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9384 추천 수 0 댓글 2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절두 방황기] PCB Etching... - 신정섭

제 상황을 많이들 아실테니 앞뒤 얘기 다 빼고,
절두로 상심한 마음에 경남님도 저를 어떻게 건드려보려고(?) 무척 노력하셨지만,
제 마음은 승우님의 최근 에칭작업과 은서님이 링크자료실에 올려주셨던 PCB 에칭법에 가 있었더랬습니다.

PnP 필름 구입에 대해서는 일단 천천히 알아보기로 하고,
급한 마음에 화공약품가게에 가서 염화제2철을 구입했습니다.
사실은 시내에 차몰고 가는데 우연히 화공가게가 보여서 차안에서 바로 전화로 판매여부를 확인하고,
차를 돌려서 산 것이지요. 제가 있는 도시에서 가장 혼잡한 로타리 한복판에서 비도 철철오고 주차하기 극악조건이었답니다. 그것이 불과 몇시간 전입니다.
다행히 소량씩 팔아서 좋았는데 엄청 바가지 쓴 것 같네요.
300cc에 5천원에 구입했습니다.


Artwork
========
한편, 은서님이 올려주신 자료를 보고,
그냥 회로도를 프린트한 맨 종이로는 안될까 해서 동박판에다가 인쇄한 회로를 다리미질 해 보았습니다.
원래 레이저프린터나 복사기는 정전기에 의해 붙은 토너가루를 열에 의해서 고착시키는 것이므로,
열을 다시 가하면 떨어져 가갈 것이 뻔했습니다.
다만 얼마나 떨어질 것이냐가 문제겠죠.
(한편 OHP 용지가 열에 강하므로 OHP 용지로도 해 보았는데 열과 압력을 가하니까 토너가 녹는지, 막 뭉게 지는군요. 그래서 OHP 용지는 제꼈습니다.)

먼저 생전 처음하는 에칭의 Target으로 정한 회로는 Single to Dual Converter입니다.
일단 에칭액과 기판이 최소로 들고,
충분히 정교하여 이놈이 성공하면 다른 복잡한 기판에 자신이 생길 것 같았습니다.

그런데 변변한 Artwork 프로그램이나 익숙한 캐드 프로그램이 없었으므로,
그냥 훈민정음으로 Artwork를 했습니다.
훈민정음은 꽤 정밀한 치수로 격자 생성기능이 있고, 격자간에만 이동되는 기능이 있어서 이렇게 정교한 배선도 가능합니다.

그래서 배선도를 프린트하여 동박판에 다리미질을 했는데,
에칭이 가능할 정도는 아니지만 생생하게 회로도가 새겨지더군요.
그래서 일단 이 새겨진 회로도, 즉 밑그림을 이용하여 구멍 자리를 Marking하거나 미리 뚫고,
가느다란 네임펜(일명 모나미 카드 네임펜)으로 그위에 제대로된 배선을 그렸습니다.

아참! 중요한 것이, 구멍을 뚫기 전에 정과 같이 뾰족한 도구로 구멍 자리의 홈을 내어 놓는 것이고,
가능하면 구멍은 에칭이 완료된 시점에서 뚫는 것이 제 경우는 더 낫겠더군요.




Etching
=======
열이 높을수록 에칭이 잘된다고 하므로,
에칭액을 위 사진처럼 필름통에 반 조금넘게 담은 후, 냉온수기에서 뜨거운 물을 1/3가량 담은 종이컵에 넣었습니다.
즉 중탕을 한 것입니다.
아. 염화제2철용액이 다행스럽게도 물보다 무겁더군요.
결과적으로 염화제2철의 온도는 40~50도 정도가 되었던 것 같습니다.
여기에 그려진 기판을 실로 묶어서 넣었습니다. 그래야 잠시 꺼내보면서 에칭된 정도를 확인하지요.
이렇게 하니까 약 7분 정도의 에칭시간이 소요되었습니다.

