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님 자작품(member) - 헤드폰 앰프 관련 자작 게시판 입니다.
조회 수 3712 추천 수 0 댓글 1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SDS LAB Amp 를 제작하고 보니 지금껏 만들어 보았던 그 어떤 앰프
보다도 손이 많이 가고 신경쓰이게 하는 놈이라는 생각이 가장 먼저
듭니다. 일단 만들고 튜닝까지 끝마치고 나니 홀가분하네요.

먼저 회로 및 부품 선택은 신정섭님의 자료를 그대로 답습했습니다.
스티롤 컨덴서야 다들 잘 아시는 동우전자에서 쉽게 구할 수 있지만
마침 IRF9530이 청계천에서 바닥난 시점에서 제작하려고 했던 것이
고생의 시작이었습니다. 2시간을 수색하여 겨우 "석영 브라이톤"에서
바가지쓰며 구했습니다.

은서님께서 지적해주신 것처럼 방열판의 위치와 부품의 배치는 Tori 나
Tomo 때와 동일합니다. 앞으로도 이 배치를 계속 사용할 생각입니다.
10 Ohm/1W 저항이 없어서 20 Ohm/0.25W 저항을 병렬연결하여 사용한
정섭님처럼 저 역시 5 Ohm/0.25W 저항 두 개를 직렬 연결하여 사용하였
습니다. 10 Ohm 저항에 흘려주어야 하는 바이어스 전류를 잡기 위해
처음에는 적색 고휘도 LED 1개당 전압강하를 1.8V로 고려하여 LED 3개
와 3V zener를 조합하여 8.4V 의 전압강하를 생각하였습니다.

제작과정에서 한가지 큰 실수를 했던 것이 10개의 저항을 재로 만들었던
LED 극성 문제였습니다. 딴 생각하면서 부품을 꽂았던 것이 화근이 되어
저항 10개를 재로 만들었습니다. LED 방향을 바로 잡고서 겨우 SDS의
소리를 들을 수 있었는데 일단은 만족입니다.
첫 동작에서 LED 3개와 zener의 조합에서 전압강하는 생각보다 작아서
7.89V 밖에는 나오지 않았습니다. 바이어스 전류를 하루라도 빨리 잡아
주고자 일요일인데도 공작실에 가서 zener를 찾아보았습니다. 부품통에
zener가 없어 한숨을 쉬려던 찰라 마침 후배놈이 사용하다 버린 3V zener
2개를 휴지통에서 찾았고 깨끗이 닦아 LED 하나씩 뽑고 그 자리에 연결
하였습니다. 때 마침 zener를 휴지통에 버려준 후배가 고맙더군요. ('_');

결과는 LED 2개 + zener 2개의 조합에서 좌측 8.78V, 우측 9.12V 를 얻었
고 10 Ohm 저항에 걸린 전압은 각각 0.65V, 0.78V 였습니다. 전류로 따지
면 13mA 의 차이가 생긴 것입니다. 다시 튜닝을 위해 zener와 LED의 위치
를 바꿔가며 겨우 좌측 9.04V, 우측 8.98V로 확정하였습니다. 이 때 10 Ohm
저항에 걸린 전압은 좌측 73.2mA, 우측 71.8mA 로 1.4mA 의 차이가 생겼
지만 이 정도로 만족하기로 했습니다. 재미있는 것은 동일한 제품인데도
전압 강하가 조금씩 다르다는 점과 전해 컨덴서에 걸리는 전압과 10 Ohm
저항에 걸리는 전압 강하가 비선형성을 띄므로 많은 시행착오를 거쳐야
한다는 점입니다. 역시 승배님처럼 TR + potentiometer를 사용하는 것이
좋을 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바이어스 전류를 결정하는데는
회로에 사용된 부품들의 조합에 따라 심하게 달라지므로 무수한 시행착오를
거쳐야 겨우 잡히네요. 일단 신정섭님, 지승배님 그리고 저의 경험을 조
합해보면 330uF(또는 470uF)전해컨덴서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이 8.1V에서
9.4V 이내가 되면 10 Ohm 저항의 양단에 60 ~ 80 mA가 걸리게 되는군요.

- 이름 ----- 조합 --------- 전해 컨덴서 --- 10 Ohm
신정섭: LED 3 + 3V zener 1 ... 8.1V ... 74 mA
지승배: TR + potentiometer ... 9.4V ... 75 mA
조경남: LED 3 + 3V zener 1 ... 7.9V ... 36.5mA
" ...... LED 2 + 3V zener 2 ... 8.78V ... 65 mA
" ...... LED 2 + 3V zener 2 ... 8.98V ... 71.8mA
" ...... LED 2 + 3V zener 2 ... 9.04V ... 73.2mA
" ...... LED 2 + 3V zener 2 ... 9.12V ... 78 mA

위에 나열한 것처럼 동일 조합에서도 전해 양단에 걸리는 전압이 다르고
전해 컨덴서에 걸리는 전압이 조금만 변해도 10 Ohm 저항에 흐르는 전류
역시 크게 달라지게 되는군요. 갑자기 이병구님과 최윤석님의 조합이
궁금해집니다.

