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님 자작품(member) - 헤드폰 앰프 관련 자작 게시판 입니다.
조회 수 1956 추천 수 0 댓글 1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안녕하세요 .. 하스를 오게된지는 2주가 넘어가는데.. 엠프에 관한 기초가 하다도 없던터라..

이곳의 글들을(신정섭님의 글을 중심으로) 숙독하고 이해하는데 2주를 보낸거 같습니다..

처음에는 모사의 Dr.Head amp를 살까하다가 부피가 좀 큰거 같고.. 포터블용을 원하게되서 이곳저곳 알아보다가

결국 하스를 알게되었습니다. 신정섭님의 엠프들을 보면서 포터블용으로 그만인 여러가지것들을 생각해보았으나

내공이 0이던 제가 어려운것부터 만들다 포기할까봐서 초보자용 Cmoy를 만들기로 결심을하고!!

이것저것 부품을 적고 청계천 전자상가 약도를 프린트후에.. 청계천에서 4시간동안 휘젓고 다녔습니다. ^^

저항, 컨덴서, 기판 등등을 구입을 하다가 전자부품이란것이 제생각보다 훨씬 싸다고 느껴서

여러개 만들작정으로 대량구입을 했습니다. (대량이라봤자 부품당 10개정도..) 얼마 안한거 같은 부품들을

여러개 사다보니.. 한 Cmoy용 부품을 5만원가량 산것 같군요.. (주머니에서 돈나가는줄도 모르고 막 샀던..)

덕분에 차비만을 달랑 남겨놓고 모조리 다 부품을 사가지고 집으로 달려왔습니다.

그런데 아뿔사 ;;; 젤중요한 절두용 인두기를 안샀더군요 _-_;;

급한마음에 종로까지 갈여력이 없어서.. 동네 전파상에서 5천원짜리로 하나 구매했는데..

이놈이 꼽아놓고 한 30분 있으니까 갑자기 맛탱이가 가버리고말았습니다. ㅠ.ㅠ

붕떠있던 마음을 진정시키고 하루를 꼬박넘겨버리고 회사의 점심시간을 이용 _-_ 전자상가에 뛰어들어

여러분들이 추천하던.. HAKKO 사의 20W짜리 인두기를 사고 그날 저녁 첫 Cmoy를 만들어가는

첫단추를 꿰었습니다. 한 2~3시간가량 프린트해놓은 설계도를 보면서 열심히 인두질을 하던 끝에 완성을..

하긴했는데.. 잭에 선을 꼽아본순간.. 좌절하고 말았습니다.

소리가 들리긴 들리는데 잡음이 엄청나게 많이 들리고 아주 작게 들렸거든요..

값도 3배증폭을 했는데도 불구하고 이런소리를 듣게되니.. 전 아 원래 cmoy란게 이렇구나라고

생각을 해버렸습니다만.. 과연 이런엠프를 두고 좋다느니 말이 나온게 의아해서..

하나를 더 만들게 되었습니다. 2번째 Cmoy는 대성공이군요..

첫번째cmoy의 문제는 배선도 엉망이었거니와.. 뒷기판의 flux들의 합선이 문제의 원인이었더군요..

이제 Cmoy를 완성했으니 meier에 도전해볼 아량입니다..

오늘 청계천가서 4시간돌아다니면서 부품은 거의 구했는데.. 단하나 TLE2426 이놈은 청계천 어딜가도

구할수가 없더군요.. 좌절중이긴합니다만.. 우선 있는부품으로 2.0버젼을 만들어 볼생각입니다..(TLE가 필요없는)

아직 Cmoy첫 제작의 성공의 기쁨때문에.. 흥분이 가라앉지 않아서 두서없는 글이 되어 죄송합니다..

