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님 자작품(member) - 헤드폰 앰프 관련 자작 게시판 입니다.
2002.10.19 19:59

[자작기] DJ

조회 수 2902 추천 수 0 댓글 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DJ란 이름은 딱히 뭐라 이름을 지을 수 없어 DK의 D와 Jung의 J를 합성해서 DJ라 이름을 붙였습니다.

DJ앰프에 대한 설명을 드리자면 Walt Jung의 Flexible Class A Buffer를 채용한 앰프로 증폭부는 Jung의

문서에 나온 기본적인 OP Amp를 이용한 증폭부(Gain = 5)를 사용했습니다.

원래는 멀티루프로 구성하려했지만 멀티루프와 Descrete버퍼는 별로 사이가 좋지 않은듯합니다.

Buffer의 DC offset이 OP amp에서 증폭이 됩니다.

이걸 Offset Shift현상이라고 하던데 자세한건 아직 모르겠습니다.

Jung의 문서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98% 동일한 설정을 했습니다.

Buffer Module에서 CCS(Constant Current Source)를 이용해 짜메42처럼 OP Amp의 Out단에

1mA가량의 전류를 공급해주고 있습니다.

저는 CCS와 CRD를 이용해 각각 1mA씩 총 2mA를 공급해 주도록 설정을 했고 물론 둘다 Bypass시키거나

둘중 하나만 Bypass 시켜도 상관 없습니다.

다만 CCS에 의한 전류 편차가 있는 듯 하여 CRD, CCS를 사용한것입니다.

나중에 선택적으로 Bypass 시킬수 있으니깐요.

Buffer부의 TR들은 모두 ECB배열의 1015(PNP), 1815(NPN)을 사용했으며 Qn을 빼고

모두 미지근한 발열을 합니다.

Qn은 발열이 거의 없다고 봐야 할거 같습니다.

ECB배열의 Power TR을 사용해보고 싶은데 아직 주문한 물건이 오지 않는군요..

원문과는 약간의 Bias편차가 있지만 Class A구동에는 별 문제가 없는듯 하여 Bias 조정을 하지 않았습니다.

원문에 의하면 Buffer는 Output Offset Voltage가 20mV~30mV로 꽤 높을 수도 있지만

이것은 FeedBack Loop를 통해 Cancellation된다고 하며 DJ의 경우 헤드폰단의 DC는

1.2mV~1.3mV로 측정이 됩니다. 운이 좋게도 TR매칭이 잘 된 듯 싶습니다.

그리고 Clamping회로에서 Diode와 LED가 있는데 8V이상의 신호가 들어오면 Saturation됩니다.

정상 동작시에는 LED에 불이 들어오지 않습니다.

원래 이 Clamping회로는 제외하려고 했지만 없는 것 보다 나을거 같아서 포함시켰습니다.

(Clamping회로와 CCS(Qn)을 제외하면 회로 구성하기가 한결 쉬워집니다.)

만약 Buffer가 제대로 작동하는지를 보시려면 Clamping회로로 들어오는 Jumper(0옴 저항)을 제거하고

음악을 재생했을때에도 정상적인 소리가 나야 합니다. 만약 작동이 되지 않는 경우라면 음의 왜곡이 심하게

이루어 집니다. (제가 처음 모듈을 구성했을때 이 방법으로 디버깅을 했습니다.

그때 Q3, Q4에 연결선 하나를 빠뜨렸었죠... ㅡ_ㅡ)

Buffer부의 실체 배선도에서 좌우를 보시면 Strip 소켓 사이의 공간이 3칸입니다.

즉 3칸 내에서 배선이 이루어집니다.

이 부분이 배선에 있어서 가장 많은 주의를 필요로 합니다.

(한편으로는 무슨 서커스를 하는 듯해서 재미...있..기.도~~┏( + ̄ 皿 ̄)ノ) ´ Д`) 웁~~스~~)

신정섭님의 실체배선도들처럼 깔끔하지 못하고 어지러운 면이 있지만 나름대로 많은 고민을 했고

수십장의 종이를 소비한 끝에 그린 배선도입니다.

역시나 저는 종이와 연필이 좋습니다..

컴퓨터로 직접 그리려하다보면 멍하니 모니터만 쳐다보게 되더군요... 흑흑

이 DJ는 오래 사랑받을 앰프가 될 거 같습니다.

