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free) - 헤드폰 앰프에 대한 자유 게시판 (정치,경제,문화,개인 사생활 ....등은 삭제 조치사항입니다.)
조회 수 2046 추천 수 1 댓글 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하데스 트랜스 용량 18V=>1.5A, 7V=>2A

트랜스 용량도 알았고 하데스 각 보드별로 소모 전류량을 측정해 보았습니다.

#표1
------------------------------------------------------------------------------------
전압 전류
3.3V 25mA
5.0V 32mA (DAC)
5.0V 240mA((DDC)
+15V 95mA
-15V 130mA
조건 : 순정 AMP 연결 부하는 36옴, 볼륨 MAX
------------------------------------------------------------------------------------

여기서 한가지 이상한 점이 들었습니다. 

"+15V 와 -15V 에 흐르는 전류가 동일 할 것" 이라고 생각했는데 아니라는 점입니다.

그래서 +15V 와 -15V 만 조건을 달리 하여 측정 해보았습니다.


#표2
-----------------------------------------------------------------------------------
순정 AMP 연결 안하고
전압 전류
+15V 45mA
-15V 80mA
조건 : 순정 AMP 연결 Open
-----------------------------------------------------------------------------------

여기서 순정 AMP 의 전류 소모량은 +15V : 50mA, -15V : 50mA 이라는 것을 알수있습니다.


그럼 +15V 와 -15V 에 흐르는 전류가 동일하지 않는다는 것은 DAC 이라는 말이 되는데.....

그래서 DAC 에 사용되는 OP 들을 하나씩 넣으면서 


#표3
-----------------------------------------------------------------------------------
DAC 에 각 OPAMP 를 연결 하면서 전류 변화를 관찰
  +15V 전압차 -15V 전압차
U1 5.8   13.8  
U2 11.6 5.8 29.1 15.3
U3 17.4 5.8 42.8 13.7
U4 23.3 5.9 58.1 15.3
U5 34.0 10.7 68.8 10.7
U6 45.3 11.3 80.00 11.2

OPAMP U1~U4 는 OP627 SMD TYPE
OPAMP U5,U6 는 OP627 DIP TYPE
-----------------------------------------------------------------------------------

여기서 U1~U4 까지 OP 를 넣으면 +15V 와 -15V 에 소모되는 전류량이 다르다
그래서 OP627 SMD 와 DIP 의 차이 또는 SMD OP 불량일까하여

U5,U6 의 OP 를 U1,U2 에 넣어 전류량을 측정하니 표3 과 같은 소모 전류량이 측정 되었습니다.

그럼 제가 이상하게 생각했던 "+15V 와 -15V 에 흐르는 전류가 동일 할 것"  이 전제가 잘못된 것인지 궁금합니다.

이게 정상인지 아니면 뭔가 잘못된것인지 혹니 회원님들 중 소모 전류량을 확인 해보신 분이 있으신가요?.
  • ?
    이길범 2012.03.12 10:18

    그것이 왜 그런지를 설명드립니다.

     

    무신호 기준으로 OP-AMP의 소비전류가 +전원과 -전원의 전류가 동일하려면 입력도 양전압의 정확한 중간값을

    유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여기서 전원이 양쪽이 다른 경우에도 GND의 0V가 정확한 중간값이 아니어서 어긋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많이 차이가 나죠?

     

    당연합니다.

     

    무신호 상태에서 I-V 출력단의 전압을 체크해 보시기 바랍니다. 0V가 아닙니다. 0V가 나왔다면 어딘가

    문제가 있어서 잘못된 것입니다.

     

    전류는 -가 없기 때문에 DAC의 전류출력이 최소치와 최고치의 중간값이 중점입니다. 이 값이 무신호시

    출력전류입니다. 이 전류를 전압으로 바꾸는 것이 I-V변환회로이기 때문에 당연히 이 부분에서는 무신호시

    출력전압이 한쪽으로 쏠립니다.

     

    그래서 DAC의 소비전류는 +전원과 -전원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것입니다.

  • ?
    전수현(wavejjun) 2012.03.12 12:03

    답글 감사합니다.

    말씀해 주신대로 무신호시 I-V 출력단은 어디를 찍어봐야 되는지요?.

    제가 몇군대 찍어봤는대....

