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4124 추천 수 0 댓글 1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소개] 하스만세(HSMS) Amp ver.2.1 - 신정섭


이것은 하스만세 v2.0의 완성도를 좀더 높이고,
더욱 유연성있고 재미있는 성인 장난감(?)이 될 수 있도록 구상한 것입니다.
실제로 제작한 것은 없고 회로와 배선도만 간단히 설명드립니다.

이번 v2.1에서의 컨셉은 만능앰프입니다. 다른 말로는 변신앰프이기도 하고요.

한편, 전에 v2.0의 모든 회로를 Headwize에 PC로 그려서 소개한 덕에,
여기서는 과거 손으로 그린 회로가 아닙니다. (그리고 보니 손으로 그린 것보다 낫군요. ㅋㅋㅋ)


v2.1 앰프부 회로도
==================
바뀌었다기 보다 추가된 것이 있습니다. 범용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중간중간 저항이나 콘덴서를 몇개 넣은 것 뿐입니다. 참고로 밑에 듀얼 OP앰프를 이용한 가상접지 양전원부 회로도 같이 포함시켰습니다.


노란색으로 음영이 되어 있는 부품은 현재 제가 기본사양으로는 사용하지 않는(즉, 비워두거나 Short시킴) 부품들로 향후 응용을 위해 예비한 부분이라는 의미입니다.

보시면 알 수 있듯이 소켓화 하여 앰프를 제작하면,
이 앰프로 부터 상당히 많은 앰프를 만들 수 있습니다.
제가 지금까지 만들었던 대부분의 앰프라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입니다.
예를들면 특정 부품 자리를 비워두거나 단순히 Short 시킴으로써 Basic CMOY 부터 Meier 또는 짜메42까지도 원문 회로와 동일하게 제작이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이놈 하나를 만들어 두면 다양한 앰프를 아주 손쉽게 맛볼 수 있습니다.


버퍼모듈부 회로도
=================
제가 지금까지 만들어 보았던 버퍼모듈의 회로도들입니다.



v2.1 증폭부 실체배선도
======================
이번엔 아예 출력 버퍼단에도 증폭기능의 OP앰프를 장착할 수 있도록 GND 선을 터미널화하였습니다. 그러나 거의 소용되는 일은 없을 것입니다. 그놈의 "완성도" 때문에 점퍼선이 늘어나는 고통을 감수하고 포함시킨 것입니다. 한편, 과거 v2.0에 비해 버퍼모듈과의 연결 소켓 간격이 좀 늘어났습니다만 그것을 고려하여 제작하면 문제되는 점은 없을 것입니다.


한편, 위 배선도에 부품 용량표기중 "X or R3"와 같은 표현은 그냥 비워두거나 R3의 저항을 사용하라는 뜻이고, "0 or R2"와 같은 표현은 Short 시키거나 R2 저항을 사용하라는 뜻입니다. "0~120"은 0~120옴 사이에 어느 것을 두어도 좋으니 마음에 드는 소리가 나오는 용량으로 꽂으시라는 뜻입니다.


Buffer 모듈 실체배선도
======================
이 모듈들의 증폭부와 연결 소켓간격은 v2.0기준으로 만든 것이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뭐 v2.1 기준으로 소켓간격을 반드실 늘리실 필요는 없을 것입니다.

또한 TR들은 2SC1815, 2SC1015와 같은 ECB 배열의 TR 기준으로 그린 것이니 다른 대체 TR이면 어떤 것이든 OK입니다. 각자 EBC 배열 기준으로 배선도를 수정하시는 것도 크게 어려운 작업은 아니고요...

한편, 맨아래에는 Meier의 Crossfeed를 장착한 OP앰프 버퍼 모듈도 있습니다.(단, 이 모듈 이용시는 Global Loop대신 Local Loop를 사용해야 함. 후술합니다.) 보시다시피 OP앰프를 Class-A로 구동하기 위한 Current Source도 장착되어 있습니다.




