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brid 6h30

by 손창원 posted Jul 02, 200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두번째 게인클론를 만들고있는데, 역시 파워암프는 케이스 문제때문에 공이 많이드는구요.

일단 완성한 6H30을 사용한 입력 버퍼부를 소개드립니다.
사용진공관은 6H30입니다. 간단한 SRPP회로로 구성되어 있고 플레이트, 케소드에 CSS 를 구성해서 좀 복잡해보입니다. CCS는 C4S와 동일한 구조를 체택하고있습니다. 사실 20mA, 200V를 사용하고 싶었습니다만, 손쉽게 구할 수있는 150V 를 사용하고있고, 전류는 협소한 내부 공간과 발열을 고려해서 12~13mA정도 흘리고있습니다.
flash를 사용한 사진이라 잘 않보이지만, 체널당 4개 사용한 고휘도 적색 LED(CCS)때문에 다 만들면 색감이 좋을것 같은 느낌이 드는군요.

출력부는 LM4780를 병렬처리해서  만들었지만, 아직 케이스 완성전이라 구동하지 못하고있습니다.


역시 진공관암프는 안전제일로 작업을 해야하는것 같습니다.
고압을 다루다보니(강전하는사람들은 저압이라 합니다만) 콘덴서에 저장된 전력의 힘을 실감하고있고, 일례로 테스트 중 쇼트되어 한체널 Tr4개, LED 4개를 동시에 잃어버리지를 않나, 전원측에 파이 필터로 사용하는 2W 저항이 급속 방전시킬때마다 타버리지 않나, 무척 위험하더군요. 덕분에 진도가 더딘것 같아보입니다.

두번쨰사진은 LM4780입니다. 지난먼 공구한 콘덴서를 사용하였더니 기판에 비해서 콘덴서가 너무 큰것 같은 느낌이 들고 단면 에칭을 해서 점퍼가 5개정도 사용되고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