우잉? 옆에 궁시렁 궁시렁 하면서 Toni가 째려보네요...



** DJ앰프와 관련한 원문의 간략한 내용

1. 피드백 루프안의 Cf(100pF)은 High Frequency에 의한 Buffer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것이며
또한 긴 Cable이나 Heavy Load시 안정화를 도와준다고 합니다.
물론 이 값은 주파수값(BW)에 따른 설정이 되어야 합니다.

2. Input단의 10M옴은 Cf의 주파수 정합에 대한 부정확성을 줄이기 위한 설정이라고 합니다.

3. Source의 Rs는 피드백 루프의 증폭률을 설정하는 저항값의 병렬치를 OP Amp의 (+)단에 설정하여
Impedance Balancing(임피던스 정합)을 하라했습니다. 좀 자세히 설명하자면 이렇습니다.
OP앰프의 (-)단과 (+)단을 나누어 -단에서 OP앰프의 Out단으로 Loop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Loop내에 포함되어 있는 저항값을 Ground시키게 되면 DJ의 경우 1K와 4K가 병렬로 됩니다.
(참고로 테브난의 등가회로에 대해 숙지 하시면 회로 보시는데 도움이 됩니다.)
임피던스 정합은 전단과 후단의 임피던스 값을 일치시킨다는 말로 임피던스의 부정합으로 인한
신호의 감쇄나 Noise를 줄이기 위한 것입니다.
(DJ의 경우 1K//4K로 800옴이 되어야 하지만 저는 그냥 1K로 설정했습니다)
멀티루프 사용시 Rs값을 설정하는 방법은 Toni앰프의 원문(HeadWize)에 자세한 예가 나와있습니다.

4. Buffer단에서 output에는 10~100사이의 값을 설정하여
Cable의 Capacitance(주파수에 의한 Impedance 변동 야기)나 과중한 부하에 의해 변동되는
Impedance의 값을 일정범위 내에 묶기 위해 사용이 됩니다.
(또한 최종적인 음색과 Buffer의 구동능력과도 연관이 있습니다.)
원문에는 10옴을 사용했지만 저는 짜메42와 같이 47옴을 사용했습니다.

5. Dual OP앰프의 Thermal CrossTalk 현상
Dual OP앰프는 동일한 Substrate에 두개의 OP앰프가 구현 되어 있으므로 서로 다른 전력소모시
열에 의해 서로 영향을 받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Thermal CrossTalk라고 하는데 밑에 관련 링크문서를 보면 그 예가 나와 있습니다.
이 Thermal CrossTalk현상을 줄이기 위해서는 피드백 루프 안에 버퍼를 두어 Dual OP앰프의
부하를 줄이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Dual OP앰프의 Linearity가 향상된다고 합니다.

6. Jung이 소개한 이 버퍼는 실제로 LH0002버퍼에 들어가있는 Topology라고 합니다.
LH0002의 DataSheet를 보시면 거의 동일 하다는 걸 아실 수 있을 겁니다.
또한 위 5번 항목이 적용된 예가 나와있습니다.


제 영어 실력과 이해력의 부족으로 자세하고 정확한 내용은 Jung의 문서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ㅜ_ㅜ


** 부품 리스트 **
1. 증폭부
저항(1/4W) - 1K, 10M, 4K, 100pF, 47, 0
OPA - AD823
CRD(Current Regulative Diode) - CRD-E102
2. 버퍼부
저항(1/4W) - 22.1K, 221, 10, 5, 1K, 0, 100
LED - Red, Green
TR - SA1015(PNP), SC1815(NPN)
Diode - 1N4148


