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작] Jay-OD-L,Jay-OD-A 완성

by 이복열 posted Jan 26, 201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이제사 자작기 올립니다.
만들고 나서 험이 좀 나는 걸 잡느라고 늦었습니다.
험 원흉은 누구와 딜한 볼륨 접촉문제와 뉴트릭 잭 접촉불량입니다.
뉴트릭 경우 하도 오랜된 것을 사용하다 보니 핀이 오래된 산화된 것을 그냥 삽입하고
납땜하면서 진하게 지져주었는데도 미세한 접촉불량이 있었나 봅니다.
더 진하게 혹은 교체까지 갔습니다.
특히 뉴트릭잭은 삽입시 산화정도들 잘 보시고 플럭스로 잘 닦아준 다음 사용하시고,
볼륨 역시 재 사용품은 꼼꼼히 잘 보시고 삽입하시기 바랍니다.
결과적으로  두 좀 모두 험 전혀 없다로 판단되고 소리 또한 자기 소리를 내어줍니다.

자작기라 할 것도 없지만 회로도와 부품리스트를 첨부합니다.
또한 기판 오류도 진행 중에 쓴 대로 아래에서 설명드립니다.

 

제작 순서

1.   일단 전원부 부터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1) Jay-OD-L
          Jay-OD-A 와 달리 전원부가 기본을 갖추고 있습니다.
          15V*2 에 25VA 를 사용합니다.
          전류로 따진다면 1.67A(각 832mA) 가 됩니다.(계산은 25VA/15V=1.67A)
          사실 좀 오버 스펙입니다.
          그러나 기판에서 보듯이 앰프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외부전원부로 사용하도록 
          뉴트릭단자(XLR 하스 통일 전원부)를 이용해 외부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버전입니다.
          잘 동작합니다.
      2) Jay-OD-A
          여기에는 그냥 15V*2, 10VA를 사용했습니다.
          이 정도면 된다고 가정해서 사용하였고 별문제 없습니다.
          만드실 때 전원부를 꼼곰하게 회로보면서 따져 보고 시작하시면 됩니다.
          앰프부를 만드시기 전 꼭 먼저 만드신 후 다음 단계로 넘어가셔야 대형사고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2. 앰프부

     역시 부품 구입이 문제입니다.
     일단 기판을 먼저 구하신 후 기판상에 들어갈 부품과 자기가 가지고 있는 부품 리드선 간격을
     잘 체크하시거나, 그에 맞는 부품을 구입하셔야 합니다.
     구하기 어려운 기구물은 시간되는 데로 제가 혹은 다른 분이 공구 진행할것으로 봅니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을 하시면 한층 자작의 어려움과 기쁨을 느끼실 겁니다.
      특히나 저항 리드길이 콘덴서 폭등 맞게 구하는 것이 그리 만만치 않습니다.
      고급으로 하시던, 평범한것으로 하시는 것은 자작자 의도대로 하시면 됩니다.
      요사이 부품 사이트가 많아서 아마도 원하시는 것으로 구하실 수  있을겁니다.
      단 회로대로 충실히 따라 구입하시고, 성공하시고 나서 생각해  보시고 이것은 저것이 좋다 확신하면
      그대로 하시면 됩니다. 처음부터 자기 방식대로 하면 제대로 되지 않는다는 말이 나올수 있습니다.
 
3. 마지막 점검

    PCB 기판이 홀과 동판면적 사이가 좁기 때문에
    납땜을 신중하게 하셔야 합니다.
    저는 한개 납땜하고 루뻬로 보면서 확인하면서 작업했습니다.
 
    기판상에 부속의 명칭과 용량은 잘 적어놓았으니 그리 큰 문제는 없을겁니다.
    그러나 점검하시면서 하나 하나 꼽으시는것이 성공하는 비결입니다.
    이렇게 하시면 시간이 좀 걸리지만, 나중에 고생하지 않습니다.
    일단  실수로 다른 위치에 삽입한 경우 다시 빼서 한다는 것은 그리 쉽지 않을 뿐 더러
    시간상 엄청 걸리며 납땜이 무난하게 잘 되지 않고 옆 홀과 부딪 칠 수 있습니다.
 
