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님 자작품(member) - 헤드폰 앰프 관련 자작 게시판 입니다.
2011.11.19 16:53

빨강 쿠미사 제작기 1

조회 수 5499 추천 수 5 댓글 1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저번 빨강쿠미사 제작은 출력지연회로의 고주파발진으로 별도전원을 추가하고(해결됨)

usbdac은 CDP와 레벨매칭을 위해 전용 증폭기를 추가하려니 공간이 절대부족해 최적화로 다시 시도함.

최대한 공간을 활용할 것이다.

 

먼저 만능기판을 전체크기로 잘라 시도함. 넣을때 쿠미사 기판쪽에서 위.아래 대각선으로 넣으면 들어감.

1.JPG   

 

pcm2704 usbdac 만능기판에 고정을위해 나사홀에 동선으로 사진과 같이 구부려 납땜함. 타오바오에서 구입함.

PC 전원 노이즈 차단을 위해 usb커넥터 PCB 뒷면 Vbus선을 커터칼로 단선시킴.  앞쪽 홀은 케이스의 나사체결공간과 접점이 있어 잘라냄. 

2.JPG

 

헤드폰 출력지연회로. pcb기판은 최적화시키기 위해 잘라냄. 전원은 AC9V 또는 DC12입니다.

만능기판에 고정하기위해 전원선 연결부분에 굵은 동선으로 납땜하여 "ㄱ"로 구부려 고정함.

충전 콘덴서의 용량을 적절히 조정하여 지연시간을 세팅할 수있음. 타오바오에서 구입함.

3.JPG

 

쿠미사전원 암베코트랜스와 아래쪽은 출력지연회로와 usbdac에 공급하는 AC to DC 12V 스위칭 전원장치임.

파워젠 출력쪽에 1,000uf + 0.1uf을 달았다.

4.JPG

 

전원부 뒷면 배선완료.

5.JPG

 

usbdac 만등기판에 고정. 굵은 동선옆에 점퍼선이 보인다. 회로에 사용되는 점퍼선이 아니고 굵은 동선을 잘 고정하기위해

같이 납땜되어 있다.

6.JPG

 

안보이는 공간까지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usbdac의 전원장치 7805를 넣었다. 케이스에 넣을때 7805의 방열판을 제거했다.

케이스에 넣으려니 걸려서 안들어갔다. 12V -> 5V 변환하는 것이라 열은 그리 많지않았다.

이어폰단자에서 입력선을 뽑는다. 왼쪽부터 G, R, L이다. 저항 리드선으로 연결했다.

오른쪽 usb커넥터단자 위쪽 Vbus PCB패턴을 커터칼로 끊고, 저항다리(빨간선)로 만능기판아래로 연결하고 +전원를 연결했다.

-전원은 사진에는 보이지 않으나 pcb 몸체(그라운드)에 연결했다.

7.JPG

 

usbdac과 7805 전원부 완료.

8.JPG

 

출력지원회로 암베코트랜스에 바짝붙혀 장착. 굵은 동선으로"ㄱ"로 꺽어 사진처럼하면 쉽게 고정할 수 있다.

PCB뒷면에 입력선을 만능기판 연결해서 커넥터에 연결했음.

9.JPG

 

구석쪽에 usbdac의 전원장치가 보인다. 만능기판 나사체결시 힘만 좀주면 잘깨져서 와셔를 본드로 미리붙혔다.

10.JPG

 

오늘은 여기까지 했다. 가운데 빈공간에는 usbdac 레벨매칭 증폭부를 넣을 것이다.

11.JPG

 

 

---- 다음날 ----

 

좌우 안보이는 공간까지 최대한 활용하니 가운데 어느정도의 공간을 확보했다.

12.JPG

 

매칭 증폭부 제작. 증폭률 게인 3. 깜장쿠미사 제작시 만들어 봐서 이번에는 최대한 작게...

회로도상에 없는데, 전원부에 케페시터가 10uf  + 0.22uf + 0.01uf 병렬로 연결됨.

