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free) - 헤드폰 앰프에 대한 자유 게시판 (정치,경제,문화,개인 사생활 ....등은 삭제 조치사항입니다.)
조회 수 2935 추천 수 3 댓글 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제작시작한지 한달이 다 되어 가는것이 있는데 이제서야 하나씩 올리게 되네요.

제작되고, 자료 정리되는데로 파트별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앰프 이름을 머라할지 모르겠습니다. 홍재영님 메칭앰프 따라하기 라고나 할까요. 저는 헤드폰앰프라고 만들지만, 메칭앰프로 더 많이 쓸 것 같은 예감이...

===========================


일단 회로도 부터 ..

  AMP.GIF


*앰프 회로


제작이 완료되지 않았으므로 수정할수도 있지만 게획된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입력 증폭 (Gv=3.2 or Gv=6.1) -- 볼륨 -- 버퍼(라고는 하지만 DC조절이 주 목표) --- 와트정 버퍼


홍재영님 따라하기라 해놓고는 조금 수정해서 입력부분에 증폭률을 주고 볼륨다음에 Unity Gain으로 구성하기로 했습니다.


볼륨이 중간위치에 있을때 임피던스는 높게 되므로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쉽게 됩니다.

그런데 그부분을 통과한 것을 전압증폭한다면, 노이즈도 증폭되므로 차라리 입력단에다가 게인을 주기로 하였습니다.

그러면 볼륨에서의 노이즈를 증폭하지 않으므로 S/N비가 좋아진다고 생각.....

제가 사용하는 소스기기의 출력 임피던스가 10K옴을 넘는것이 없으므로 입력임피던스는 문제될 것이 없다고 생각합니다.(의견부탁드립니다)

게인 선택스위치는 회로도 보시면 바로 이해될 것 같습니다. 증폭률 약 3배 6배 이렇게 두가지가 되도록 저항값을 정했습니다.


출력부는 기존 와트정 회로보다 2배정도로 아이들 전류를 높게 하도록 CCS의 200옴을 100옴으로 하였습니다.

출력트렌지스터가 병렬로 2조이므로 한조일때보다 찌그러짐이 완화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전압증폭이 다 되었는데도, 찌그러짐을 완화하고 특히 다이아몬드 버퍼에서 나오는 DC를 막기위해 사용 안해도 될(????) OPAMP를 넣었습니다.

(차동입력 회로로 DC출력을 보정한다는 의미.)

홍재영님의 제작기 읽으면서 보았던 트러블을 막기 위해 OPAMP의 궤환부분에 잊지 않고 10p 와 15p를 넣어두었습니다.


Rx부분은 임의의 값으로 50~100옴정도 또는 생략할 수 있습니다. 나중에 여러 저항값을 넣어보고 결정할 부분,.



*전원부 회로


구보다 전원부 회로를 변형한 것으로 높은 트렌스 전압이 필요한 부분을 개선한 것입니다.

MOSFET 게이트 부분에 출력전압보다 3V정도 높은전압이 필요한 것을 따로 전원을 주어 해결한 방법입니다.

기존 토로이달 트렌스에다가 20바퀴정도 에나멜선을 감아서 3V정도가 나오도록 하여 기존 권선에 직렬로 연결해서 18V단자를 만들었습니다.

그것을 정류한 25V를 전압비교기 부분의 전원으로 활용한 방법입니다.

기존 구보다 전원회로에 높은 전류를 얻기 위해 18VAC 트렌스를 활용한것보다 효율이 높습니다. 당연히 열도 덜납니다.


권선을 감기 귀찮으면 배전압 회로를 응용하는것도 좋을듯...(공통그라운드 배전압 회로로..)


전에 신정섭님글을 보고 그냥 따라 만들다가 놓친 부분이 있습니다.

15VAC를 정류했을때 이 정류다이오드들은 최대 약 42V(+21,-21)의 역전압을 견뎌야 합니다.

1N5822와 1N5819는 최대 역전압이(Repetitive peak reverse voltage) 40V인데 2V정도 넘치는군요. 생각없이 달았다가 바꿔달았습니다.

