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벼운 개조를 해봤습니다

by 김영생 posted Apr 06, 201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r.jpg

오늘&내일의 개조를 위해 업어온넘들입니다 (원래 10개인데, 개조후 찍은거라 2개 소비해버려서 8개입니다) (참고로 동판은 내일 프로디지 큐브의 그라운드 강화 개조시 사용할 그라운드용입니다)

 

콘덴서 자체는 다들 아실테니 설명 생략합니다

2r.jpg

오늘의 개조 대상입니다 (현제 발매중인 LX와는 달리 라인인을 제외하고 마이크&광입력도 지원하는 이미 단종된 PX입니다)

 

분해해보시면 아는데 어쳐구니 없게 PX용 기판 그대로 해서 일부 부품 생략하고, 케이스만 바꾸어놓곤 LX라고 발매했더군요 (...)

3r.jpg

개조 1차 시도의 결과는.....사진대로 실패입니다 (테스팅이랑 끝마무리까지 다 해놓고 마지막에 어쳐구니 없이 때내게 됨)

 

장착후 작동 시험도 정상이었고, 제대로 장착되었는지 전압까지 다 찍어봤는데, 마지막에 케이스를 닫을려고 하는데 안 닫혀서 다시 했습니다 ㅠ.ㅠ (보시는대로 양극을 똑같이 잘라서 세워서 땜질했더니 높이땜에 케이스가 안 닫히더군요 -_-;)

4r.jpg

장착 직후 사진입니다 (케이스 닫기전에 주변의 송진은 긁어냈습니다)

 

별거 아니긴한데, 이미 완성된 모델이라 주변의 부품이 꽤 방해가 되었고, -극이 이상하게 장착이 잘 안 되서 삽질 했습니다 (결국 사진으로 보시는대로 아에 덩어리로 납을 붙여서 양으로 끝을 봤습니다 -_-v;;) (가변저항부분의 플라스틱이 약간 녹은; ㅠ.ㅠ)

0.jpg

혹시 개조 시도하실분들을 위해 알기 힘든 사진대신 그림으로 연결방식을 표기해봅니다 (장착위치는 분해해서 사진을 보시면 아실껍니다 (하단의 볼름조절용 가변저항을 보시면 바로 아실듯)

 

참고로 원래 발견한 정보글에는 100~470uf정도를 장착하라고 되어있었는데, 제경우 해당 용량의 적당한넘을 못 구해서 680uf짤을 달았습니다 (원문에선 탄탈 6v 220uf을 달았더군요)

 

개조하기전에 미리 경고하자면, 너무 큰 용량을 달지 마시길 바랍니다 (콘덴서의 특징상 대용량을 쓰면 충전되는동안 회로가 쇼트된 상태가 되는 위험성이...) (또한 원문대로 탄탈을 쓰시는경우 콘덴서가 박살나면 숏컷되면서 회로를 태워버릴지도 모릅니다)

 

4.70v usb입력을 받으니 4.88+-0.01v의 전압이 걸려있는걸 확인했습니다 (어...어쨰서 더 높아진거지 -_-)

 

측정장비가 없어서 측정결과는 퍼왔습니다 (usb특유의 노이즈를 줄이기 위한 조치인데 꽤 우수해져서

before after
Frequency response (from 40 Hz to 15 kHz), dB: +0.00, -0.00 Excellent +0.00, -0.00 Excellent
Noise level, dB (A): -400.0 Excellent -98.2 Excellent
Dynamic range, dB (A): 91.0 Very good 98.1 Excellent
THD, %: 0.0044 Very good 0.0003 Excellent
IMD + Noise, %: 0.0075 Excellent 0.0037 Excellent
Stereo crosstalk, dB: -364.0 Excellent -99.3 Excellent
IMD at 10 kHz, %: 0.0088 Very good 0.0040 Excellent

 

 

 

 

 

 

 

 

 

 

다음과 같이 매우 향상됩니다 (버퍼 하나 만들어줬을뿐인데;)

Dynamic range.png

 Dynamic range (한군데 튀는거뺴곤 향상됨)

Frequency response.png

Frequency response (변화X)

Intermodulation distortion.png

Intermodulation distortion (큰 변화는 없지만, 한군데 심하게 튀는거말곤 매우 나아짐)

Noise level.png

Noise level (일정하게 나오진 않지만, 전반적으로 수치가 폭감)

Stereo crosstalk.png

Stereo crosstalk (전원부 버퍼를 줬을뿐인데 왜 이넘이 이리 크게 변동한걸까요)

THD + Noise (at -3 dB FS).png

THD + Noise (at -3 dB FS)

 

제경우 콘덴서용량과 타입이 다르므로 측정결과가 조금 다르다고 생각하지만, 체감 가능할정도로 노이즈 줄었습니다

 

특정 주파수에서 매우 심하게 튀는것말곤 매우 우수한 결과를 보여줍니다 (튀는 부분은 부품의 특성상 제대로 처리 못하는 주파수라 추정됩니다)

 

 

 

추신 : 내일의 프로디지 큐브는 개조라 부를만한 물건도 아닌 매우 간단한 작업이라 업로드 생략합니다 (케이스내부에 동판 잘라서 붙여서 그라운드 만든다음 이넘을 기판에 끌어다가 붙이면 끝입니다)

 

추신2 : LX기준이지만, 원문 링크는 http://ta2020.huuryuu.com/SoundBlaster_e.html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