그래서 꺼내 물로 헹구고, 여기서 다시 제가 극찬하는 라이터 기름을 이용하여 마킹을 깨끗이 지웠습니다.
최종적으로 다리까지 납땜한 것이 맨 오른쪽 사진과 같군요. (아. 여기서 절두를 잠시 포기해야 했습니다. ㅠ.ㅠ)
사진상으로는 구멍과 다른 배선간의 간격이 매우 좁아서 아슬아슬하게 된 것 같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답니다.
아참. 염화제2철액은 한번 쓰고 버리는 것이 아닙니다.
갈수록 에칭 성능(속도)이 떨어지겠지만 몇번 계속 사용가능한 것이지요.


결 론
=====
재미 있네요.
역시 펜을 이용하여 손으로 배선을 그리는 것이 가장 귀찮은 작업이 아닐까 합니다.
PnP 필름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이것이 있다면 정말 전문적인 솜씨의 PCB도 가능하리라 생각됩니다.
게다가 그냥 PCB를 제작의뢰하는 것과는 달리 모든 것을 직접 하므로 DIY의 보람을 만끽할 수 있습니다.

한편, 어쨌든 똑같이 수십개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면 만능기판에 작업하는 것이 훨씬 쉽습니다.
잘만 만들면 오히려 회로의 신뢰도도 상당히 높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자작은 항상 도전이고 창조적인 작업입니다.
삽질이 아닙니다.
이런 PCB 에칭도 그런 의미에서 Good Project가 될 수 있겠습니다.

아. 허접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거 초중학생들도 많이 하는 작업을 이 나이에 첨 해보고 어린아이처럼 좋아했네요.
  • ?
    박은서 2000.08.06 00:00
    저의 첫번째 목표였는데 벌써 구현하셨군요. 어디선가 분발하고 계시는 승우님이 기대됩니다.
  • ?
    박은서 2000.08.06 00:00
    훈민정음의 특수성 전세계에 널리 알려야겠습니다.
  • ?
    이복열 2000.08.06 00:00
    이런...이런...일 나겠군요...이제는 PCB 열풍이 불면 이런 이런 입니다. 저는 사정상 도저히 집에서는 불가능하군요..실험실이 있는것도 아니고 한다면 맡기는 방법밖에 그러나
  • ?
    이복열 2000.08.06 00:00
    마음에 드는놈은 꼭 SMD type으로 해서 만들생각입니다. 아마 만들면 남은평생 노래듣는데는 지장이 없겠지요..하하 제가 정섭님 나이만 되어도 당장했을겁니다. 부럽군요...
  • ?
    신정섭 2000.08.06 00:00
    아구구. 대장님! 저보고 해보라는 말씀 같습니다. 저 못해요~ ㅠ.ㅠ
  • ?
    이학민 2000.08.06 00:00
    후훗.. 이 쪽에 손 대실 줄 알았습니다. 공구라도 한 번 해야겠군요^^
  • ?
    장승우 2000.08.06 00:00
    우웃....저 혼자 삽질하는게 아닌가하고...처음 에칭 시작할때부터 내심 고민했었씁니다..
  • ?
    장승우 2000.08.06 00:00
    그런데 .....정섭님도 뒤이어 에칭을 하시다니.....게다가...정섭님 글에 제 이름이 버젓히 실리다니....
  • ?
    장승우 2000.08.06 00:00
    전 지금 미국에서 오고 있으리라 기대합니다만....주문은 일단 해 두었거든요....
  • ?
    장승우 2000.08.06 00:00
    잘만 되면...제가 총대를 매더라도 공구 추진해 보지요...
  • ?
    장승우 2000.08.06 00:00
    이놈의 필름이 20장에는 30달러 40장에 50달러 100장에 100달러니....여럿이서 구입하면 확실히 구입 매리트가 있을듯 합니다...
  • ?
    장승우 2000.08.06 00:00
    여튼 좋은 걸 소개 해주신 은서님 다시 한번 고맙습니다.
  • ?
    장승우 2000.08.06 00:00
    근데....정섭님의 컨버터를. 프린트 기판으로 보니....더욱 멋집니다..
  • ?
    박은서 2000.08.06 00:00
    추진되면 참여합니다.^^
  • ?
    전국경 2000.08.06 00:00
    염화제2철은 미리 구입했었는데...기판그리기가 장난아니어서 저도 프린터를 이용할까 생각했었는데..좋은방법 감사합니다..다시 시도 해볼랍니다.
  • ?
    조경남 2000.08.07 00:00
    절두하기 힘드시죠? 그런데 또 다른 펌프를...
  • ?
    이성욱 2000.08.07 00:00
    프린터는 레이저로만 가능할까요? 아님 일반 잉크젯으로도...
  • ?
    신정섭 2000.08.07 00:00
    원리상 잉크젯으로는 거의 어려울 것 같습니다. 그러나 한번 직접 해보심도 좋겠네요.
  • ?
    박철순 2000.08.08 00:00
    삼성에서 훈민정흠을 아직도 쓰나요? 저는 한때 1472라는 워드를 썼었읍니다.
  • ?
    박철순 2000.08.08 00:00
    끝이 없으시군요. 졸업하시고 맥가이버 센타같은거 차리세요.
  • ?
    이정헌 2000.08.12 00:00
    동박구할수있는데좀 알려주세요..
  • ?
    신정섭 2000.08.12 00:00
    은서님이 질답란에 올리신 것처럼, www.eleparts.co.kr 에서 동박과 에칭액 모구 구입가능합니다.
  • ?
    송주형 2000.01.17 00:00
    FeCl3 300cc에 5천원이면 도둑놈도 이런 도둑놈들이 없군요..
  • ?
    송주형 2000.01.17 00:00
    이건 Kg에 몇백원밖엔 안하는 화학약품인데..