Meier Crossfeed + OP앰프 Buffer
===============================
위의 실체 배선도대로 만들어 보았던 모듈입니다.
한편, Crossfeed는 Global Loop안에 두면 작동되지 않습니다. 이에 관해서는 바로 뒤에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제작시 Comments
==================

- 현준님도 언급이 있으셨지만 하스만세 앰프를 주물럭 거리면서 알게된 몇가지 중요사실이 있습니다. (그러나 맞는다는 보장이 없음)

1. Discrete Buffer는 Multi Loop와 친하지 않다.
2. OP앰프 Buffer는 Global Loop와 친하지 않다. (그러나 OP앰프마다 차이가 있음)
3. Buffer IC는 Multi Loop 및 Global Loop와 사이가 나쁘지 않다.
4. Discrete Buffer는 Loop내에 두어야 한다.
5. Crossfeed는 Loop내에 두면 안된다.

이와 같이 여러가지 법칙이 있기 때문에 Global-Loop, Local-Loop, Multi-Loop를 자유자재로 넘나들 수 있도록 수정한 것이 이번 v2.1입니다.

참고로 제가 앞의 사진과 같은 Crossfeed + OP앰프 버퍼모듈을 사용할 경우는 위와 같은 법칙들에 근거하여 Global Loop를 죽이고 Local Loop로 작동시키는 것입니다.

-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Loop의 예를 보이면;

1. Local Loop: Feedback Loop내에 OP앰프 자신 및 수동소자 정도만 있는 것 (예: Meier 앰프)
2. Global Loop: Feedback Loop내에 다른 OP앰프나 버퍼가 있는 것 (예: BUF634 datasheet에 있는 OP앰프+BUF634 구성의 헤드폰 앰프)
3. Multi Loop: Local Loop와 Global Loop가 혼재하는 회로 (예: META42)


이 앰프는 현재 Tomo Szekeres와 함께 제 Main입니다.
실제로는 최근 몇주째 하스만세v2.0만 듣고 있지만요...
그럼 이 많은 버퍼 모듈중에 어떤 조합으로 사용하느냐고요?

현재 저는 과거 하스만세v2.0에서,
"AD823을 이용한 Meier앰프 증폭단 + AB급 동작으로 개조한 Diamond Buffer"입니다.
증폭단의 CCS로는 LM317LZ을 이용하였고요...
출력버퍼의 Idle Current는 25mA까지 올려서 뜨끈뜨끈하게 듣고 있습니다.

너무나 만족스럽습니다.
특히 Walt Jung의 버퍼는 여러분들께 추천해 드리는데,
저는 이와같이 단순화하여 개조한 Diamond Buffer로 아주 만족하여 듣고 있습니다.
물론 "니들이 Jung's Buffer 맛을 알아?"라고 한다면 저도 할말은 없지만요...