  • ?
    이길범 2012.03.12 15:01

    I-V 변환 OP-AMP 출력과 GND사이의 전압을 찍어보시면 됩니다. 맛폰이라 길게 못씁니다...

  • ?
    전수현(wavejjun) 2012.03.12 15:59

    답글 감사합니다. 아마도 출발 하신것 같아 댓글을 지울까 했는데....

    맛폰으로도 글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 ?
    이길범 2012.03.12 10:25

    어느정도 예상은 했습니다만, DDC가 제가 생각했던 것보다는 소비전류가 다소 높게 나왔네요.

     

    XMOS칩이 생각보다는 전력효율이 안좋은가 봅니다. CPU Core 전압은 내부에서 DC-DC로

    내리기 때문에 효율이 90% 정도는 나온다고 볼 때, 3.3V단의 경우에만 리니어입니다.

     

    1.2W중 DDC를 따로 따로 까서 해봐야 정확한 수치가 나오겠지만 80~90% 정도가 CPU Core에서

    소모되고 있을거라 생각됩니다.

  • ?
    엄수호 2012.03.12 10:32

    약 1W 전력소모라면 어느 정도 열이 날런지 측정은 어렵겠죠?

    현재는 미지근한 정도도 안되죠?

  • ?
    이길범 2012.03.12 10:43

    발열은 열이 나는 발열체의 체적, 그리고 이 발열부에서 주변으로 발산할 수 있는 구조가 어떻게

    되느냐, 그리고 실제로 사람이 열을 느끼는 발열부와 가장 근접할 수 있는 곳의 조건이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서 체감 발열이 완전히 달라집니다.

     

    열 많이 난다고 하는 스마트폰의 경우, 따져보시면 발열량은 그리 높지 않습니다. 배터리가 통상

    5.5~6Wh초반대 정도라고 볼 때, 열이나는 조건으로 연속사용 얼마나 되는지를 따져 보시면 대략의

    소비전력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대략 5~6시간 정도 동작된다면 1W정도 되는 것이죠.

     

    하지만 스마트폰은 이렇게 1W정도만 되어도 체감으로 뜨끈뜨끈할 수밖에 없는 것이 발산조건이

    좋지 못합니다. 두께 10mm도 안되는 슬림에 발열체와 사람피부 사이의 거리도 너무 가깝고 그

    사이에 열전도율이 낮은 단열층이 있으면 안에서야 열이 나더라도 체감은 덜 느끼겠지만 어떻게든

    밖으로 열을 다 방출해야 하기 때문에 고스란히 인체를 통해 감지될 수밖에 없습니다.

     

    이런 차이죠...^^

     

    실제로 DDC의 소비전력이 듀얼코어 스마트폰의 동영상 신나게 돌릴 때의 소비전력 정도가 나온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이 정도가 모바일과 비교하면 그렇지만 거치형에서는 뭐 티도 안나는 수치죠...^^)

  • ?
    박은서 2012.03.12 16:34

    DAC이랑 DDC 도 꽤 잡아먹는군요.


  1. No Image

    어떤 블로그를 보니 재미 있는 게 있군요.

    CD-ROM 고장나면 다 버렸는 데 렌즈 플라스틱을 빼서 휴대폰 카메라에 대충달아서 접사 기능이 되게 했습니다. 좋은 아이디어입니다. 난 왜 이런 생각을 못하지? http://www.ppomppu.co.kr/zboard/view.php?id=review&page=3&sn1=&divpage=5&s...
    Date2012.02.28 By엄수호 Views1866 Votes1
    Read More
  2. 대륙실수 제품을 내맘대로 살렸습니다.

    그러나 김태형님 전혀 반갑지 않은 소식입니다요. 전에 김태형님이 실수로 들어보라고 가져온 대륙제품을 쿠미사 테스트하다 태워먹은 적 있었습니다. 변환기판작업된 OPA627로 테스트하다 태워먹은 겁니다. 골로간 627만 바꿔서 듣다 또 다른 싸구리 HP헤드폰...
    Date2012.02.28 By엄수호 Views1666 Votes1
    Read More
  3. No Image

    이정석님 쿠미사 기판 필요하신 분 나눔에서 확인하세요.

