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free) - 헤드폰 앰프에 대한 자유 게시판 (정치,경제,문화,개인 사생활 ....등은 삭제 조치사항입니다.)
조회 수 1495 추천 수 0 댓글 1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쌓아둔 부품으로 뭔가 쪼물딱 거리기에는 시간이 없습니다.

그래서 선택한 호작질이 가진 소자에 대한 정리입니다.

아침에 출근해서 다른 사람들 출근하기 전에 짬짬히 Idss를 측정하고 있습니다.

지그가 오면 할까 했으나 제가 지그를 언제 만들지도 모르겠고 그리 어려운 회로가 필요한 것도 아니어서 그냥 시작했습니다.

엄밀한 의미의 Idss는 아닙니다.

2sk170의 경우 source-gate를 묶고 VCE를 10V를 인가한 상태에서 전류를 측정하는 것으로 데이타시트에 나와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엄밀한 조건의 전류를 측정하는 것은 배선재의 저항등에 따라 지키기가 매우 힘듭니다.

그래서 간이로 로드저항을 달고 전압을 측정하고 있습니다. ^^;

같은 조건에서 모두 측정해두면 최소한 매칭은 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습니다.

2sk170bl.jpg

또한 정확한 시간 후에 값을 읽는 것 또한 제게는 통제불가 사항이므로 열평형에 이를 때까지 기다리고 있습니다.

그래서 시간이 많이 걸리네요.

그래도 짬짬히 할 수 있는 일이니 언젠가는 보유한 FET에 대해서는 정리를 마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합니다.


좋은 하루되세요.



  • ?
    박은서 2012.04.10 08:19

    아.. 뭔가 유유자적한 작업입니다~

  • ?
    이길범 2012.04.10 09:25

    어차피 멀티미터의 전류계도 마찬가지로 로드저항방식으로 측정합니다. 다만, 로드저항의 저항값이

    낮고, 좀 더 정밀한 것이 들어가 있을겁니다. 하지만 전류 직접 측정하는 것보다는 외부에 로드저항

    두고 전압을 측정하는 것이 대부분의 멀티미터에서 실제 측정오차가 더 줄어드는 걸로 압니다.

     

    특히나 포켓용 멀티미터 같은 넘들은 아예 전류측정 기능이 없는 경우가 많죠...^^

  • ?
    허형기 2012.04.10 09:55

    예전에 만든 칩을 측정할 때 경험해 보았습니다.

    전류를 측정하려고 전류모드로 두고 직렬로 연결하면 타겟 포인트의 전압이 살짝 내려가고 전류가 약간 줍니다.

    그래서 최종 결과를 뽑아낼때는 전압계를 최종포인트에 하나 더 찍고 파워서플라이의 전압을 조정해 전압을 맞춘 후 측정했습니다.

    그 기억이 남아서인지 전류를 잴 때 가능하다면 저항에 걸리는 전압으로 전류를 역산하는 방식을 선호합니다.

    조언에 감사드립니다.

  • ?
    김상록 2012.04.10 09:46

    아침부터 어려운것을 하시는군요...^^ 좋은결과 기대하겠습니다.

  • ?
    하스팡 2012.04.10 09:46
    축하합니다. 김상록님은 하스팡 15포인트에 당첨되셨습니다.^0^
  • ?
    허형기 2012.04.10 10:02

    뭐, 이건 중구 난방입니다.

    6~11사이에 아주 골고루 퍼져 있습니다.

    170만으로 pair를 만들려면 그리 어렵지 않겠지만 74와 같이 맞추려면 200개 넘는 것을 다 재어도 몇 조나 쿼드매칭을 할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상하대칭 differential pair는 길모어만 하고 안하는 것이 정신 건강에 좋을 것 같다는 것이 현재의 생각입니다.

    물론 전류원의 전류만 맞추면 상하의 입력소자의 매칭은 그리 중요하지 않다는 것은 알지만(어차피 source에 degeneration 저항이 들어가서 소자의 gm이 결정적 역할을 하지 않으니까요.) 그래도 맞는 것이 더 낫겠지요.