12VAC정도면 문제없겠지만 대부분 15VAC이상 사용하므로 1N5822와 1N5819는 부적절합니다.

내전압이 높은 SR560을 추천합니다.(60V)


EP1017684.JPG

코일 감은거.... 18바퀴 감은것 같네요.50VA급이라 트렌스가 너무 큽니다.

그래도 그냥 사용하기로 했습니다. 다른부품에 투자할 능력이 없으니 그냥 큰 트렌스로 만족하려고...




EP1017688.JPG

방열판 하나에 두개의 MOSFET를 모두 장착했습니다. 케이스 닫고나서의 열을 견딜지 모르겠네요.

뒤에 줄서있는 중출력 TR들이 출력석이 됩니다.



EP1017693.JPG

위에서 한컷.



 EP1017710.JPG

중출력 TR 장착중..



EP1017714.JPG

어느 영화의 한장면이라고요? ㅎㅎ



EP1017723.JPG

출력버퍼부분 완성입니다. 테스트는 나중에...



EP1017726.JPG

ㅡ,.ㅡ 좁습니다.



EP1017729.JPG




EP1017731.JPG

메인 기판에 나머지 회로를 만들기에는 너무나 좁아서 수직으로 세워서 하기로 했습니다.... ㅡ,.ㅡ;;;



EP1017734.JPG

RAM ㅋㅋ


찍고보니 배때기 사진이 없네요. 필수사진인것 같은데....

  • ?
    박은서 2012.03.24 21:46

    코일감기 신공이 드디어 앰프로 완성되는 군요. 마지막 RAM!!!!!

  • ?
    윤성훈. 2012.03.24 22:02

    ㅋㅋ ram대봑입니다.ㅋㅋ

    작업하시는 걸 보니 능력자이신것 같네요.ㅋ

  • ?
    박재승 2012.03.24 22:52

    ㅋㅋㅋ

    RAM기판 뒷면이 궁금합니다.ㅎㅎ

  • ?
    박도영 2012.03.24 23:04 Files첨부 (1)

    암것도 없습니다.ㅎㅎ


    EP1017737.JPG

  • ?
    박재승 2012.03.24 23:07

    실시간으로 제 호기심을...ㅋㅋㅋ

    아무것도 없네요^^;

    아무것도 없지만 아무나 생각할 수 없는 아이디어 같습니다.

    완성작도 구경시켜 주세요~~~~ㅎㅎ

  • ?
    정원경 2012.03.24 23:13

    출력석 TR들이 정말 스타워즈를 연상케 하는군요.

     

    회도로만 봐도 일단 소리는 좋겠구나 하는 느낌이 팍 옵니다.

     

    거기다 램 모듈까지 뭔가 대단한 작품이 나올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어떻게 완성될지 기대하고 있겠습니다.^^

  • ?
    최영현 2012.03.24 23:45

    RAM의 반전이 대박입니다 =)

    내일 쯤이면 저 위에 부품이 차곡차곡 들어앉겠지요?

  • ?
    박은서 2012.03.25 00:08

    옆에 있는 붓(?)은 청소용인가 봅니다~

  • ?
    박도영 2012.03.25 10:36

    붓이 아니라 디자인 칼입니다^^ 뜨게질 선 자를때 쓰지요. 땜한다음에 저걸로 자릅니다.

    사진엔 안나왔지만 붓도 있습니다. 청소용으로 쓰죠~

  • ?
    박은서 2012.03.25 15:48

    그야 말로 한땀 한땀 땜하시나 봅니다~

  • ?
    권재구 2012.03.25 08:33

    몇자.. 일반 led가 아니고 고휘도 led 아닌가요..? 고휘도의 경우 전압 체크 하셔야됩니다. led전압-0.65(tr전압) / 100옴으로 전류량이 결정되고 너무

    커지면 뒷단에서 tr이 못버팁니다.

  • ?
    박도영 2012.03.25 10:42

    전압 체크했습니다. 1.85~1.9V정도 나오는데 선별해서 1.86V짜리로 맞추었습니다. 이미 빵판에서 열폭주라든지 그런 부분은 확인했습니다. 빵판에서 출력 TR들은 미지근한 수준이었습니다.