    ^^
    Date2012.02.29 By엄수호 Views1698 Votes1
    Read More
  4. No Image

    오늘 미니조각기 하나 샀네요...^^

    이제껏 구멍 뚫는건 메타보 드릴(550w)로 무식하게 구멍내고 있어서 넘 힘들었는데 보라매 미니 드릴이 인터넷에 싸길래 하나 구입해버렸네요..ㅋㅋ 이제 홀 낼때는 예전보다 예전만큼은 팔에 무리를 안줘도 되겠군요..
    Date2012.02.29 By김경연 Views2378 Votes1
    Read More
  5. USB 전원 절전모드 해제

    가끔씩 USB 장치(DDC,DAC, 메모리 등)의 연결이 끊기는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 원인이 윈도우의 USB장치의 절전기능 때문인데요.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http://www.parkoz.com/zboard/view.php?id=my_tips&page=1&sn1=&a...
    Date2012.03.01 By홍재영 Views5797 Votes1
    Read More
  6. 교재하나 샀습니다. [음향인을 위한 전기실용강좌]

    오늘은 심심해서 하스게시판 여기저기를 둘러 보았습니다. 평소에 잘 들어가지 않던 정보방에 들어가 예전자료까지 보던 중... 일반정보에 [기초자작 교재 소개]라는 제목의 글(2006년 게시글이네요)이 눈에 들어옵니다. 클릭해서 들어가보니 [음향인을 위한 ...
    Date2012.03.01 By박재승 Views2001 Votes1
    Read More
  7. 아래 글 쓰는 동안 택배 받았습니다. ^^

    우리동네는 FM이 잘안잡힌다는 글썻더니 이사하라는 둥 던없는 저에게 속씨리는 글 쓰신 분 제가 만나면 맴메할겁니다. 김준태님이 저에게 보내 주신 FM 튜너만들어 보라고 보내신 겁니다. 거기다 신성트랜스 까지.... 신성감은 것 보니 아*아보다 훨 잘 감았...
    Date2012.03.02 By엄수호 Views1402 Votes1
    Read More
  8. JAY OD-A 거의 다 만들었습니다..

    부품을 하나 둘 주문하면서 채워 나가다 보니 어느새 거의 완성이 되었습니다. 대장님, 김상록님, 박은서님이 만드신 것들을 보다보니 자연스레 트렌드에 순순히 순응 하는 제 자신을 발견하게 됩니다.ㅎㅎ 저는 사실 좋은 부품에 대한 주관 이 별로 없는 편입...
    Date2012.03.02 By안현섭 Views1584 Votes1
    Read More
  9. No Image

    후배사무실에 잠깐 들렀습니다.

    후배가 *** 아냐고 합니다. 옛날 안산 공장에서 같이 근무했을 때 알거라는 데 30여년 되고 공장엔 2년도 안되게 근무해서 인지 모르겠더군요. 왜 그러냐니까 50초반인 데 며칠 전 뇌출혈로 죽었답니다. 난 전혀 안가는 그 쪽 모임 사이트가 있어 가 봤더니 사...
    Date2012.03.05 By엄수호 Views1376 Votes1
    Read More
  10. 오랜만에 집에서 놀고 있습니다만...

    3월 1일 부로 하얀손이 되어 집에 있습니다만... 인두 잡을 틈이 안생기네요 ㅠㅠ 이때가 기회 인줄 아는 마눌께서 가구 옮겨라, 방 정리해라... 일 할때 보다 더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덕분에 방 정리하다가 아래와 같은 책도 발견 하고요 OP암프ㅎㅎ...
    Date2012.03.06 By이호천 Views1630 Votes1
    Read More
  11. 제가 생각하는 하스 로고 입니다.

    제가 생각하는 하스 로고 입니다. 이번 탈레마 기판에 들어갑니다. 이것을 기판 만들때 사용할까 합니다.
    Date2012.03.09 By이복열 Views1648 Votes1
    Read More
  12. 관심이 간다는분 때문에 만들어보는 앰프 1

    고마우신분이 보내주셔서 오늘 만들어 보고 있습니다. 가지고 있는 오테 헤드폰앰프에 잘 어울릴듯 해서 재구님이 소개해주신 앰프라 다들 알고 계실듯 합니다. 잘 받았습니다 기판과 부품보내주신 회원님 (감사합니다) 또한 중요부품 한셋트 보내주신(권재구...
    Date2012.03.09 By김상록 Views1766 Votes1
    Read More
  13. No Image

    몇일전 인터넷 기사에...