    BJT의 hFE는 그냥 멀티미터로 바로 잴까 싶습니다.

    지그는 최종 삽입전 확인용으로 사용하려고 합니다.

  • ?
    이길범 2012.04.10 10:34

    BL이 6~12 사이에서 맨끝이 7미만과 11초과가 좀 적고 나머지는 골고루 분포되는 것이

    정상인것 같습니다. 저도 그랬습니다.

     

    170끼리만 맞출 때, 1% 공차로 최대조합으로 2개씩 맞춰서 50개중 19조 맞추고 6조 실패를

    했었습니다. 100개였으면 거의 다 맞췄을겁니다.

     

    N과 P간의 산포는 똑같이 1%로 하려고 하면 수율이 좀 떨어질겁니다. 5%나 10%정도 이내에서

    맞추시면 될겁니다. (왠만한 회로에서 N과 P간의 산포가 중요한 경우는 드물겁니다.)

  • ?
    방민혁(hi851107) 2012.04.10 10:53

    어제 저도 지그 만들면서 시험으로 170BL 두개 있던 것 재봤는데 6.4 6.3 정도 나오던데 정상이였군요.. ㅎㅎ

  • ?
    허형기 2012.04.10 11:12

    저도 6.x꽤 많이 나왔습니다. ^^;

  • ?
    이길범 2012.04.10 11:14

    딱 두개 확인해서 그정도면 애시당초 페어매칭된 걸 구해놓으신 것 같은데요...^^

     

    전 국내 모 업체에서 페어매칭품이라고 하는 GR 2조였는데 아무리 조합해도 한쪽은

    편차가 무려 20%를 넘어가더라구요...ㄷㄷㄷ (이건 페어매칭도 아니고 랜덤도 아니여~)

  • ?
    방민혁(hi851107) 2012.04.10 21:00

    작년 하스 공구에서 4조 구해서 2조 사용하고 남은 것인데

    남은 것 방금 다 측정해보니 오차가 0% 3% 나옵니다.. ㅎㄷㄷ

    하스 공구 만세! ㅎㅎ

  • ?
    허형기 2012.04.10 10:56

    예, 조언 감사합니다. 그런데 문제는 제가 74는 몇조 없습니다.

    그래서 74에 맞는 170을 골라내야 합니다.

    숫자 죽~~~ 뽑아서 맞출 수 있는 만큼만 맞추어야지요. 어차피 더 맞추고 싶어도 소자가 가진 것이 없어서 못 맞춥니다. ^^;

    가진 74가 거의 10대인데 170중에서는 10을 넘어서는 것이 그리 흔하지 않네요.

    74와 맞출 수 있는 것은 맞추고 나머지는 그냥 170끼리 맞추어 두려고 합니다.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 ?
    하스팡 2012.04.10 10:56
    축하합니다. 허형기님은 하스팡 15포인트에 당첨되셨습니다.^0^
  • ?
    이길범 2012.04.10 11:15

    저는 74는 가진게 V밖에 없어서 170은 BL로, 74는 V로 맞춰서 그냥 쓸겁니다... 구보다에도

    매칭품GR2조 샀던것이 매칭이 전혀 안맞아서 포기하고 그렇게 맞춰서 넣었습니다...^^

  • ?
    하스팡 2012.04.10 11:15
    축하합니다. 이길범님은 하스팡 20포인트에 당첨되셨습니다.^0^
  • ?
    이길범 2012.04.10 11:15

    앗싸~ 가오리~~ 20포인트~~~ 제법 크게 터집니다...ㅎㅎㅎㅎ

  • ?
    김태형 2012.04.10 12:09

    상하 매칭이 잘 안 맞았을 경우, 출력단의 dc 가 스윙할 수 있을까요? 

    믿는 프리하나가 170/74 상하단 페어로 동작하는데 은근하게 올라가는 

    dc 수치 때문에 잠시 은퇴한 상황입니다. 


    전원부 보강 우선 시도해보고 후속작업으로는 매칭 들어갈까 합니다. 