  • ?
    하스팡 2012.03.25 10:42
    축하합니다. 박도영님은 하스팡 5포인트에 당첨되셨습니다.^0^
  • ?
    김상록 2012.03.25 09:18

    뭔가 결과가 흥미롭습니다.^^

  • ?
    윤영석 2012.03.25 17:20

    시간이 허락한다면 따로해보고픈 아이템이 계속 올라오네요. 


    끝까지 화이팅입니당. 


List of Articles
번호 이름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최근 수정일 최종 글 아이디 추천 수
7053 이현우 흐.. 수능 끝났습니다^^ 2 이현우 2002.11.07 1306 2002.11.07 2002.11.07 0
7052 조경재 휴우.... 인생이 힘들군요(퍽) ㄷㄷㄷ 8 조경재 2008.04.04 1744 2008.04.04 2008.04.04 xkqrpdla 0
7051 박희성 휴우.. 십년 감수했습니다. 10 박희성 2002.11.02 1440 2002.11.02 2002.11.02 0
7050 김해근 휴우, FK-PS 연기와 함께 10 김해근 2004.05.07 1375 2004.05.07 2004.05.07 ikstus 0
7049 이학민 휴대폰 어떻게 사야 할까요? 5 이학민 2002.07.12 3552 2002.07.12 2002.07.12 0
7048 윤성훈 휴대폰 배터리로 5v 승압 회로도 그려 주실분있나요??^^ 4 윤성훈 2011.08.19 4641 2011.08.19 2011.08.19 kallos 0
7047 박상민 휴대용 진공관 앰프를 만들려고 하다 보니 많은 공부가 되네요. 6 박상민(earthnciel) 2014.07.21 2888 2014.07.29 2014.07.29(by 김인성(chansam960) earthnciel 0
7046 이길범 휴대용 양전원 솔루션 찾고 있는데 쉽지는 않네요. 8 이길범 2011.04.30 1444 2011.04.30 2011.04.30 marzio 0
7045 조경남 휴대용 앰프의 공동 제작을 위한 설문의 마지막 날입니다. 2 조경남 2004.09.08 1291 2004.09.08 2004.09.08 oceanpow 0
7044 조경남 휴대용 앰프의 공동 제작에 관한 의견을 받습니다. [layout] file 조경남 2004.08.12 1494 2004.08.12   oceanpow 0
7043 장효진 휴대용 앰프 케이스로 쓰기 좋은것 같네요. 3 장효진 2004.09.15 1263 2004.09.15 2004.09.15 mafuyou 0
7042 성호성 휴대용 TPA6120 앰프..... 5 file 성호성 2005.11.05 2022 2005.11.05 2005.11.05 savor 0
7041 김주필 휴대용 Meier 앰프 성공했습니다. 8 김주필 2002.06.05 4972 2002.06.05 2002.06.05 0
7040 신동혁 휴대용 Meier Amp를 만들었는데....... 1 신동혁 2002.06.18 5446 2002.06.18 2002.06.18 0
7039 이학민 휴대용 CDP를 구입해서 들어보는데.. 3 이학민 2003.04.24 1613 2003.04.24 2003.04.24 yhmzzz 0
7038 김성태 휴대 거치 겸용 다이아몬드버퍼 앰프 17 김성태(birgirl) 2011.11.26 1547 2011.11.29 2011.11.29(by 신용성) birgirl 0
7037 박가람 휴가철이라서 공구도 힘들겠네요>_< 6 박가람 2011.07.23 1594 2011.07.23 2011.07.23 rkfka9191 0
7036 최문협 휴가까지 2일 남았습니다.~ 3 최문협 2007.09.29 1428 2007.09.29 2007.09.29 impuni 0
7035 박미룡 휴가 잘지내시지요?^^ 1 박미룡 2006.08.02 1164 2006.08.02 2006.08.02 pakml 0
7034 지승배 휴가 다녀오겠습니다. 7 지승배 2005.09.14 1459 2005.09.14 2005.09.14 whiteland 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355 Next
/ 355
CLOSE
383120 5941577/ 오늘어제 전체     1039733 79223920/ 오늘어제 전체 페이지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