4. 우려했던 점

    올인원으로 하면서 우려했던 점은 파워부와 앰프가 같은 기판상에 있으므로 노이즈, 험 유입이
    걱정이었지만, 다행히 그런 일은 없었습니다. 여기서 암베코가 한몫합니다.
    조금 비싸도 권장합니다.(기판상에 골드핀 자리도 마련해 놓았지만, 추천하지 않습니다. 일반 트랜스 사용할 수 있게)
 
    회로적인 것도 원 기판상에 에러가 있는것으로 압니다.
    그러나 제가 다시 회로그리고, 다시 하면서  점검을 해서 그런지 프린트 한 곳만 잘못된 점 말고는 없어서
    무사히 성공한 듯 합니다. (저항 문제로 엠프부에서 한시간 잡아먹었습니다.프린팅 잘못으로)
 
    한가지 더 하면 파워스위치로 사용하는 토글 스위치인데 이것이 250V 3A용입니다.
    너무 작아서 우려했지만 여러 번 조작해본 결과 별 문제가 없습니다.
    간혹 요렇게 생긴놈이 있는데 AC용과 DC용이 있습니다.
    대개 DC용은 금색 도금이 되어있고, AC 용은 그냥 주석도금 입니다.
 
    결과로 볼 때 완전 성공입니다.
    저 위에 적은대로 볼륨과 잭 해결후 노이즈 0 입니다.(두놈다 전 볼륨에서....)
    그리고 DC Out 역시 우려하던 것과 달리 아주 미세합니다.
 
5. 소리 성향
    이는 누구도 말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헤드폰 앰프라는게 엠프에 무슨 헤드퐅으로 듣느냐에 따라 그 성향이 달라집니다.
    디스크리트 방식은 그 방식대로,오피앰프 기반은 그 성향대로 맞는 헤드폰이 있습니다.
    이것 저것 다 만족은 하지못합니다.
    이 두놈역시 소리 성향은 디스크리트 방식을 벗어나지는 못합니다.
    진행에서 말한대로 Jay-OD-L 는 찰랑찰랑한 강한 쪽인 반면 
    Jay-OD-A 는 약간 한단계 낮은 소리입니다.(클래식에 맞다고 하나요...)
    당연히 그럴 것이 전원부쪽 차이가 있습니다.
    이 차이가 아마도 이런 결과로 나타나나 봅니다.
    참고로 저는 젠하이저 HD-598 사용중입니다.
    두 엠프 공히 저임피이던스 헤드폰에서는 그리 권장하지 않습니다.
    50옴이상을 권장합니다. 저임피이던스는 환경에 따라  화이트 노이즈가 약간 들어올 때도 있습니다.
    제 경우 홀로 있으면 없는데 다른  앰프와 붙어있으면 (앰프위에 케이스 없이 바로 올려놓았을 때) 발생합니다.(아주 미약)
    Jay-OD-L 인 경우 게인 조절용이 있어서 이에 적당합니다.
    딮스위치 2개가  이것을 맡고 있습니다.
    2.2K쪽으로 할경우 게인 3.13이고 680옴으로 할경우 7.9 정도 나옵니다.
    이는 회로도에 있으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저는 680옴에서 대 만족입니다.
 
    다시 말씀드리만 소리성향은 다 각자 환경 생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겁니다.
    제가 느끼는 것은 QRV 보아 한수 낮다고 봅니다.
    또한 오피엠프기반와 비교하기는 그렇지만 듣는 곡의  취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겁니다.
    평가는 각자가 하시면 됩니다.
    나한테 맞지 않다고 다른 분한테  맞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회로가 많이 만들어지는 것은 그리 복잡하지 않고, 어느 정도 성능을
    보여주기 때문에 많이 자작하지 않나 생각해 봅니다.
 
6. 결론

    하도 자작기를 오랫만에 쓰다 보니 그냥 횡설 수설 하다 끝났나 봅니다.
    시간되면 조금 조금 수정하겠습니다.
 
7.  프린트 오류와 수정해야 할곳들

     1) Jay-OD-L
          . 필터부 홀 :  너무 작게하여서 1.5mm정도로 넓혀주셔야 합니다.
          . 퓨즈 부분 :  아래 사진과 같이 패턴이 없습니다.
                                 자동퓨즈(바리스터 사용시) 연결해주어야 하나 퓨즈홀더 사용시는
                                 홀만 퓨즈에 맞게 넓혀주시면 됩니다.
           . 다이오드 삽입 홀 : 역시 3A이상 다이오드 사용시 다이오드 리드선 굵기 만큼 넓혀주셔야 합니다.
                                              1A짜리 작은놈은 그냥 삽입해도 됩니다. (1A 사용시도 문제 없을것으로 아나 3A권장합니다.)     
        