카메라폰으로 찍은 제 첫Cmoy엠프 사진도 동봉합니다.(화소가낮아서 화질이 최악 ;;)

PS1. 제가 쓰는 헤드폰은 저임피던스헤드폰임에도 불구하고 엠프가 있어야 제성능이 발휘된다는

         AV입문용 초급헤드폰 베어다이나믹사의 DT-231 입니다. 저도 막귀축에 속하지만.. 이 작은

         Cmoy하나만으로도 충분히 소리가 좋더군요.. ^^

         opamp는 2134(두이전자에서 5000원에구입) 모델인데.. 신정섭님이 추천해주신 TR072 이놈은

         꼽아도 소리가 안나더군요.. 2134는 되는거 보니까 opamp불량인것도 같고.. ^^;; 잘모르지만

        소리가 전혀 안나와서 2134로 사용하고 있는데.. 무엠프사용시보다 저음이 보강된듯한 느낌이고

        중,고음에서 조금 더 깔끔한 소리를 내주는것 같습니다. ^^;;

PS2. 저 같은 쌩초보들을 위해.. Cmoy의 제작과정을 하나하나 담아서 메뉴얼식으로 만들어보는 작업도

       한번 해보려고 합니다.

       정말 저같은 초보에겐 신정섭님의 4단원짜리 cmoy제작강좌도 버겨웠거든요..


* 이복열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4-06-25 22:33)
  • ?
    장명훈 2004.06.24 21:59
    jpg가 X표시로 나와서 gif로 변환했는데도 X표시로 나오네요.. 파일명을 클릭하면 사진은 보입니다만..
    왜그럴까요 _-_ㅋ
  • ?
    신정섭 2004.06.24 22:23
    자작기 잘 봤습니다. 축하합니다.
    그런데 "절두용 인두기"...
    그런 엄청난 인두기가 있군요. ^^

  • ?
    엄수호 2004.06.24 22:24
    첫 작품 축하드립니다.

    익스플로러 등록정보-->고급-->밑에 보면 "URL을 항상 UTF-8로 보냄..." CHECK를 지우고 다시 부팅하면 제대로 보입니다.
  • ?
    장명훈 2004.06.24 22:38
    LED는 고휘도 파랑색을 썼는데 10K저항으론 불이 거의 안나와서 1K저항 꼽았더니 꽤 밝더군요.. 베터리가 빨리 닳게찌만 ;;
    엄수호님 감사합니다.,. 이제 제대로 보이는군요..
    저의 인터넷스승이신 신정섭님께 축하받으니 기분좋네요 ^^ 감사합니다.
  • ?
    장명훈 2004.06.24 22:40
    여담으로 ;; 이쪽에 지식이 거의 없었던 관계로.. Cmoy에서 하단저항(R5)이 LED와 관계있는지도 모르고

    9V짜리 쌩선으로 LED에 연결하니.. 그 즉시 퍽하고 나가버렸습니다 _-_ 무지에서 오는 안타까움..