  1. [실패기?] 78L05를 이용한 Poorman's Current Source (CCS)

    [실패기?] 78L05를 이용한 Poorman's Current Source (CCS) - 신정섭 지승배님이 META42에 LM317을 써보시겠다고 하길래, 저도 어제 이짓 저짓 해보다가 실패는 했지만 나름대로 유용하게 쓸 수 있는 것 같아서 소개합니다. 아래와 같이 레귤레이터 출력단 대...
    Date2002.07.17 By신정섭 Views8282 Votes0
    Read More
  2. [실패기] Dual OP-Amp to BUF634 Converter

    [실패기] Dual OP-Amp to BUF634 Converter - 신정섭 또 실패기 입니다. ㅠ.ㅠ 기능적으로는 성공이었지만, 만들어 놓은 "꼬라지"가 마음에 영 안들고 "이게 아닌데..." 하는 생각이 드는군요. 언제 다시한번 궁리하여 좀더 마음에 드는 방식으로 구현해 볼까...
    Date2002.07.19 By신정섭 Views7321 Votes0
    Read More
  3. [정리] META42 관련 작업 내용

    [정리] META42 관련 작업 내용 - 신정섭 제가 최근에 한 4가지 작업에 대해 소개합니다. 아래 두개의 [실패기]에 대한 개선 결과도 얻었고요. 그런데, 이렇게 다른 사람보다 조금 앞서서 이것 저것 합니다만, 제가 워낙 막귀고 정서적으로나 감성적으로나 해...
    Date2002.07.19 By신정섭 Views12903 Votes0
    Read More
  4. [제작법] 양전원 변환기 v2.0 (Virtual Ground)

    [제작법] 양전원 변환기 v2.0 (Virtual Ground) - 신정섭 이것은 기존 듀얼 OP앰프를 이용한 제 양전원 변환기를 개선(?)한 것입니다. 중복 내용은 과거 제 [양전원 변환기 제작법]을 꼭 숙지하셔야 합니다. 그 글을 읽지 않으면 상당한 불상사가 발생할 수 ...
    Date2002.07.20 By신정섭 Views18473 Votes0
    Read More
  5. [제작법] Dual OP-amp to BUF634 Converter

    [제작법] Dual OP-amp to BUF634 Converter - 신정섭 절두를 선언했던 저를 PRR이 불 질렀습니다. 아래는 Headwize의 글이고요. http://headwize.com/ubb/showpage.php?fnum=3&tid=2923&fdays=20&stime=0&fpage=1 PRR이 아주 좋은 지적을 하였고, 과거에 열이...
    Date2002.07.24 By신정섭 Views8480 Votes0
    Read More
  6. No Image