  • ?
    이길범 2012.04.10 12:13

    차동회로의 전류값은 JFET에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CCS에서 결정됩니다. CCS에서 결정된 차동회로

    양쪽 합의 전류값이 양쪽으로 배분되는 과정에서 페어매칭의 의미가 나옵니다.

     

    즉 길모어 회로를 기준으로 말씀드리면 P-CH와 N-CH간의 페어매칭은 의미가 없다는 이야기가 되는 것입니다.

     

    구보다의 경우는 좀 더 따져봐야 합니다. 이게 P-CH와 N-CH쪽이 서로간의 CCS역할을 하기 때문에 N-CH와

    P-CH간의 페어매칭이 안맞는 경우 어떻게 되는지는 상세하게 다져봐야 할 것 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이름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최근 수정일 최종 글 아이디 추천 수
5633 이복열 구정 이벤트 상품 발송 완료... 2 이복열 2004.01.28 1306 2004.01.28 2004.01.28 zerosoft 0
5632 유광석 글을 올리다...작업환경 하나 올립니다.(일명:지저분^^~ 및 암베코 탈레마와 국산..) 6 file 유광석 2004.01.28 1557 2004.01.28 2004.01.28 ksryoo 0
5631 박상규 옥의 티 하나... 2 박상규 2004.01.29 1317 2004.01.29 2004.01.29 birdfire 0
5630 유근모 라디오키트 사진이요...^^ 3 file 유근모 2004.01.29 1393 2004.01.29 2004.01.29 keun16xm 0
5629 손창원 aleph + kumisa headphone amp. 6 file 손창원 2004.01.29 1448 2004.01.29 2004.01.29 sendbox 0
5628 최재준 트랜지스터, FET 페어매칭할 때 2 최재준 2004.01.29 1519 2004.01.29 2004.01.29 govap 0
5627 유광석 head amp 전면 패널 배치 ^^~ 7 file 유광석 2004.01.29 1407 2004.01.29 2004.01.29 ksryoo 0
5626 안은상 나의 에칭통(^^) 5 file 안은상 2004.01.30 1477 2004.01.30 2004.01.30 0
5625 안은상 나의 작업환경(^^;) 4 file 안은상 2004.01.30 1316 2004.01.30 2004.01.30 0
5624 이보람 HD600 영입했습니다 10 이보람 2004.01.30 1299 2004.01.30 2004.01.30 hdmix 0
5623 유근모 스프레이 비교기..^^;; 2 유근모 2004.01.31 1543 2004.01.31 2004.01.31 keun16xm 0
5622 엄수호 대장님 고맙습니다. 이것 때문에 잠도 못자고... 5 엄수호 2004.02.01 1515 2004.02.01 2004.02.01 cl1992 0
5621 임일환 우리 집 막내의 첫 납땜 작 4 file 임일환 2004.02.01 1361 2004.02.01 2004.02.01 hot00510 0
5620 이복열 Tube(딩공관) and 디카펌프.... 9 file 이복열 2004.02.01 1314 2004.02.01 2004.02.01 zerosoft 0
5619 유근모 복열님에 이어 진공관 펌프2~ 3 file 유근모 2004.02.02 1288 2004.02.02 2004.02.02 keun16xm 0
5618 엄수호 용산은 아직 부품쪽은 약하군요 3 57 엄수호 2004.02.02 1711 2004.02.02 2004.02.02 cl1992 0
5617 지병환 응원해 주세요... 낼 부품 사러 청계천 갑니다... 9 지병환 2004.02.02 1318 2004.02.02 2004.02.02 blueji 0
5616 지승배 삼영 AHS급 4700UF/63V 콘덴서 공구글 올렸습니다. 지승배 2004.02.03 1384 2004.02.03   whiteland 0
5615 유근모 광마우스도 잡음이 나네요... 12 유근모 2004.02.03 1563 2004.02.03 2004.02.03 keun16xm 0
5614 지병환 9v 베터리 ... 3 지병환 2004.02.03 1452 2004.02.03 2004.02.03 blueji 0
Board Pagination Prev 1 ...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 355 Next
/ 355
CLOSE
363120 5941557/ 오늘어제 전체     928733 79223809/ 오늘어제 전체 페이지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