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6837 추천 수 0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소개] 구보다(Kubota) 변형 양전원장치 - 신정섭

원래 따로 소개할 계획이 없었던 것인데 궁금해 하시는 분이 계서서 올립니다.

"Semi-구보다 자작기"에서 제안했던 것처럼 (+)전원 2개로 구성한 양전원은 아니고 정식으로 (+)전원, (-)전원으로 양전원을 구성한 것입니다.
물론 회로는 오리지널 구보다 및 세미-구보다 전원과 기본적으로 같은 것이고, (+)전원엔 IRF530, (-)전원엔 IRF9530을 썼습니다.
그러므로 자세한 내용은 "Semi-구보다 전원 자작기"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추가 2006.1.9: 오리지널 Kubota 양전원은 다음에 완전한 회로도가 있습니다. http://www.diyaudio.com/forums/showthread.php?s=&threadid=33979 )

한편 위에 그려진 것은 만능기판용 실체 배선도는 아닙니다.
실제로 에칭용 PCB Layout을 위해 제가 사용하는 밑그림 실체 배선도라고 보시면 맞습니다.

이전글에서 말씀드린대로 이 기판의 크기는 "필요이상"으로 작아서 51.5 x 46 mm 입니다.
실체 배선도를 보시다시피 정말로 촘촘 그자체 입니다.
특히나 특정 부품의 크기에 맞도로 구성된 것이라 부품이나 방열판의 사용이 극히 제한적입니다.

저는 재미로 만든 것이므로 이러한 배치는 결코 권장하지 않습니다.
게다가 열이 나는 곳과는 가급적 띄워서 배치시키는 것이 더욱 좋습니다.
그러므로 그냥 눈요기로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

이번 양전원 버젼을 만들면서 Tr들은 2n3904/2n3906을 사용했습니다.
한편, 부품중 JFET 머리통을 하얀색으로 칠한 것은,
제가 JFET 구입후에 Idss를 측정하여 기록하기 위해 하얀 Correction 펜으로 칠한 후 거기다가 Idss를 써넣기 때문입니다.

또한 제 경험과 diyaudio에서 읽은 내용에 의하면 범용 JFET 소자들은 gds 다리중 d(drain)와 s(source)의 구별 없이 대칭적인 구조라고 하더군요. (하지만 고주파용 JFET는 구별이 있다함.) 즉 2sk30A나 2sk117 같은 dgs 다리배열 또는 sgd 다리배열의 JFET는 180도 돌려서 달아도 아무 문제가 없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위 실체 배선도 및 부품 실장에서 그런 방향성을 무시하고 편한대로 위치시킨 것임을 밝힙니다.

그럼.
즐자작 되시길...
  • ?
    박찬영 2004.01.29 23:03
    정말 컴팩트하군. 소형 케이스에 장착하기에 딱일 것 같습니다.
    정섭님의 스타일답습니다.
    emoticon_060
  • ?
    안은상 2004.01.30 00:18
    감사합니다. 연초에 바쁘실텐데 이렇게....
  • ?
    손창원 2004.01.30 00:20
    입력전원핀이 콘덴서에 너무 붙었군요. 핀 삽입하시기 어려울듯
  • ?
    신정섭 2004.01.30 00:46
    헤헤헤. 저도 만들고 나서는 너무 붙여놓은 것 같아서 걱정했는데 실제로는 별 불편없이 잘 삽입되더군요.^^
    하여간 "실패작"입니다.
  • ?
    이복열 2004.01.30 07:14
    헤헤헤 실패작 이라니요...
    절대 아닙니다.emoticon_076
  • ?
    김문정 2004.09.06 20:41
    멋있게 생겼네요...ㅎ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최근 수정일 최종 글 아이디 이름 추천 수
89 [소개] 방열판 온도 계산법 5 2 신정섭 2002.06.04 10379 2020.04.09 2020.04.09 sijosae 신정섭 0
88 [정보] 시중구입 가능한 앰프제작 관련 책 12 신정섭 2003.02.28 10338 2003.02.28 2003.02.28 sijosae 신정섭 0
87 [제작법] Eaton Amp 33 신정섭 2002.09.23 10243 2002.09.23 2002.09.23 sijosae 신정섭 0
86 [잡설] 헤드폰앰프 자작정신 10계명 7 신정섭 2002.05.29 10205 2015.08.30 2015.08.30(by 박재혁) sijosae 신정섭 0
85 [DIY] OP-Amp(Dual or Single) to BUF634 Converter v2.0 6 file 신정섭 2003.09.20 10171 2003.09.20 2003.09.20 sijosae 신정섭 0
84 [제안] New LM317 Voltage Reference Idea 2 file 신정섭 2005.02.18 10162 2005.02.18 2005.02.18 sijosae 신정섭 0
83 [Tip] 절연시트 자작 16 file 신정섭 2003.10.23 10039 2003.10.23 2003.10.23 sijosae 신정섭 0
82 [소개] SMD형 OP-Amp Soldering 10 신정섭 2002.07.26 9969 2002.07.26 2002.07.26 sijosae 신정섭 0
81 [실체배선도] Tomo version Szekeres --> Next Project 29 신정섭 2002.06.16 9893 2002.06.16 2002.06.16 sijosae 신정섭 0
80 [소개] Gilmore Amp in Altoids Tin ver. 2.0 12 44 신정섭 2003.02.05 9834 2003.02.05 2003.02.05 sijosae 신정섭 0
79 [자료] 지금까지의 제 주요 PCB Layout 들... 10 file 신정섭 2003.05.07 9770 2003.05.07 2003.05.07 sijosae 신정섭 0
78 [정보] Constant Current Source (CCS) 기본 회로들... 1 1 신정섭 2003.03.19 9739 2003.03.19 2003.03.19 sijosae 신정섭 0
77 [사진] 이것이 OP-Amp의 나체 6 신정섭 2002.06.17 9720 2020.04.09 2020.04.09 sijosae 신정섭 0
76 [잡설] 납땜시 범하기 쉬운 실수 21 63 신정섭 2002.12.01 9709 2002.12.01 2002.12.01 sijosae 신정섭 0
75 [정보] 초보자를 위한 두권의 책 11 file 신정섭 2004.10.28 9544 2004.10.28 2004.10.28 sijosae 신정섭 0
74 [소개] Kumisa III in a Mint Tin 12 41 file 신정섭 2003.08.01 9410 2003.08.01 2003.08.01 sijosae 신정섭 0
73 [절두 방황기] PCB Etching... 24 신정섭 2002.08.06 9384 2002.08.06 2002.08.06 sijosae 신정섭 0
72 [실체배선도] Simplified Gilmore Amp 제안 18 신정섭 2003.01.22 9340 2012.02.29 2012.02.29(by 김경연) sijosae 신정섭 0
71 [기쁜소식] Chu Moy에게서 온 메일... 신정섭 2002.05.29 9241 2002.05.29   sijosae 신정섭 0
70 [제작법] Meier's Natural Crossfeed Filter 15 신정섭 2002.09.01 9070 2002.09.01 2002.09.01 sijosae 신정섭 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Next
/ 13
CLOSE
190120 5941384/ 오늘어제 전체     402733 79223283/ 오늘어제 전체 페이지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