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8895 추천 수 0 댓글 1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부품정보] 인두 및 래핑와이어

자작이 아니라, 제가 하고 있는 일과 관련하여
고용량 인두와 래핑와이어를 오늘 구입했습니다.

구입한 정보를 알려드립니다.
아는 가게에 주문하여 구입했으므로 실제 청계천의 유통가격과 얼마나 차이가 날지는 모르겠습니다.


아림 20W/150W 세라믹 인두 (수입 일제팁 사용제품)
=========================
AR-2130DP-II
구입가: 32,000원

중요한 것은 가격이 아니고 포장지에 쓰여져 있는 것중 참고가 될만한 내용을 옮깁니다. (한편 이 포장지에도 철수세미형이 스폰지형보다 인두팁 세척이 더 잘된다고 써있군요.)

* 최초 납땜인두 길들이기
납땜인두를 처음 사용하실 때에는 전원공급 시작 30초후부터 인두 Tip 끝에 땜납을 서서히 용해, 부착시킨 후 땜납이 완전히 코팅상태가 되도록 유지해 주십시요.

* 사용상의 주의사항
세라믹히터는 강도가 높은 반면 충격에는 부러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높은 곳에서 떨어뜨리거나 작업대 등에 두드리면 파손의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하십시요.
...
중략...
...
히터와 팁은 소모품이므로 마모시 교환하여 사용하십시요.
인두팁은 특수한 금속을 도금한 것으로서 오래동안 사용하거나 과전압 등에 의한 과열로, 산화 또는 열화 현상이 일어나고 이에 의해서 납흡착력을 잃거나 그 수명을 다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이때 줄이나 사포등으로 문지르지 마시고 일단 전원 공급을 끊고 자연냉각 되기를 기다렸다가 인두팁을 깨끗이 청소한 후 다시 가열하되, 앞의 "최초 납땜인두 길들이기"를 참고하여 주십시오.


테프론 Wrapping Wire
=====================
- 제조사: OK Industries http://www.okindustries.com/products/4.1.1.htm
- 가격:
0.25mm/100m --> 9,000원
0.32mm/100m --> 15,000원
0.40mm/100m --> 21,000원 (--> 본인의 헤드폰앰프에서 추천 굵기)