13.jpg

 

이것도 세울려고 저항다리로 뽑았습니다.

14.JPG

 

아무리 머리굴려도 점퍼선이 안나오게 안되더군요.

15.JPG

 

OPA132U 소리가 좋아 듀얼기판에 다시 제작했다. 깜장쿠미사 제작시 전원를 잘못연결해서 태워먹음. 다리는 저항리드선으로 사용.

16.jpg

 

만능기판에 장착. 와~~~ 알록달록한게 한뽀대 하네!!!.

17.JPG

 

뒷면 전체배선완료.

18.JPG

 

케이싱할때 접지부분은 사포로 갈아야 한다. 왼쪽사진은 쿠미사 pcb고정나사 쪽인데 전원케이블의 접지선과, 쿠미사PCB의 그라운드를 꽉조여서 접지한다.

케이스의 앞, 뒷판넬 한군데 사포로갈아 완벽접지해야한다. 사진에는 안나왔지만 마주보는면도 사포로 갈아 잘 통전되도록 한다.

볼륨도 앞 판넬 안쪽 접지부분에 사포로 갈아야 한다.

그러면 볼륨을 만지거나 케이스를 만질때 노이즈가 없다.

19.JPG

 

뒷 기판을 이렇게 들어서 쿠미사 레귤레이터 나사를 조여준다. 손이 2개라서 좀 황당한 경우도....

20.JPG

 

접지부분. 전원의 접지선(노라선)와 쿠미사PCB의 그라운드(횐선) 강하게 너트를 조여 접지한다.

사진과 같으 너트 드라이버가 있으면 편하더군요.

21.JPG

 

기판고정 완료.

22.JPG

 

바닥은 이렇습니다.

22-1.JPG

  • ?
    이복열 2011.11.19 17:02

    오밀 조밀하게 케이스를 150% 활용하시는군요.

    사진도 12개씩이나,설명도 굿.....

    리뉴얼 잘했다고 생각지 않으세요?

    멋진 소리로 아마 답해줄겁니다.

  • ?
    홍재영 2011.11.19 17:04

    감사합니다.

    본문작성시 사진을 2장이상 넣을수 있고 크기등 마음대로 편집할 수 있어

    너무 마음에 듭니다.

     

    리뉴얼때문에 고생많으십니다.

  • ?
    홍경의 2011.11.19 21:25

    홍재영님의 열정이 대단하십니다..

    또 하나의 완벽한 쿠미사가 탄생하겠네요 ^^

  • ?
    김지환(muderstone) 2011.11.19 22:14

    암베코 트렌스를 쓰면 참 깜끔해지는 것 같습니다. 전 케이스 공간을 오밀조밀히 내실있이 채우는 기술이 부럽기만 합니다. 새로운 쿠미사 기대 하겠습니다. ^^

  • ?
    최재영(cjy625) 2011.11.20 12:32

    우와!...밀도있는 조립과 자세한 설명 Good! 입니다... 소리도 훌륭하겠습니다..

  • ?
    홍재영 2011.11.20 13:58

    제작기 사진을 더이상 추가할 수 없어 새 게시물에 이어서 계속합니다.

  • ?
    홍재영 2011.11.20 23:02

    제작이 완료되어 제목 수정하겠습니다. " 빨강 쿠미사 제작기"로...

  • ?
    윤민철 2011.11.21 23:13

    사진, 설명 모두 너무 좋습니다.

    저와같은 초보자작인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겠네여.

    사진용량도 적어서 대장님께서 좋아하실 것 같네요.


  • ?
    홍재영 2011.11.22 17:34

    사진 알씨로 크기와 용량을 줄입니다. 사진은 1200만이나 알씨로 해상도 가로 700 품질 90%하면 첨부한 사이즈가 됩니다.

  • ?
    이복열 2011.11.22 18:06

    90%도 많아요.75%로 하셔도 사진작품이 아닌이상 분별하기 어렵습니다.
    이게 다 하스에 도움이 됩니다.