    [잡설] 볼륨의 이해

    [잡설] 볼륨의 이해 - 신정섭 질답란에 올렸던 글인데, 질답란은 일회성 글 위주이고 이글은 어느정도 자료성 글이라 생각되어 이곳에도 옮깁니다. ------------- 저는 그냥 항상 쉽게 그리고 물리적으로 생각하려는 습관이 있는데, 근거없는 자기 망상에 빠...
    Date2002.07.26 By신정섭 Views8207 Votes0
    Read More
  7. No Image

    [소개] SMD형 OP-Amp Soldering

    [소개] SMD형 OP-Amp Soldering - 신정섭 원래는 쉬운 방법을 찾기 위해서 다른 방법으로 해 보았는데, 결과적으로는 또다른 "묘기 대행진"이 되어 버렸습니다. ㅠ.ㅠ 하여간 제가 시도했던 4가지 방법들을 소개합니다. 위 사진은 그냥 전선자체와 연결한 것...
    Date2002.07.26 By신정섭 Views9969 Votes0
    Read More
  8. No Image

    [소개] 사랑하는 나의 연장들...

    [소개] 사랑하는 나의 연장들... 현재 절두중(?)이지만 여전히 사랑스러운 나의 연장들중 일부를 소개합니다. 이것은 헝그리 정신에 입각하여, 매우 저렴하게 구입한 것들을 나름대로 개조하여 어느 고가품 못지않게 탈바꿈시킨 귀염둥이들이고, 아주 유능한 ...
    Date2002.08.02 By신정섭 Views6852 Votes0
    Read More
  9. No Image

    [절두 방황기] PCB Etching...

    [절두 방황기] PCB Etching... - 신정섭 제 상황을 많이들 아실테니 앞뒤 얘기 다 빼고, 절두로 상심한 마음에 경남님도 저를 어떻게 건드려보려고(?) 무척 노력하셨지만, 제 마음은 승우님의 최근 에칭작업과 은서님이 링크자료실에 올려주셨던 PCB 에칭법에...
    Date2002.08.06 By신정섭 Views9384 Votes0
    Read More
  10. No Image

    [소개] 나의 최고 자작품 ㅎㅎㅎ

    [소개] 나의 최고 자작품 - 신정섭 그 이름하여 신소은입니다. 역시 아버지를 닮아서 음악을 무척 좋아하지요. Tomo ver. Szekeres에 Koss PortaPro를 연결해 듣는 것이 제일 좋다고 하는군요. HP890은 유닛 안으로 머리가 들어가서 곤란합니다. 아. 제겐 세...
    Date2002.08.11 By신정섭 Views10564 Votes0
    Read More
  11. [소개] 거치형/휴대용 겸용 Meier Amp

    [소개] 거치형/휴대용 겸용 Meier Amp - 신정섭 너무나 인두향기가 그리운데다가, 한동안 바쁘던 일이 일단 어제 끝난김에 이것을 만들었습니다. 사실은 밀린 숙제를 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이 있었습니다. 왜냐하면 이 앰프는 오래전에 Chu Moy에게서 제작을 ...
    Date2002.08.13 By신정섭 Views13375 Votes0
    Read More
  12. No Image

    [소개] Micro CMOY (SMD Type)

    [소개] Micro CMOY (SMD Type) - 신정섭 귀염둥이 땡칠이(TL072)를 사용한 Micro CMOY입니다. 자작앰프 중에선 아마 세계 최소형이 될 것임을 확신합니다. 지금 사진과 같은 기판 자체의 상태로는 엄지손톱보다 작습니다. (11.5mm x 12.0mm) 전해콘덴서가 매...
    Date2002.08.20 By신정섭 Views12572 Votes0
    Read More
  13. No Image

