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장 배터리팩 제작기. 아래 실패글 이후 성공기 입니다...

by 민경민 posted Dec 14, 200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한번의 실패후 어제 새벽3시에 제작 성공 했습니다.
기판도 제대로 만들고, 플럭스 때문에 ic가 사망한거 같아 제작후 플럭스도
깨끗이 제거했더니 정상 동작합니다...
케이스는 4.5v 배터리 케이스에 넣었고, 건전지 두개로 동작시킵니다..
기판 사이즈는 사진과 같이 aa건전지 사이즈 (13mm * 50mm 정도)로 만들었습니다.

제가 사용한 dc-dc 컨버터는 전압 변환효율이 94%정도라고 스펙에 나와 있어서 건전지의
효율이 높은 편입니다.
1.5v에서도 동작하므로 더 작은 사이즈로도 제작이 가능합니다.

사용된 ic는 maxim 사에서 나온 max1675로 사용했는데 현재 국내에서 구입이
가능합니다. 가격은 개당 3,500원 입니다.
칩 자체 사이즈가 일반적인 smd타입의 ic보다도 훨씬 작아서 납땜하기가 힘듭니다.
간단하게 하는 방법은 일단 기판에 ic를 납으로 붙인다음에 납흡취선으로 납을
빨아 들이면 ic 다리 사이에 있는 납이 빨려 들어가서 깔끔하게 됩니다.
두번째 관건은 인덕터인데 smd 타입으로 된 파워인덕터를 지금 가지고 있는게
없어서 집에서 굴러다니는 인덕터 사용했더니 모양새가 좀 않좋습니다..
인덕터 교체 예정으로  좀더 완성도 있게 될껍니다.
작은 사이즈에 넣으려고 저는 smd 타입의 부품을 사용했는데 넉넉하게 만드실꺼면
큰 사이즈의 부품을 사용하셔도 됩니다....
smd 부품은 보통 낱개로 판매를 안하고 100개 단위로 판매해서 한개정도 만드실
때에는 부품 구입비가 많이 발생합니다..
전원 입력쪽과 출력쪽에 콘덴서에 병렬로 0.1uF 정도의 필름 콘덴서를 달아주시는
게 좀더 안정적인  동작을 하게 됩니다.
제 경우 기판 아래쪽에 달아서 사진상으로는 안 보입니다.

제작이 끝난다음에는 납에서 나온 송진은 제거 하셔야 합니다.
고속으로 동작하는 제품일 경우 작은 이물질에 오동작및 ic가 고장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도 ic하나 날려 먹었습니다...  ^^;

http://datasheets.maxim-ic.com/en/ds/MAX1674-MAX1676.pdf
칩 회사에서 제공하는 스펙과 기본회로들입니다. 이 회로들만 가지고도 충분히 동작
가능합니다. 제가 사용한 회로는 12페이지에 있는건데 로우배터리 디텍트 회로를 빼
버리면 저항없이 회로 구성이 가능합니다..
이때는 칩의 1,2,3번 핀을 그라운드에 연결하시면 됩니다...

무부하시 출력전압은 5v  +- 0.1v 정도로 전압출력의 오차가 낮은 편입니다.
usb타입으로 제작해서 5v 입력 받는 제품들은 대부분 사용 가능하리라 봅니다..

회사에서 작성하느라 패턴도를 빼먹었습니다.. 저녁때 올려 드리겠습니다...

테스트 결과 후지 mp-300 휴대용 프린터기는 사용이 안되네요... 입력이 5v 0.6A이네요..
max1675가 0.2A밖에 안나오네요.... max1674가 1A 이니 구해서 만들어봐야겠습니다...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