** Walt Jung 관련 문서 링크 **

Minimizing Input Error


Bandwidth Limitation


High Performance Buffer I


High Performance Buffer II


Toni Kemhagen


CrossTalk From Thermal Effects Of Power Dissipation


LH0002 Buffer Data Sheet





** 수십번 검토를 했으나 혹시나 회로상에 누락된 부분이나 오류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소리는 잘 나오니 정상작동하는 것 같긴하지만 혹시나..)

** 끝으로 부족하기 짝이 없는 제 글을 읽어 주셔서 감사드리며
(-.-) (__) 세계적인 하스 만쉐이~ 만만쉐이~~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우힝힝~힝.
* 이복열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4-06-25 22:17)
  • ?
    박병권 2000.10.19 00:00
    노현준님의 첫번째 자작기인듯 싶습니다...현준님 앰프처럼 정리정돈잘되어 있네요 실력없는 저야 한번봐선 무슨말씀인지 도통모르겠고 반복해서 읽어봐야겠습니다 축하드리고 감사드립니다^^
  • ?
    민동훈 2000.10.19 00:00
    저도 무슨 말씀인지 모릅니다. 상당히 연구를 많이 하셨군요. 저는 구경만 하렵니다. ^^
  • ?
    노현준 2000.10.19 00:00
    앗~ 그러고 보니 자작기 올린게 처음이네요.. 우힝힝힝~
  • ?
    신정섭 2000.10.20 00:00
    공부도 많이 하신 듯 합니다. 훌륭하게 정리된 링크와 함께 멋진 자작기 감사합니다.
  • ?
    신정섭 2000.10.20 00:00
    한편, 재미있는 것이 LH0002 Buffer가 바로 Diamond Circuit 이군요...
  • ?
    신정섭 2000.10.20 00:00
    앗. BUF634도 확인해 보니까 기본적으로는 Diamond Circuit로 보이는군요. 하하하. 하스만세v2.0에 Diamond Buffer 모듈껴서 한참 다시 들어봐야 겠네요
  • ?
    신정섭 2000.10.20 00:00
    EL2001도 복잡해 보이기는 하지만 상당한 유사성이 보이고요... 흠흠. 잘 모르긴 해도 재미있군요.
  • ?
    신정섭 2000.10.20 00:00
    이 회로를 가상접지 회로에서 BUF634나 EL2001 대신 넣으면 완전 코메디겠군요... ㅋㅋㅋ
  • ?
    이복열 2000.10.20 00:00
    대단히 열심히 하십니다. 좋은 정보와 자작기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
    노현준 2000.10.20 00:00
    신정섭님, 대장님 말씀 감사합니다.. (--) (__)
  • ?
    노현준 2000.10.20 00:00
    근데 가상접지 회로에 사용한다면? 우왓~ 미쳐 생각치 못했습니다.. (^____________^)a Power TR로 구성해서 작동이 된다면... 큭
  • ?
    박은서 2000.10.20 00:00
    현준님 대단하십니다.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 ?
    김도환 2000.10.20 00:00
    멋진 자작기 감사히 잘 읽었습니다

  1. No Image

    [자작기] Acoustic Simulator

    원래 자유게시판에 게시할 생각으로 썼으나 글이 길어지고, 저번에 사진만 소개하고 자작기를 올리지 않음을 생각해 자작방에 올립니다만, 혹 게시판 성격에 부적합하다면 옮기던가 하겠습니다. ===========================================================...
    Date2002.08.31 By이학민 Views1931 Votes0
    Read More
  2. No Image

    [자작기] Single to Dual Converter

    질문답변 게시판에서 삽뜨다가;; 그냥 생각나서 정섭님 회로보고 함 만들어봤습니다.. ㅡㅡ; 한 루트로 구했었던 627을 한번도 사용해본적이 없다는것이 부끄럽기도 하고;;; 제 손떨림 수치가 어느정도인지도 알고 싶고.. 해서^^ 사진은 아직 안 찍어놔서;;; ...
    Date2002.09.01 By정진욱 Views1898 Votes0
    Read More
  3. No Image

    [실패기] 출력 임피던스

    '보고 따라하기' 라는 것만 맨날 하면 어떻게 되는지 가르쳐주는듯한 일입니다... 신정섭님 회로만 그대로 보고 Copy한지도 어언 몇개월째-_-; 이제는 솔직히 짬밥도 붙었고;; '생각하며 앰프 만들기' 를 실천하자고 생각하면서 예전에 정말 이해할 수 없었던...
    Date2002.09.07 By정진욱 Views2024 Votes0
    Read More
  4. No Image

    [자작기] Jay META42

    날도 슬슬 추워져서 반바지는 이제 접어야 될듯도 한 날씨입니다. 모두들 가내 평안하신지? 전 본격적으로 음악 감상하기 위해서 헤드폰도 새로샀고, 앰프도 새로 만들었네요..^^ 앰프 사진은 자작 갤러리에서 보실수 있습니다. '한번은 질러야 겠다!' 라는 ...
    Date2002.09.14 By정진욱 Views2491 Votes0
    Read More
  5. No Image

    Jay META42...