그럼,
즐음, 즐자작, 하스만세~~~
  • ?
    이복열 2000.10.24 00:00
    정섭님 수고 많으셨습니다.아직까지의 작품 정리가 아닌가 생각합니다.많은 헤드폰 앰프를 자작하는 메니아님 한테 큰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다시 한번 메니아 정신에 존경을 표합니다.
  • ?
    노현준 2000.10.24 00:00
    헤드폰 앰프의 바이블!!!!! 위에 대장님 말씀처럼 저역시 존경을 표하고 싶습니다.. (/^________^)/ 만쉐이~
  • ?
    정귀홍 2000.10.24 00:00
    멋집니다... ^^ 언젠가는 도전해 보고 싶습니다. 정섭님의 글은 감미로운 자극제 입니다..^^;
  • ?
    박은서 2000.10.24 00:00
    맛을봐야 맛을 알터인데.. 후훕. 만세!
  • ?
    이동엽 2000.10.25 00:00
    이제껏 나온 앰프들의 집대성이군요. 무척 존경스럽습니다. 정섭님이 있어 음악이 즐겁습니다. ^^
  • ?
    강성훈 2000.10.25 00:00
    마이어 이후에 메가톤급 힛트작이 좀약한것 같습니다...아마 정섭님이 너무 앞서가시는것이 이유일듯싶어요^^;..그나저나 곳 100번째 게시물이 올라오겠군요..
  • ?
    강성훈 2000.10.25 00:00
    무슨 기념할뻔한 작품이나 이벤트라도..... 그상중이신지...정섭님 잉르 걸린 마이어를 뛰어넘는 힛트작 기대 하겠습니다..^^;;
  • ?
    강성훈 2000.10.25 00:00
    그상->구상, 잉르->이름
  • ?
    신정섭 2000.10.25 00:00
    아. 말씀들 감사합니다. 한편 뭐 특별하게 생각되는 밑천은 전혀 없고 100번에 별다른 의미는 두지 않습니다만 아무래도 제가 한 "짓"들을 곰곰히 생각해 보는 계기는 될 듯 싶네요
  • ?
    박병권 2000.10.29 00:00
    모듈 실체배선도 초기입력단 저항 두개 위치가 바뀐것 같은데요
  • ?
    신정섭 2000.10.29 00:00
    앗. 병권님 감사.... 오른쪽에 저항이 뒤바뀌어 있었네요. 이것으로 피해보신 분 없으시길 바랍니다. 죄송...ㅠ.ㅠ
  • ?
    신정섭 2000.10.31 00:00
    죄송합니다. 하스에서 손님덧글은 삭제입니다
  • ?
    조광옥 2000.10.31 00:00
    CRD라는게 구할수가 없군요. 대체품이나 제외하고 만들 수는 없습니까(지방인데 재고가 없어서....)
  • ?
    신정섭 2000.11.01 00:00
    아예 제외하고 만드셔도 됩니다. 한편 63번 글에 LM317로 대체하는 방법도 나와있습니다. 제가 현재 그렇게 쓰고 있고요...
  • ?
    박병권 2000.11.09 00:00
    모듈에서 R1과 1K 이어주셔야 할것 같습니다...
  • ?
    신정섭 2000.11.10 00:00
    헉. 이번에 제가 실수가 많습니다. 배선도 수정했습니다. 다시한번 병권님 감사합니다.
  • ?
    박병권 2000.11.10 00:00
    353+diamond버퍼의 조합에서 dc출력이 예술입니다...(0.03 0.04) 정말 하스만세 입니다~^^
  • ?
    신정섭 2000.11.10 00:00
    헉. 만드셨군요. 마음에 드리시라 생각합니다. 저는 이놈이 좋아서 계속 이놈만 듣고 있어요. 다른 아무 생각이 안드네요. 인두질을 쉬고 있는 이유중에도 하나고...
  • ?
    심호철 2003.11.07 15:20
    하나만들어보려고 검색해보니 가장 평이 좋더군요.^^ 근디 이정도만 보고 만들수 가 잇을런지 걱정입니다.
    부품 리스트나 부품을 구할 수 있는곳은 어디서 일 수 있는지요? 혹시 입력 볼륨을 100K로 쓰면 안되는건지요?
    진공관자작용으로쓰던 DACT가 잇긴한데...아까워서

  1. [제작법] Gilmore Amp

    [제작법] Gilmore Amp - 신정섭 이것은 디스크리트 구성의 순A급구동 헤드폰 앰프입니다. 원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http://headwize.com/projects/showproj.php?file=gilmore3_prj.htm 그런데 원문의 PCB Layout에 오류가 있습니다. (맨위의 TR 두개를 잘못 ...
    Date2002.09.07 By신정섭 Views15522 Votes0
    Read More
  2. No Image

    [소개] Amp(or Source) Selector or Output Selector

    [소개] Amp(or Source) Selector or Output Selector - 신정섭 만든 Headphone Amp들의 Blind Test에 사용할 수도 있고, Amp Selector 아니면 두개의 Source 들을 번갈아 가며 선택할 수도 있으며, Source Selector 거꾸로 사용하면 두가지 출력중 하나로 선...
    Date2002.09.10 By신정섭 Views6290 Votes0
    Read More
  3. No Image

    [조립기] Simpson Amp

    [조립기] Simpson Amp - 신정섭 먼저 이승윤님의 홈페이지인 www.diymania.net에서 좋은 활동을 하고 계신 박준규님과 김규겸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박준규님은 Simpson PCB를 제게 보내주셨었고, 그뒤에 김규겸님은 앰프부 및 전원부 기판은 물론이고 O...
    Date2002.09.19 By신정섭 Views7618 Votes0
    Read More
  4. No Image

    [제작기] 하스만세(HSMS) Amp - ver 1.1

    [제작기] 하스만세(HSMS) Amp - 신정섭 ** 추가: 기존 v1.0글에서 TO-126형의 TR을 적용하기엔 실체배선도에서 열결합상 부자연스러운 문제가 있으므로 아예 TO-126형 TR의 사용을 배제하고 글을 다시 씁니다. (뭐 안되는 것은 아닙니다.) 즉, ver.1.1에서 음...
    Date2002.09.20 By신정섭 Views11966 Votes0
    Read More
  5. No Image