    600원짜리 LED가 한순간에 아작나버린.. ㅠ.ㅠ
  • ?
    박찬우 2004.06.24 22:44
    장명훈님 저와 동일한 경험이네요;;;
    저도 9V 건전지에 바로 갔다댔더니 불 한번 반짝하고 LED께서 돌아오지 못할 길로 가셨죠.
  • ?
    엄수호 2004.06.24 23:06
    ㅋㅋ 쌩으로 LED를 전원에 연결해서 멀리멀리 보내셨군요. LED는 무조건 저항다셔야 한다고 생각해야 합니다.
    고휘도 LED 꽤 비쌉니다. 특히 백색이 제일 비쌉니다. 백색>청색>적색 .... 녹색이나 다른 색은 가격을 잘 몰라서 뺍니다.
  • ?
    장명훈 2004.06.24 23:15
    고휘도 백색 LED는 천원하더군요.. 판매업자분이 설명하길. 백색은 3중으로 색을 입힌거라고 ;;
    그다음이 청색.. (적색, 녹색, 노란색) <-- 이건 가격이 비슷비슷
  • ?
    장명훈 2004.06.24 23:17
    음.. 초보분들이 겪으실 문제중에.. 제가 겪었던 가장 큰것은.. 배선할때.. 칩에 달린 다리가 기판 위쪽으로
    꼽았을때 아랫부분이 거의 보일듯말듯.. 니퍼로싹뚝 잘라주시면 배선제가 구멍 정중앙에 올수있게 남땜
    할수 있어서 배선이 꽤 깔끔해지더군요.. 다리를 놔두고 배선을 하려면 위에 붕뜨거나 아랫쪽으로 받혀야 하는데 그럴경우 배선도 좀 지저분해지고 다른부분과의 합선이 자주일어나는 듯 합니다.. 물론 제 경우이지만 저같은 초보분들은 다 겪으실 문제일듯 해서 적어봅니다. ^^;
  • ?
    손창원 2004.06.25 00:41
    파일이름이 한글이라서 그런것 같습니다.
  • ?
    김영생 2008.07.01 21:45
    단지 그런경우 흔들리거나하면 다리가 구멍입구에만 걸쳐져서 납에 제대로 접촉되지 않을수도 있고한지라 전 기판의 구리부분에 닫을정도로 접은다음 다시 살짝 펴서 조금만 남기고 자른다음 다시 접어서 떔합니다 (그러면 걸려서 거꾸로하면 중력떔에 안 빠지죠 ^^ )
  • ?
    김명섭 2012.05.22 02:35

    완성 축하드립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최근 수정일 최종 글 아이디 이름
2594 [박희성] 짜라와 짜라psu ^^-짜라 후면 모습 file 2003.01.01 1374 0 2003.01.01  
2593 마이어.. file 안태희 2003.09.20 1376 0 2003.09.20   antaehee 안태희
2592 이어지는 내부사진 1 file 박원웅 2003.09.21 1376 0 2003.09.21 2003.09.21 hermit00 박원웅
2591 [고재성] SDS 앰프-완성사진 file 2003.01.01 1378 0 2003.01.01  
2590 Toni file 노현준 2003.04.13 1378 0 2003.04.13   노현준
2589 건전지 수납부.. file 이학민 2003.09.29 1378 0 2003.09.29   yhmzzz 이학민
2588 오픈 케이스 *^^ 6 file 이홍관 2004.04.03 1379 0 2004.04.03 2004.04.03 guanilee 이홍관
2587 뒷면.. file 송영주 2003.09.02 1380 0 2003.09.02   rockman 송영주
2586 오랜만입니다 재가입기념 SDS 완성품공개 file 김도석 2003.04.19 1381 0 2003.04.19   knstar 김도석
2585 내부 사진 1 file 이학민 2003.10.26 1382 0 2003.10.26   yhmzzz 이학민
2584 거치형 Meier (3/4) file 박찬영 2003.10.12 1384 0 2003.10.12   luciel 박찬영
2583 [신정섭] Gilmore Amp in Altoids Tin-배때기 file 2003.01.01 1387 0 2003.01.01  
2582 배때기입지요... file 김희태 2003.04.02 1387 0 2003.04.02   김희태
2581 [DK] Gilmore-[DK] Gilmore file 2003.01.01 1389 0 2003.01.01  
2580 [한정우] 복각 hd51....?!-뒷면 file 2003.01.01 1389 0 2003.01.01  
2579 위에서 본 사진입니다 file 김희태 2003.04.02 1389 0 2003.04.02   김희태
2578 배때기... 2 file 신정섭 2003.07.29 1392 0 2003.07.29 2003.07.29 sijosae 신정섭
2577 HSMS자작 및 수리 완료..! 4 이보람 2003.09.23 1394 0 2003.09.23 2003.09.23 hdmix 이보람
2576 배때기 file 신정섭 2003.09.03 1396 0 2003.09.03   sijosae 신정섭
2575 [한정우] 복각 ra1 입니다.-윗면 file 2003.01.01 1398 0 2003.01.0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32 Next
/ 132
CLOSE
57390 5941641/ 오늘어제 전체     1401077 79224098/ 오늘어제 전체 페이지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