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소형 Gainclone 모듈 (배선도 추가)

by 이혁재 posted Mar 18, 200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얼마 전에 올린 바와 같이 기존의 게인클론을 regulated power supply로 바꾸는 작업을 진행 중입니다. Power supply module은 이번에 공구하는 캐패시터를 사용하려고 잠시 대기 중입니다. 기다리는 와중에 먼저 만들었던 게인클론을 보고 있자니 한 3-4년 전에 만든 티가 팍팍 나더군요. 공중부양으로 날라다니는 부품들도 보기가 싫구요. 그래서 이넘을 좀 fancy하게 바꿔줄까 고민을 하던 중 예전에 신정섭 회원께서 1875로 상당히 작게 만드신 걸 본 기억이 났습니다. 그래서 저도 작게 만들어봤습니다. ^^



사용한 회로는 inverting이고 gain은 20 정도입니다. non-inverting input 쪽에 impedance matching을 해 주기 위해서 적당한 용량의 저항과 1uF 필름 캡을 달아줬습니다. 전원은 어짜피 regulated power supply에서 공급될 것이기 때문에 게인클론 모듈에는 rail 당 50V/100uF의 작은 캡 두개만 넣어줬습니다. 기판크기는 25x30 mm 정도입니다. 1875를 사용하였던 신정섭 회원의 작품보다는 약간 더 큽니다. 이렇게 만들어 놓고 보니까 참 작고 귀엽습니다.

워낙 작게 만들다보니 기판고정용 standoff를 달아주지 못해서 나중에 방열판에 장착할 때 전선의 무게로 인해 3875 다리에 스트레스가 걸릴까봐 아주 약간은 걱정입니다만 별일은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테스트용 스피커에 연결해 봤더니 소리 납니다. ㅋㅋ



대충버전의 배선도 추가했습니다. 위에서 본 그림입니다. 어찌 하다보니 점퍼가 하나 들어갔네요. 애교로 봐 주시고...

지난 번에 YAHA 배선도를 올린 다음에 부품용량을 문의하시는 쪽지를 많이 받았습니다. 일단 일일이 답변해드리지 못한 점 죄송하게 생각합니다. 그래서 이번엔 아예 부품 용량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이번에 올린 배선도는 op-amp회로 중 전형적인 inverting 회로입니다. 따라서 회로에 대한 설명은 더 이상 드리지 않겠습니다. 용량만 알려드리겠습니다. 고수분들이야 필요없으시겠지만... 아무튼...

Cs는 power supply cap입니다. 저는 regulated PS를 쓸 계획이기 때문에 50V/100uF의 저용량을 사용했습니다. 만약에 regulated PS를 쓰지 않으실 경우는 좀 더 큰 용량을 사용하셔야 합니다. diyAudio.com에 올라온 글들을 참고하면 1,000uF 이상을 사용하셔야 하지만 1,000-2,200uF의 소리가 가장 좋다고들 하더군요. 물론 이 부분은 개인차가 있기 때문에 더 이상 말씀드리지는 않겠습니다. 저는 기분에 따라 1,000에서 3,300uF까지 내키는대로 사용합니다.^^

LM3875 : 배선도에 표시된 핀을 제외한 나머지 핀들은 모두 무시하시면 됩니다.
Rf : feedback 저항입니다. 이 넘은 Ri와 함께 게인을 결정하며, 제 경우는 보통 220k 부근을 사용합니다.
Ri : inverting input 저항입니다. 게인을 보통 20 정도로 맞추기 위해서 저는 10k 정도를 씁니다.
Rn : non-inverting input 저항입니다. 원래는 없어도 되는 넘입니다만 inverting과 non-inverting input의 impedance 차이가 발생하면 output의 offset voltage가 좀 커집니다. 따라서 inverting input의 impedance와 비슷한 값을 쓰시면 됩니다.
Cn : AC impedance를 줄여주기 위해서 1uF 정도의 cap을 Rn과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합니다.



feedback 저항을 나란히 놓은 것도 추가합니다. 역시 위에서 본 그림입니다. 이것이 더 가지런하고 이뻐 보이는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