    [제작법] Eaton Amp

    [제작법] Eaton Amp - 신정섭 이제 앞으로는 앰프를 만드느라고 시간내기가 어려울 듯하여, 추석연휴가 끝나는 날 만들게 되었습니다. 이 앰프는 아래 Simpson 앰프나 하스만세 앰프와 맥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아래 하스만세 앰프의 제작...
    Date2002.09.23 By신정섭 Views10243 Votes0
    Read More
  6. No Image

    [실체배선도] Simplified Simpson Amp

    [실체배선도] Simplified Simpson Amp - 신정섭 이것은 제가 실제로 만들어 보진 않았고 단지 배선도만 그려서 소개하는 것입니다. 몇번 확인은 했습니다만 그래도 검증되지 않은 배선도임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원래 DIYmania 버젼의 Simpson 앰프를 제작...
    Date2002.09.28 By신정섭 Views8278 Votes0
    Read More
  7. No Image

    [소개] 이번 TLE2426 공구에서의 포장법

    [소개] 이번 TLE2426 공구에서의 포장법 - 신정섭 이번에 20여명이 넘는 우편물을 발송하면서 어떻게 하면 이 작은 부품들을, - 가볍고 - 싸고 - 얇고 - 쉽고 - 빠르게 포장하겠는가 궁리하다가 제가 사용한 방법을 소개합니다. 받은 TLE2426 415알을 종이컵...
    Date2002.09.28 By신정섭 Views6406 Votes0
    Read More
  8. No Image

    [제작기] 하스만세(HSMS) Amp - ver 2.0

    [제작기] 하스만세(HSMS) Amp ver 2.0 - 신정섭 허접하나마 글을 수정하여 올립니다. 이번 소개에서는 이미지가 매우 많고 이글 자체가 상당한 분량의 자료가 아닐까 합니다. 많은 내용이 하스만세 v1.1과 중복되므로 그런 부분은 다시 기술하지 않겠으니 과...
    Date2002.10.06 By신정섭 Views12554 Votes0
    Read More
  9. No Image

    [소개] 병뚜껑 방열판...

    [소개] 병뚜껑 방열판... - 신정섭 콜라병이나 박카스병의 뚜껑으로 IRF510과 같은 TO-220형의 MOSFET이나, D669와 같은 TO-126형의 Power TR의 방열판 대신 쓰면 어떨까 하여 박카스(코카스) 뚜껑으로 한번 만들어 보았습니다. 뚜껑의 안쪽에 TR을 고정하고 ...
    Date2002.10.10 By신정섭 Views7066 Votes0
    Read More
  10. No Image

    [Tip] 휴대용 Meier, 짜메42에서 TLE2426 적용법

    [Tip] 휴대용 Meier, 짜메42에서 TLE2426 적용법 - 신정섭 휴대용 Meier와 짜메42는 배터리 2개를 직렬로 연결하여 그 중심점에서 접지선을 따옴으로써 전원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이런 방식은 45만원대의 헤드폰앰프인 Grado RA-1에서도 그대로 사용하고 있...
    Date2002.10.17 By신정섭 Views9044 Votes0
    Read More
  11. [제작법] 휴대용 Meier ver 2.1~2.5

    [제작법] 휴대용 Meier ver 2.1~2.5 - 신정섭 이역시 과거 Meier 글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오니 처음 읽으시는 분들은 과거 글부터 읽으시길 바랍니다. (그런데 Meier 관련 글이 벌써 여러개가 되어서 읽어야 할 분량이 많아졌네요) 이 글에서 소개하는 ve...
    Date2002.10.18 By신정섭 Views23788 Votes0
    Read More
  12. [실체배선도] 휴대/거치 겸용 Meier ver 3.0

    [실체배선도] 휴대/거치 겸용 Meier ver 3.0 - 신정섭 약속했던 것이 약간 후회는 되지만 약속은 약속이므로 소개드립니다. 공개하고 싶지 않은 이유는 만들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너무나 많은데, 그냥 따라서 만드실까봐 그렇습니다. 사실 제 성에 딱 차는 것...
    Date2002.10.23 By신정섭 Views19325 Votes0
    Read More
  13. [실체배선도] Jung의 Buffer 흉내내기...