    또 쪼물딱쪼물딱 많이 만져놨습니다. 음.. 하루'종일' (정말입니다. 제가 헤드폰 생활 시작하고 정말 처음있는 일이네요.) 헤드폰 끼고나서 하는 평가이니, 뭐 대충 맞을듯 하네요. 우선, 승배님 회로에 나온 60.4랑, 제가 임의로 물린 100옴에 대해 많은 평...
    Date2002.09.15 By정진욱 Views1916 Votes0
    Read More
  6. No Image

    [자작기] Jay-3 복각

    아직 케이싱 문제에서 끝나지 않은 숙제가 있긴 한데 일단은 음악 듣고 하는 데에는 지장 없으니 자작 갤러리에 사진 올립니다. 사실은 케이싱 하느라고 죽는 줄 알았습니다. -_-;;;;; 처음엔 드릴로 뚫으면 Burr가 남아서 그거 줄로 가느라고 고생했었는데.....
    Date2002.09.16 By최재준 Views2085 Votes0
    Read More
  7. No Image

    [케이스공작 팁]금속 케이스 설계시 제작 단가 낮추기.

    알미늄 케이스에 관심 있으신 분들이 몇 분 계신것 같아서 이글을 올립니다. 하스 성격에 약간 벗어난다는 생각이 듭니다만... 가끔 이런글도 괜찮겠지요? 을지로와 종로 사이를 횡단하다 보면 알루미늄 가공집이 몇몇 보입니다. 1. 재료비를 제외한 가격책정...
    Date2002.09.17 By윤재필 Views2397 Votes0
    Read More
  8. No Image

    각종 평론 용어들의 의미

    어디 잡지에서 봤던기억이 나서 부랴부랴 인터넷을 뒤져보니 역시 있네요.... 이제 하스 에서 만들어진 엠프만도 수십가지가 되는것 같은데요...달라진 회로에 비해 실질적인 소리에 대해서는 글로 표현하기가 참 힘든것 같습니다...(아마 대부분 이쪽분들이 ...
    Date2002.09.24 By강성훈 Views2001 Votes0
    Read More
  9. No Image

    [잡설^^] 휴대용 META42

    누구 선물준 관계로 방출되버린 휴대용 META42가 그리버서.. (...사실은 포터블로 쓸 앰프가 필요해서...) 순수하게 제 돈 들이고 산 물건으로 처음 만드는(!) 앰프로서 휴대용 META42 하나 만들었습니다. (정섭님께 도움받은바 큽니다 ^^ 그 구멍들... 제 뚫...
    Date2002.09.30 By정진욱 Views2682 Votes0
    Read More
  10. No Image

    HD600 자작 케이블...

    오랜만에 글을 올리네요.. 헤스에서 언급이 있었던 HD600용 자작 케이블을 완성하였습니다. 재료는 최한솔님이 공구했을때 같이 구입하였습니다. 케이블 : 카나레 L-4E6S stero 단자 : neutrik 크롬 도금 단자. 자세한 제작법과 재료 구매에 관한것은 헤스의 ...
    Date2002.10.03 By지승배 Views5092 Votes0
    Read More
  11. No Image

    드뎌 휴대용 마이어 완성 했네요.

    배선도와 자세한 설명 덕분에 별 어려움 없이 만들었습니다. 앰프는 072 콘덴서는 220-비마 10-마이카 그리고 120옴으로 그냥 고정 시켰습니다. 볼륨은 진명무선 B형100k 에 10k 저항 달았는데 좌우 편차 못 느끼겠는데요. 아참 그리고 모렉스 커넥터에 배터...
    Date2002.10.14 By김지훈 Views1917 Votes0
    Read More
  12. No Image

    짜라 만들었습니다..

    잠을 못자서 정신이 없나봅니다. 자작방에 올린다는 것이 자유게시판으로 갔네요.. 휴..어제 사온부품들을 가지고 대장님의 변형META42랑 짜라를 만들었습니다. 결과는.. . 짜라는 역시나 간단한 배선으로 멋지게 성공했죠.. 하지만. META42는 절반의 성공입...
    Date2002.10.14 By전국경 Views2314 Votes0
    Read More
  13. No Image

    짜메42

    헤드폰에 물려 잘 쓰고 있습니다만 아무리 생각해도 저역이 조금 강한것 같아서 opamp를 바꾸어 가며 테스트를 해본 결과를 적어봅니다. *buf634+opa2132의 조합* 상당히 저역이 강한편이고, 테스트음반으로 사용한 머라이어캐리의 베스트음반의 경우 저역대...
    Date2002.10.18 By김도환 Views1937 Votes0
    Read More
  14. No Image

    짜라 제작기..아니 mx500 날려 먹은 사연....