  • ?
    임석현 2011.12.24 23:46

    아주~ 알차고 이쁘게 자작하시는 것 같습니다. 부럽네요~

  • ?
    하스팡 2011.12.24 23:46
    축하드립니다. 임석현님은 하스팡 60포인트에 당첨되셨습니다.^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최근 수정일 최종 글 아이디 이름
2254 Kumisa III 2 김희태 2009.11.10 6066 0 2009.11.10 2009.11.10 omokkyo 김희태
2253 Kumisa III (신정섭님 ver.) 6 윤호상 2007.09.10 2805 0 2007.09.10 2007.09.10 argentum47 윤호상
2252 Kumisa III 배선도 1 file 노현준 2003.08.19 1975 0 2003.08.19 2003.08.19 노현준
2251 Kumisa III 일단 완성~! 7 정재호 2010.05.07 3370 0 2010.05.07 2010.05.07 ardorjh 정재호
2250 KUMISA III(신정섭님 버전) 완성했습니다. 3 file 정원경 2010.06.29 4543 0 2010.06.29 2010.06.29 won43113 정원경
2249 Kumisa 드디어 완성했습니다... 9 김지환 2011.08.20 2440 0 2012.04.25 2012.04.25(by 양성호) muderstone 김지환
2248 kumisa 만들어봤습니다 4 file 조용현 2011.09.24 3147 0 2011.09.24 2011.09.24 alclsghk 조용현
2247 Kumisa3 기반의 10W+10W 인티앰프 9 file 이주훈 2004.12.07 4800 0 2012.02.16 2012.02.16 hoonee 이주훈
2246 LEACH AMP가 QUAD로 변신 8 61 file 손창일 2004.06.04 3041 0 2012.05.22 2012.05.22(by 김명섭) ceson 손창일
2245 Lehmann Black Cube Linear Amp Clone(OD-L) and Beyerdynamic A1 Amp Clone(OD-A) 자작 완료 31 51 박은서 2012.05.13 7364 1 2017.01.11 2017.01.11(by 신세명) skel93 박은서
2244 Linkwitz x-feed 사진 2 file 윤호상 2004.12.24 1849 0 2004.12.24 2004.12.24 argentum47 윤호상
2243 LM 소리 듣고 있습니다. 23 1 file 이일성 2012.01.16 4286 4 2012.01.19 2012.01.19(by 이일성) bbox 이일성
2242 lm317 amp 3 file 손창원 2004.01.29 4747 0 2004.01.29 2004.01.29 sendbox 손창원
2241 lm386 스테레오 앰프 14 file 임태형(bcn5186) 2014.09.17 2754 0 2014.10.06 2014.10.06(by 임태형(bcn5186)) bcn5186 임태형
2240 lm3875 헤드폰암프 20 file 손창원 2003.09.21 2181 0 2003.09.21 2003.09.21 sendbox 손창원
2239 lm4811 회로 2 file 손창원 2003.11.23 2285 0 2003.11.23 2003.11.23 sendbox 손창원
2238 lm4881 칩 앰프 2 file 한경욱 2004.12.27 2770 0 2004.12.27 2004.12.27 kuhan2 한경욱
2237 LME49600 첫 헤드폰앰프 제작 8 file 전혜숙 2015.01.07 3146 0 2015.10.02 2015.10.02(by 김영동(hanmaeum)) earwing 전혜숙
2236 LME49600을 이용한 헤드폰앰프 PCB아트웍 해봤습니다. 3 file 배강식 2013.05.21 5127 0 2013.05.22 2013.05.22(by 김나라) lewispae 배강식
2235 Low noise Precision Power Supply제작기(WPS-1) 14 file 김형진 2004.02.06 3437 0 2012.05.22 2012.05.22(by 김명섭) windy510 김형진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132 Next
/ 132
CLOSE
369120 5941563/ 오늘어제 전체     973733 79223854/ 오늘어제 전체 페이지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