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작] 구보다 전원부(더블)

by 이복열 posted Aug 26, 200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자작] 구보다 전원부 (더불)

안녕하세요.
자유게시판에 소개해 드린 구보다 전원부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결론을 먼저 말씀드리면 99% 만족 입니다.

회로는 정섭님이 찾아주셨군요.
감사드립니다.
아래 링크 참조하시면 됩니다.

http://www.satani.org/ele/ele003.html
(누르시고 나오시지 않으시면, 이동한번 더 눌러주시면 보입니다.)


[PCB Layout]
http://www.has.pe.kr/ftp/zerosoft/guboda-psu/pcb-lauout.pdf
[부품리스트]
http://www.has.pe.kr/ftp/zerosoft/guboda-psu/guboda-kps-2-parts-list.xls

[회로]
회로는 정섭님 링크 참조하시고 문제시 저한테 쪽지 주세요.

허접한 사진도 구경하세요.
캠으로 찍은 사진하고 같이 올립니다.

[더블 양전원 본체만]





[더블 양전원 사용중]





[트랜스 부분]




- 트랜스 부분

트랜스는 Amveco 70063K (15V*2/12.5VA*2) 입니다.
이번에 만들 앵글을 사용해 전원부 테스트 용으로 만들었습니다.
그러한 이유로 용량이 큰 트랜스 사용했습니다.
코넥터 단자는 XLR을 통하여 전원공급합니다. 옆에 푸른 단자에 전원부 출력을 연결하게 됩니다.
앞으로 저는 이런 방식으로 전원은 해격하려 합니다. (외부 전원공급시)
사길 이경우는  용량이 300mA정도면 충분합니다.
전원부 자체가 흘릴수 있는 최대치가 500mA 이하입니다.
그 반인 250mA정도가 안정적이라고 추상합니다.


- 전원부

전원부는 2채녈을 같은 기판에 에칭으로 만들었습니다.
에칭상태 아주 만족합니다.

회로는 MOSFET 방식방식을 이용한 구성입니다.
여기에 사용되는것이 2sk213/2sj76입니다. 현재 구할수 있는것이
2sk214/2sj77 입니다.(JTS)

참고고 말씀드리면 2sk213(140V),214(160V),215(180V),216(200V)가 있고
2sj76(140V),77(160V),78(180V),79(200V) 가 있습니다.
같은 전압으로 사용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혹시 위 페어를 같은 회사것으로 구할수 있는 곳을 알면 덧글 부탁합니다.
차이는 전압차이 이고 다른것은 거의 같군요.
가격은 개당 3천원정도 입니다.

회로도에서 보시면 CRD을 사용합니다.

E-152와 E-352을 사용합니다.

E-152는 현재 구할수 없어서 E-102와 E-501을 병렬 사용합니다.
(CRD 개당 500원 무진전자)

다음에 사용되는 C1775A/A872A (JTS) 개당 300원 이군요.
사실때 탭으로 된것 달라고 하시고 없으면 벌크로 사시면 됩니다.
가격은 같지만 탭형식이 다리가 벌어져서 자작시 좋군요.

처음에 들어가는 1000uF/50V는 구입해 두었던 2200uF/35V Panasonic을 사용했습니다.
220uF도 역시 사두었던 Elna Cerafine을 사용했습니다.

정류부 다이오드는 쑈트기 다이오드 입니다.(개당 500원 정도,JTS)
원문에는 30DF-2 사용으로 되어있습니다.

Voltage Reference는 LM-336/5V을 태창에서 1000원씩인가 구입했습니다.
(원본은 HZ6.0사용하고 있군요. 이 데이타 쉬트는 찾지 못했습니다.)
주의 하실것은 이놈을 사용하지 않으면 출력 전압이 변동됩니다.

이거 말하다 보니 어디 선전 같아 죄송하군요.

결국 부품은 전부 수급 가능합니다.


- 결과로 나타난 사항들

에칭은 이미 자유게시판에 소개드렸고,
결과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에칭 과정에서 방열판부분을 실수로 에칭한 결과
방열판을 세울수가 없군요.
방열판 없이 사용중입니다.

2sk214은 100mA정도 소비할시 손으로 만질수 있을정도입니다 (약 40도)
현재 30분이상 작동시 문제 없군요.

당연히 방열판을 달아야 하지만 사정상 할수 없군요.
만약 다시 만든다면 사이즈가 늘어나야 할것 같습니다.
200mA이상 소비하는 앰프 연결시도 60도는 넘지는 않는군요.

다시 제작한다면 방열판도 중간치 정도로 달아야 할것 같습니다.

- 출력 전압 관계

전압조절은 멀티터언 (5K)로
포지티브에서 네가티브에서 10V에서 21V 까지 변경 가능합니다.

- 회로변경

위에 말한데로 쑈트기 다이오드와 바이패스 콘덴서 추가입니다.
또한 원 회로대로 하고 전압 체크하니 16V 이하로 떨어지지 않더군요.
그래서 출력측 저항 변경했습니다.
멀티터언 밑에 저항 12K를 7.7K(12K와 22K 병렬 연결)로 변경했습니다
제너 다이오드 HZ6.0은 LM336 5V로 변경해서 완료상태입니다.

- 음질면

많이는 들어보지 않았지만 다이나믹 및 해상도가 좋아진것 같습니다.
비교는 아직 해보지 않았습니다.

- 자작 후기

하하 후기라 할것도 없군요.
하여간 75xx방식이 아닌 프리/헤드폰용 소 전류 전원부를 만들었다는 것에
만족합니다.
또한 처음 정류소자를 쏘트키로 사용한것도 새로운 경험입니다.
(정류소자쪽에서는 전혀 열이 없습니다.차가울 정도 입니다.)

사이즈 면에서 봐도 적당하다고 봅니다.(트랜스를 뺀 부분이지만)

다음으로 같은 mos fet 방식이지만
OPAMP AD743 과 2SK2013/2Sj313으로 구성된 Borbely EB-802 회로가 있군요.

전원부는 일단 제가 3개정도는 공제 진행할 예정입니다.
(구보다 전원부, SB-1,EB-802)
현재 sb-1하고 구보다 완성했으므로 eb-802만 남았군요.
시기는 언제가 될지 모르겠군요.

와우! 할것이 별안간 너무 많아진 느낌입니다.


그럼 "하스 만세"를 외치면서
이만 줄입니다.

===--- 즐자작,즐음악 생활하세요 ---===

p.s. 회로,PCB Layout 및 부품 리스트는 개인적으로 필요하시면 쪽지 부탁 합니다.
공개하기가 어렵군요.
또한 공개는 피해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