    [실체배선도] Jung의 Buffer 흉내내기... - 신정섭 Walt Jung의 High Performance Buffer를 예전부터 만들고 싶다가, 현준님의 멋진 DJ 앰프를 보고서 더욱 마음에 불을 당기게 되었는데 솔직히 DJ 앰프를 보고서는 오히려 용기를 잃었습니다. 제대로 만들려...
    Date2002.10.23 By신정섭 Views12564 Votes0
    Read More
  14. [소개] 하스만세(HSMS) Amp - ver.2.1

    [소개] 하스만세(HSMS) Amp ver.2.1 - 신정섭 이것은 하스만세 v2.0의 완성도를 좀더 높이고, 더욱 유연성있고 재미있는 성인 장난감(?)이 될 수 있도록 구상한 것입니다. 실제로 제작한 것은 없고 회로와 배선도만 간단히 설명드립니다. 이번 v2.1에서의 컨...
    Date2002.10.24 By신정섭 Views24124 Votes0
    Read More
  15. No Image

    [수리기] HP890 및 고물 카세트데크 CK-7700

    [수리기] HP890 및 고물 카세트데크 CK-7700 - 신정섭 HP-890 수리기 ============= 아마 여기 많은 회원님들이 제가 필립스 HP890을 가지고 있고, 얼마전 고장난 상태라는 것을 아시고 계실 것입니다. 고장난 이유는 모르겠고 도저히 고장이 날 만한 환경도 ...
    Date2002.10.30 By신정섭 Views7625 Votes0
    Read More
  16. [소개] 볼륨 성능 측정장치(Volume Pot Tester?) 제작

    [소개] 볼륨 성능 측정장치 제작(Volume Pot Tester?) - 신정섭 하하하! 조금 오래간만에 글을 올립니다. 최근 제가 개인적으로 실험장치를 만드는 과정에서, 평소부터 만들면 좋겠다고 생각했던 측정 프로그램(또는 장치)을 곁가지로 만들었습니다. 측정 과...
    Date2002.11.21 By신정섭 Views7701 Votes0
    Read More
  17. No Image

    [소개] Buffer Amp들... - 임시

    [소개] Buffer Amp들... - 신정섭 그냥 누드형으로 계속 들어오다가 참치캔에 넣은 기념으로 사진을 찍는 김에, 전에 만들었던 유사 앰프들을 모두 모아서 소개합니다. 집에서 나오는데 옆집에서 집밖에 내어 놓은 쓰레기 더미속에 참치캔이 눈에 확 띄는 바...
    Date2002.11.22 By신정섭 Views10517 Votes0
    Read More
  18. [제작법] 휴대겸용 Diamond Buffer 앰프

    [제작법] 휴대겸용 Diamond Buffer 앰프 - 신정섭 오래간만에 앰프를 만들었습니다. "하스만세 v2.x" 앰프부터 줄곧 메인으로 듣고 있는 Diamond 앰프를 버퍼부만 떼어서 휴대용으로 구상을 하고 있었습니다. 이 경우, 예상되는 특징이 다음과 같았기 때문에 ...
    Date2002.11.24 By신정섭 Views28530 Votes0
    Read More
  19. No Image

    [잡설] 납땜시 범하기 쉬운 실수

    [잡설] 납땜시 범하기 쉬운 실수 - 신정섭 이 글에서는, 앰프를 아주 잘 만드시는 분들도 흔하게 범하는 실수를 하나 지적할까 합니다. 만약 이러한 납땜 습관으로도 아무 문제 없이 수많은 앰프나 기타 전자회로를 만드셨다면, 그것은 지금까지 운이 좋았기 ...
    Date2002.12.01 By신정섭 Views9709 Votes0
    Read More
  20. [소개] PCB Etching기 2탄

    [소개] PCB Etching기 2탄 - 신정섭 먼저 이글은 처음 2002.8월초 소개한, Laser Printer와 다리미(Electric Iron)를 이용한 PCB Etching 시도기에 관한 첫번째 글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되므로 그 글을 먼저 읽으시길 바랍니다. 다음의 내용으로 추가하여 그 ...
    Date2002.12.07 By신정섭 Views14295 Votes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Next
/ 13
53390 5941637/ 오늘어제 전체     1071077 79224065/ 오늘어제 전체 페이지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