아마 Wrapping Wire 회사 중 OK가 가장 유명한 것으로 압니다.
굵기에 따라 가격차가 예상외로 많이 나는군요.
아마 전선 표면에 은으로 코팅(확인되지 않은 본인 짐작)하기 때문에 그 차이가 난다고 예상됩니다. (그래도 좀 심한 것 아닌감?)
한롤 사기엔 상당히 비싸지만, 헤드폰 앰프 1대 만들면서 수 미터씩 들어가는 것이 아니므로 보통 100~200원어치 정도 내외를 사용하지 않을까 합니다.
  • ?
    이복열 2000.06.12 00:00
    정섭님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인두 참 고민거리입니다. 그러나 세라믹이 좋기는 좋더군요. 현재 앰프 10대 만들고 교체했읍니다. 교체하니까 쓸일이 갑자기 없어지는군요...
  • ?
    이복열 2000.06.12 00:00
    그런데 랩팽와이어에 은 도금은 처음듣는구요.. 저도 한번 구해 다음에는 써볼까 합니다. 그럼 좋은 투표날(고마운 날 입니다) 되십시요.
  • ?
    신정섭 2000.06.12 00:00
    아. 은도금은 확실치 않습니다. 그냥 예전부터 써오면서 표면 색상이 범상치 않아서 은이 아닐까 예상하고 있었는데, OK의 홈페이지에 가서 래핑와이어를 찾아보니 은도금되어 있더군요.
  • ?
    신정섭 2000.06.12 00:00
    제가 본 OK의 그 래핑와이어랑 구입한 래핑와이어랑 완전히 동일 제품이란 증거가 없으므로 확언은 못하겠습니다.
  • ?
    신정섭 2000.06.12 00:00
    한편 대장님처럼 여유있게 배선하신다면 0.5mm짜리도 있는것 같으니 그것이 더 좋을 듯 합니다.
  • ?
    신정섭 2000.06.12 00:00
    헉. 그리되면 청계천 리어카 아저씨에게 테프론 은선 사는 것과 별 차이가 안 생길수도...
  • ?
    이복열 2000.06.12 00:00
    예 알았읍니다.. 그리고 감사합니다... 그럼..
  • ?
    조광옥 2000.06.12 00:00
    저는 PCB로 피복된 0.32mm 은선을 사용합니다만....괜찮은가요?
  • ?
    조광옥 2000.06.12 00:00
    순은선은 아니고 합금된 것인듯 합니다.
  • ?
    신정섭 2000.06.12 00:00
    저도 그것은 안써봐서 잘 모르겠습니다. 그냥 현재 불편없이 쓰고 계시면 일부러 바꾸실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한편 0.32mm는 저도 많이 썼습니다만 조금 가는감이 있습니다.
  • ?
    신정섭 2000.06.12 00:00
    테프론 래핑와이어의 장점은, 1) 피복이 열에 강함 2) 피복이 얇아서 복잡한 배선에 유리 3) Flux없이도 납이 잘 붙음 4) 연성 우수 5) 구부려진 상태을 잘 유지
  • ?
    신정섭 2000.06.12 00:00
    한편, 엘레파츠에서 상품번호 1109번인 전선도 매우 저가격이지만 추천합니다. 0.4mm연선 10cm길이 600개, 즉 60m에 2640원입니다. 가격도 환상적이지요.
  • ?
    정진욱 2000.06.13 00:00
    어느 가게에서 주문하셨는데요? 움;;
  • ?
    신정섭 2000.06.13 00:00
    설명이 복잡하고, 다른 분들께는 전혀 해당사항이 아니므로 개인 메일로 회신하였습니다.
  • ?
    차은호 2000.06.14 00:00
    저번에 청계천에서 래핑 와이어 가격을 알아봤는데, 정섭님의 가격과 비슷한데, 0.32mm만 좀 더 싸더군요. (12000원) 0.4짜리로 사려다가 가격차이가 너무나서 0.32로
  • ?
    차은호 2000.06.14 00:00
    사왔었지요. 막상 만들어보니, 저는 0.32로도 좋더군요. (더 굵을 필요 있나 싶던데요. ^^) 정섭님의 글을 보고 확인해 보니, 제가 산 것도 OK것인 듯 하네요.
  • ?
    차은호 2000.06.14 00:00
    0.25짜리를 많이들 사서 그런지, 대부분이 0.25짜리였고, 0.32도 몇개 없었고, 0.4짜리는 한두개 있는 것 같더군요. (덕분에 원하는 색깔이 없더군요. -_-;)
  • ?
    신정섭 2000.06.14 00:00
    하하 그렇군요. 0.32도 좋지요. 특히 작은 기판에서 써커스하기도 좋고... 전 MOSFET으로 많이 전향하면서 배선길이가 증가하는 바람에 좀더 굵은 것을 선호하게 되었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최근 수정일 최종 글 아이디 이름 추천 수
89 [실체배선도] Jung의 Buffer 흉내내기... 3 56 신정섭 2002.10.23 12564 2002.10.23 2002.10.23 sijosae 신정섭 0
88 [실체배선도] META42 --> Next Project 11 신정섭 2002.06.26 10518 2002.06.26 2002.06.26 sijosae 신정섭 0
87 [실체배선도] Multi-Hybrid Headphone Amp 7 1 file 신정섭 2004.12.30 17446 2004.12.30 2004.12.30 sijosae 신정섭 0
86 [실체배선도] Simple Crossfeed Filter Layouts 2 신정섭 2002.09.04 8141 2014.03.29 2014.03.29(by 김대현(tae0918)) sijosae 신정섭 0
85 [실체배선도] Simplified Gilmore Amp 제안 18 신정섭 2003.01.22 9340 2012.02.29 2012.02.29(by 김경연) sijosae 신정섭 0
84 [실체배선도] Simplified Simpson Amp 신정섭 2002.09.28 8278 2002.09.28   sijosae 신정섭 0
83 [실체배선도] Tomo version Szekeres --> Next Project 29 신정섭 2002.06.16 9893 2002.06.16 2002.06.16 sijosae 신정섭 0
82 [실체배선도] 세계 최소형 CMOY (Tiny CMOY) 8 신정섭 2002.05.29 21358 2002.05.29 2002.05.29 sijosae 신정섭 0
81 [실체배선도] 휴대/거치 겸용 Meier ver 3.0 17 신정섭 2002.10.23 19325 2012.02.29 2012.02.29(by 김경연) sijosae 신정섭 0
80 [실패기?] 3V 단전원 구동 Headphone Amp 7 신정섭 2003.02.22 8358 2003.02.22 2003.02.22 sijosae 신정섭 0
79 [실패기?] 78L05를 이용한 Poorman's Current Source (CCS) 5 2 신정섭 2002.07.17 8282 2002.07.17 2002.07.17 sijosae 신정섭 0
78 [실패기] Dual OP-Amp to BUF634 Converter 4 신정섭 2002.07.19 7321 2002.07.19 2002.07.19 sijosae 신정섭 0
77 [자료] 지금까지의 제 주요 PCB Layout 들... 10 file 신정섭 2003.05.07 9770 2003.05.07 2003.05.07 sijosae 신정섭 0
76 [잡담] 본인이 만들어 본 헤드폰앰프 종류 및 선호도 3 신정섭 2002.05.29 12811 2017.02.01 2017.02.01(by 이재우) sijosae 신정섭 0
75 [잡담] 온도와 열에 대한 상식 신정섭 2002.05.29 6816 2002.05.29   sijosae 신정섭 0
74 [잡설] MX500 에서의 볼륨 4 신정섭 2003.03.21 5727 2003.03.21 2003.03.21 sijosae 신정섭 0
73 [잡설] 납땜시 범하기 쉬운 실수 21 63 신정섭 2002.12.01 9709 2002.12.01 2002.12.01 sijosae 신정섭 0
72 [잡설] 볼륨의 이해 4 신정섭 2002.07.26 8207 2002.07.26 2002.07.26 sijosae 신정섭 0
71 [잡설] 헤드폰 앰프 예찬 9 신정섭 2003.06.26 8155 2003.06.26 2003.06.26 sijosae 신정섭 0
70 [잡설] 헤드폰 앰프에 대한 단편적 정리들... 10 45 신정섭 2005.05.11 18151 2012.05.15 2012.05.15(by 김시찬(goat0205)) sijosae 신정섭 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Next
/ 13
CLOSE
140390 5941724/ 오늘어제 전체     5771077 79224535/ 오늘어제 전체 페이지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