    [Off Topic] 백색(무색?) LED를 이용한 휴대용 랜턴

    [Off Topic] 백색(무색?) LED를 이용한 휴대용 랜턴 - 신정섭 우선 이것은 헤드폰 앰프 자작과 상관 없음을 죄송하게 생각합니다. 갑자기 고휘도 LED 얘기가 나와서 유혹에 또 만들고 말았습니다. IC114에서 개당 1000원에 구입했던 백색 3mm LED를 이용하여 ...
    Date2002.08.21 By신정섭 Views7319 Votes0
    Read More
  14. No Image

    [정보] PC Power Supply에서 양전원 +/-12V 얻기

    [정보] PC Power Supply에서 양전원 +/-12V 얻기 - 신정섭 뭐 아시는 분들은 이미 다 아시고 계시겠지만, PC의 Main Board에선 +/-12V, +/-5V를 필요로 하므로, PC의 Power Supply(이하 PS)에서는 기본적으로 양전원이 출력됩니다. 물론 가장 많이 사용되는 ...
    Date2002.08.23 By신정섭 Views10703 Votes0
    Read More
  15. No Image

    [정보] A급 구동을 위한 JFET 2N5484에 대하여...

    [정보] A급 구동을 위한 JFET 2N5484에 대하여... - 신정섭 A급 구동을 위해 Biasing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고 합니다. 그중에서 META42에서는 JFET인 2N5484를 채널당 2개씩 이용한 바이어싱 방법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CRD도 우수한 방법이라고 소개는...
    Date2002.08.24 By신정섭 Views8150 Votes0
    Read More
  16. [제작법] Modified Linkwitz Crossfeed Filter

    [제작법] Modified Linkwitz Crossfeed Filter - 신정섭 아. 이것은 완전히 이학민님의 펌프(ㅋㅋㅋ)로 인한 것임을 밝힙니다. 그동안 맨날 헤드폰 앰프만 소개했었는데, 그래도 명실공히 아시아 최고의 헤드폰앰프 사이트인 하스에서 크로스피더도 하나쯤은 ...
    Date2002.08.31 By신정섭 Views9025 Votes0
    Read More
  17. [제작법] Ohman's Crossfeed Filter

    [제작법] Ohman's Crossfeed Filter - 신정섭 아래 글의 Modified Linkwitz 크로스피더에 이어서 올리는 김에 Ohman의 크로스피더 제작법을 같이 올립니다. Ohman 크로스피더 역시 많은 사람들이 좋아 하는데 Meier의 크로스피더보다 강하게 먹습니다. 아마 ...
    Date2002.08.31 By신정섭 Views7084 Votes0
    Read More
  18. No Image

    [제작법] Meier's Natural Crossfeed Filter

    [제작법] Meier's Natural Crossfeed Filter - 신정섭 올리는 김에 함께 올리지요. 어쩌면 가장 관심을 가지고 계실 Crossfeed Filter이기 때문입니다. 원문은 다음 링크의 Fig.6a 회로에 해당합니다. http://headwize.com/projects/showproj.php?file=meier_...
    Date2002.09.01 By신정섭 Views9070 Votes0
    Read More
  19. [실체배선도] Simple Crossfeed Filter Layouts

    [실체배선도] Simple Crossfeed Filter Layouts - 신정섭 이거 계속해서 크로스피더 펌프가 되었네요. 한글 제목으로 한다면 "좀더 쉽게 만드는 크로스피더" 정도가 되겠습니다. 새로운 것은 아니고 얼마전 소개한 크로스피더 배선의 수정판입니다. 뭐, 이미 ...
    Date2002.09.04 By신정섭 Views8141 Votes0
    Read More
  20. No Image

    [잡설] 헤드폰앰프 자작에 빠지는 이유

    [잡설] 헤드폰앰프 자작에 빠지는 이유 - 신정섭 1. 누구나 음악을 사랑한다. 그런데 자신이 만든 자작품으로 음악을 들으면 더욱 사랑스럽게 들린다. 그것은 음악과 자신과의 "정서적 교감" 그 자체이기 때문이다. 특히나 자신이 만든 결과물이 "음악"이라는...
    Date2002.09.04 By신정섭 Views7451 Votes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Next
/ 13
CLOSE
258120 5941452/ 오늘어제 전체     550733 79223431/ 오늘어제 전체 페이지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