            . RCA 잭 : 우리가 사용하는 검은색 잭으로 뒤쪽 2다리가 들어가는 홀이 적습니다.
                              고정용이므로 적당히 넓혀서 삽입하시면 됩니다.     
             . 프린트 오류 : 관계없음
  
         2) Jay-OD-A
              . 필터부 홀 :  너무 작게하여서 1.5mm정도로 넓혀주셔야 합니다. 
              . 퓨즈 부분 :  홀만 퓨즈에 맞게 넓혀주시면 됩니다.
              . 다이오드 삽입 홀 : 역시 3A이상 다이오드 사용시 다이오드 리드선 굵기 만큼 넓혀주셔야 합니다.
                                                  1A짜리 작은놈은 그냥 삽입해도 됩니다. (1A 사용시도 문제 없을것으로 아나 3A권장합니다.)
       
               . RCA 잭 : 관계없음     
 
                .프린트 오류 : 아래 사진에서 47->47K옴으로 수정

수정해야 할곳

  

 사진 저항 47 부분
 

Jay-OD-A PCB 전면_버그.jpg

 

 사진 퓨즈 부분

 

Jay-OD-A PCB 후면 버그_01.jpg

  
3) 공통사항
  회로를 검토하시다보면 가상접지 부분이  있습니다.
  이는 안전하게회로기판의 접지와 케이스등에 접지하는경우 사용됩니다.
  회로대로 치수 적용하면 됩니다.
  
  전면 발광 다이오드 : 역시 회로대로 하면 됩니다.
  프린트상으로 15K로 나와있는데 너무 어두우니 4.7K로 수정하시면 됩니다.
       
  첨부한 회로도가 정확하니 이를 근거로 하시면 됩니다.
  
4) 공제할 PCB는 위 버그 수정판이고 리비전 B라 기판에 표시될 예정입니다.
  결과적로 위는 샘플 기판에서의 버그입니다.
  아무리 조심한다해도  이런일이 발생합니다.다행이 회로적으로 오패턴은 없어 다행입니다.

  
완성품 사진 감상

 

되도록 여러부분을 촬여하여 올렸으니 잘 보시면 무슨 부품인지도 알수 있을겁니다.
예외적으로 재고품(저한테) RCA 단자 WBT0234 외는 다 같습니다.
 
전원부 완성후

 

Jay-OD-A_01.jpg

 

Jay-OD-A_02.jpg

 

Jay-OD-L_01.jpg

 

Jay-OD-L_02.jpg

 

Jay-OD-L_03.jpg

 

Jay-OD-L_04.jpg

 

Jay-OD-L_05.jpg

 

 

최종 완성후 (Jay-OD-A 와 Jay-OD-L)
 

Jay-OD-A_L_01.jpg

 

Jay-OD-A_L_02.jpg

 

 

최종 완성후 Jay-OD-A 모습들

 

Jay-OD-A_01.jpg

 

Jay-OD-A_02.jpg

 

Jay-OD-A_03.jpg

 

Jay-OD-A_04.jpg

 

Jay-OD-A_05.jpg

 

Jay-OD-A_06.jpg

 

Jay-OD-A_07.jpg

 

Jay-OD-A_08.jpg

 

Jay-OD-A_09.jpg

 

최종 완성후 Jay-OD-L 모습들

 

Jay-OD-L_01.jpg

 

Jay-OD-L_02.jpg

 

Jay-OD-L_03.jpg

 

Jay-OD-L_04.jpg

 

Jay-OD-L_05.jpg

 

Jay-OD-L_06.jpg

 

Jay-OD-L_07.jpg

 

Jay-OD-L_08.jpg

 

Jay-OD-L_09.jpg

 

Jay-OD-L_10.jpg

 

Jay-OD-L_12.jpg

 

Jay-OD-L_13.jpg

 

 

 

Jay-OD-L_15.jpg

 

  
p.s.  2011년01월 27일 새벽 음악감상

 

현재 Come On Over_Olivia Newton-John 를 Jay-OD-A로 듣고 있는데 저위에 말한거와는 달리 QRV 와 충분히 맞짱떠도 될듯합니다.

아주 강할때는 강하게 약할때는 약하게 잘 들려옵니다.

올리비아의 목소리를 잘 들려줍니다.

현재 제서재가 조금 추운편인데 출력석이나 전원부 약간 미지근함을 겨우 느낄 정도입니다.

이정도면 발열문제도 해결된듯 합니다.(2시간 정도 경과후)

 

조금전은 Jay-OD-L로 들은후 지금은 A 입니다만 A가 L보다 더 정돈된 느낌이 납니다.

이상입니다.

 

p.s.2

 

첨부파일 맨 하단에 회로도와 부품 리스트 올려져 있습니다.

첨부파일은 일반회원은 다운이 되지 않습니다.

이는 일반회원이 하스 적용기간후 사용하도록 한 조치입니다.

앞으로 하스 공제/공구는  준회원이상으로 하게 되므로

미리 조치합니다.

또한 첨부한 파일의 공개는 피해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