    거치형으로 유사 RA-1(짜라)을 만들었습니다. 전원 공급은 24V 정전압이고요. 복열님의 2426으로 양분하고 + 정섭님의 듀얼opamp를 이용한 양전원 회로로 고정하는 방식의 양전원 회로로 꾸며 봤구요. RA-1의 원회로의 그대로의 퀄리티를 유지하기 위해..고급...
    Date2002.10.19 By이병구 Views2159 Votes0
    Read More
  15. No Image

    휴대용 짜메42 제작기.... [2068 감상기도 추가]

    음.. 1주일째 듣고 있네요. 청계천 모 가게에서 구입한 개당 400원짜리 코란도 9v 건전지 대단하네요^^ 지금 D-33과 함께 끼고 있습니다. 앰프 만들어 본지 꽤 되서 자꾸 정답게만 소리가 들리네요^^ Cmoy에 집착하고 있을때 원래 CHA47에 적용할 목적으로 3...
    Date2002.10.19 By황용근 Views3170 Votes0
    Read More
  16. No Image

    [자작기] DJ

    DJ란 이름은 딱히 뭐라 이름을 지을 수 없어 DK의 D와 Jung의 J를 합성해서 DJ라 이름을 붙였습니다. DJ앰프에 대한 설명을 드리자면 Walt Jung의 Flexible Class A Buffer를 채용한 앰프로 증폭부는 Jung의 문서에 나온 기본적인 OP Amp를 이용한 증폭부(Gai...
    Date2002.10.19 By노현준 Views2902 Votes0
    Read More
  17. No Image

    CHA47 완성

    한번에 작동 되더군요. 디카나 캠이 없는게 아쉽네요. 0.1비마 콘덴서 색깔이 선홍색으로 아주 이쁩니다. --v opamp-353 , 0.47 필름콘덴서(일훈통상 찾느라 애먹었음), 0.1 비마콘덴서(용전사) 10K A형볼륨(한국FM), 470uF전해콘덴서를 달았습니다. 스테레오...
    Date2002.10.20 By김지훈 Views2161 Votes0
    Read More
  18. No Image

    와 처음으로 헤드폰앰프란거 만들어 봤네요 어쨌든 성공^^

    안녕하세요 이번에 새로 헤드폰자작에 입문하려는 고1학생 이영훈이라 합니다 여기서 신정섭님의 작품을 보고 웬지 재밌겠다 싶어서 신정섭님이 올려주신 cmoy회로도대로 만들어봤는데요 되는군요!!ㅜ.ㅜ 이렇게 좋을데가.... 인제 다른것도 만들어 보렵니다!...
    Date2002.10.28 By이영훈 Views2195 Votes0
    Read More
  19. No Image

    휴 휴대용 마이어 완성

    저번때 실패한거 찾아봤는데 아무리 봐도 못찾겠더라구요.. 그래서 새로 만들었습니다. 땜질 막했는데도 3시간 정도 걸리네요. cmoy나 cha47에 비해 잡음이 많이 감소된 느낌입니다. 소리도 꽤 맑은 편이네요.. 그런데 cmoy만큼 증폭은 많이 안되는것 같네요....
    Date2002.11.04 By유희창 Views2241 Votes0
    Read More
  20. No Image

    이런건 자작기가 아닌 것 같은데.... -_-;;;;;

    드디어... 숙원사업인.... 전원부 좌우 분리를 완성했습니다. 지난번과 같은 소리전자 케이스 두 개를 가지고 만들었습니다. 아... 지난번에 부수지 못한.. -_-;;;;; Jay-3를 가지고 만들었습니다. 콘덴서가 바뀌었습니다. 젠센 오일 - copper 1uF 콘덴서입니...
    Date2002.11.04 By최재준 Views3747 Votes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132 Next
/ 132
CLOSE
375120 5941569/ 오늘어제 전체     1004733 79223885/ 오늘어제 전체 페이지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