    영국에서 초저가 PC라고 '라즈베리 파이'라는 게 나왔더군요..(4마넌) 기사링크 가격이 상당히 저렴한데 이것이 알릭스 대체용 할 수 있으면 상당히 저렴하게 pcfi 구축할 수 있겠습니다. ㅎㅎ 아직 나온지 얼마 안되서 그런지 검색해보니 자료가 없네요..
    Date2012.03.11 By방민혁(hi851107) Views1956 Votes1
    Read More
  14. No Image

    하데스 소모전류량 측정

    하데스 트랜스 용량 18V=>1.5A, 7V=>2A 트랜스 용량도 알았고 하데스 각 보드별로 소모 전류량을 측정해 보았습니다. #표1 ------------------------------------------------------------------------------------ 전압 전류 3.3V 25mA 5.0V 32mA (DAC) ...
    Date2012.03.12 By전수현(wavejjun) Views2046 Votes1
    Read More
  15. 여유 기판의 활용...

    ㅎ.. 지난주 완성한 ODA를 보시고 대장님께서 그렇게 그냥 두면 위험하다고 하셔서 ODL 기판 중 아직 부품 올리지 않은 한장을 써포터를 이용해서 바닥으로 깔았습니다. 당장 한장은 만들 계획이 없으므로.. 케이스가 생기기 전까지는 그냥 이렇게 쓸까 생각중...
    Date2012.03.12 By박원웅 Views1593 Votes1
    Read More
  16. No Image

    자그만한 팁

    아노다이징 된 깜장모자노브 표시는 하셨나요? 하데스에 달았는 데 검은 색이라 볼륨위치 표시가 잘 안보입니다. 페인트로 하면 좋은 데 그걸 위해서 페인트 사지니 그렇고.... 수정액으로 살짝 표시하니 보기 좋습니다. 가지고 있는 수정액이 말라서 잘 안나...
    Date2012.03.14 By엄수호 Views1540 Votes1
    Read More
  17. No Image

    등업이 되고나서....

    등업이 되었는데... 18등급은 ....밟음도 이상하고... 아이콘은 더더욱이 요상시럽습네요... 혼자서 떨어져 나온 느낌인지... 대장님 이거 좀 너무한거 아닌가요? 이런소리하면...하스를 떠나라 할라나.....ㅋ 도토리 2개로 변하고...영 이상합니다.ㅋㅋ
    Date2012.03.14 By김상록 Views1616 Votes1
    Read More
  18. 헤드폰앰프 제작 2 (전원과 출력버퍼 작동,발열확인)

    전원부도 완성되었었고 와트정 버퍼도 완성되었으니 테스트 들어갑니다. 와트정 버퍼는 소리는 나중에 살펴보도록 하고 DC가 얼마나 나오는지, 열은 얼마나 나는지 정도만 점검합니다. 전원부는 이전에 작동을 확인했지만, 대부분의 전력을 소모하게 될 출력버...
    Date2012.03.25 By박도영 Views2126 Votes1
    Read More
  19. No Image

    SMD 저항 (EIA-96)표기법 입니다.

    오늘 방민혁님께서 정성들여 포장한 루비루나를 받고 의아해 했습니다.(오차를 알수있는 방법이 없어서...^^;) 제가 알고 있는 저항읽는법이 달라 잠깐 헤메고 정리해봅니다. 일반적인 1%(F급)SMD저항은 4자리이어야 하는데 크기가 많이 작아져서 표기가 어려...
    Date2012.03.17 By최성남 Views17150 Votes1
    Read More
  20. 하이브리드 프로젝트 보고 - 1

    리우데자네이루는 여름이 슬슬 끝나갑니다. 차기라고 하기엔 너무 오랫동안 앰프를 만들어보지 못했습니다. 하이브리드 앰프에 사용할 모래소자에 대해 이래저래 고민이 많았는데 대략 방향 정하고 부품 수급 중입니다. 하스분들이니 사진만 봐도 대략 감 잡...
    Date2012.03.18 By전일도 Views1586 Votes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 355 Next
/ 355
CLOSE
39390 5941623/ 오늘어제 전체     751077 79224033/ 오늘어제 전체 페이지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