 열받는군요. 한번에 구매할순 없단 말인가? 2 신상호 2003.08.05 1120 2003.08.05 2003.08.05 dasarang 0
907 여진욱 실비아 실크 통이 두개씩이나... 5 여진욱 2003.08.05 1179 2003.08.05 2003.08.05 asurada 0
906 신정섭 하하하. 작업중... 8 file 신정섭 2003.08.05 1163 2003.08.05 2003.08.05 sijosae 0
905 한정우 새 헤드폰 사이트를 만들었습니다. 3 한정우 2003.08.03 1880 2003.08.03 2003.08.03 innerman98 0
904 안은상 막귀황금귀 테스트에요.. ^^; 3 안은상 2003.08.01 1269 2003.08.01 2003.08.01 0
903 강희백 역시 앰프 만드는 방법은.... 1 강희백 2003.07.31 1149 2003.07.31 2003.07.31 hbkang1 0
902 노현준 기판 보관 박스 정리하다가.. 6 file 노현준 2003.07.31 1293 2003.07.31 2003.07.31 0
901 변영석 처음 이곳에 글을 쓰네요.. 1 변영석 2003.07.31 1417 2003.07.31 2003.07.31 bis71913 0
900 이학민 새로운 헤드폰 라인업과 간단한 매칭들(사진추가) 8 file 이학민 2003.07.30 1192 2003.07.30 2003.07.30 yhmzzz 0
899 백광민 이번 G-2 공제건에 관하여 같이 기판 받으실분 찾습니다. 3 백광민 2003.07.30 1123 2003.07.30 2003.07.30 vaughany 0
898 이승찬 오늘 새벽에 찍은 사진.. 5 file 이승찬 2003.07.30 1113 2003.07.30 2003.07.30 bonobono 0
897 강희백 이번 공제 G-2 완성할 수 있으실 분이..과연 몇분이나.. 16 강희백 2003.07.29 1576 2003.07.29 2003.07.29 hbkang1 0
896 이복열 G-2 테스트 완료.입금 완료... 57 이복열 2003.07.29 2611 2003.07.29 2003.07.29 zerosoft 0
895 박건희 결국 레이져 프린터 구입했습니다. -_-;; 6 박건희 2003.07.29 1361 2003.07.29 2003.07.29 luciferr 0
894 이제왕 쿨럭.... 간만에 앰프제작.... 간신히 성공.... 3 이제왕 2003.07.28 1211 2003.07.28 2003.07.28 jekinglee 0
Board Pagination Prev 1 ...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 355 Next
/ 355
CLOSE
295120 5941489/ 오늘어제 전체     660733 79223541/ 오늘어제 전체 페이지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