발열에 있어서 동일한 크기의 방열판과 24V 을 사용하는 Tori의 IRF520 에서
80도의 발열이 생겼으나 이번 SDS의 MOSFET은 옆에 온도계가 없어 정확한
온도는 모르겠으나 손으로 만져도 약간 뜨겁다는 정도입니다. 40~50도
정도가 아닐까합니다. IRF520을 사용하는 Tomo는 70도 가까이 온도가 상승
합니다.

음색은 승배님의 감상에 동의합니다. 해상도는 마이어나 Rega Ear2000에
다소 뒤지지만 저음을 때려주는 힘에서는 이 둘을 앞선다고 평합니다.
Tomo와 SDS의 음색은 동일한 MOSFET 기반의 Tori와는 분명히 다르다는
점 역시 승배님의 평에 동의합니다. 음이 부드럽고 편한하다는 점에서
두 앰프는 비슷합니다만 해상도에 있어서는 SDS가 앞선다고 하겠습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은 고음의 해상력을 원하시면 마이어나 Tori를, 강한 저음과
부드러운 음이 듣고 싶을 때는 SDS나 Tomo를 추천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이복열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4-06-25 22:16)
  • ?
    신정섭 2000.07.14 00:00
    우와 이거 기다리던 자작기입니다. 드디어 최종 완성하셨군요. 한가지 말씀드리면 경남님의 좌우채널 차이가 나는 것은 제 생각엔 LED 차이인 것 같습니다. LED는 메이커마다
  • ?
    신정섭 2000.07.14 00:00
    색상마다 전압강하값이 차이가 납니다. 그래서 동일 조건을 맞추려면 완전히 동일한 메이커의 동일제품으로 사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제 경우 LED 양단의 전압강하량이 좌우채널
  • ?
    신정섭 2000.07.14 00:00
    똑 같거든요. (LED 색상은 틀리지만 같은 메이커임) 그리고 10옴 저항은 수십개의 저항중에서 같은 값이 나오는 놈을 선별했답니다.
  • ?
    신정섭 2000.07.14 00:00
    한편 저는 LED 4개만 연결시 전압강하는 7.7V가 나왔고 이때 전류량은 57mA입니다. 승배님은 TR써서 9.1V에 79mA 나왔던 것으로 기억하고요.
  • ?
    신정섭 2000.07.14 00:00
    아. 지금 다시 측정해 보니까 좌우 8.08V, 8.10V이고 네개의 10옴저항에선 73mA, 74mA, 73mA, 74mA값이 나오네요.
  • ?
    이복열 2000.07.15 00:00
    자세한 자작기 감사합니다. 많은 참고 아니 기술축적이 되니 않나 생각합니다.잘보고 나갑니다.
  • ?
    조경남 2000.07.15 00:00
    감사합니다. LED는 3mm 로 통일하였고 같은 날짜에 제조된 놈들을 사용하였습니다. 제 생각에는 zener의 정밀도에 차이가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
    조경남 2000.07.15 00:00
    LED는 가만히 두고 zener 4개의 배치를 달리 하면서 튜닝을 했습니다.
  • ?
    조경남 2000.07.15 00:00
    적색 고휘도 LED는 전압강하는 1.5V에서 1.8V 범위에서 나타나내요. 변덕쟁이네요. ^^;
  • ?
    지승배 2000.07.15 00:00
    제 데이터는 약 9.4V에 75mA 정도 흐르는것 같습니다. 윤석님껏도 제것이랑 같게 되어있으므로, 거의 같다고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완성 축하드립니다.
  • ?
    신정섭 2000.07.15 00:00
    좋은 자료들이 모이네요. 제 [SDS 제작법]에도 위의 내용 일부를 첨가하겠습니다.
  • ?
    차은호 2000.07.15 00:00
    좋은 자료 감사 드립니다. 저도 도움 많이 되었네요. : )
  • ?
    차은호 2000.07.15 00:00
    몇주 전에 만들었다가 한쪽 소리가 이상해서 옆으로 던져놨던 SDS를 어제 드디어 잘못된 곳을 찾아냈습니다.
  • ?
    차은호 2000.07.15 00:00
    원인은 바로 양쪽 회로를 만들때, 거울상으로 뒤집다가 MOSFET쪽을 안 뒤집었더군요. -_-; (처음에 뒤집는 것을 다 계산했는데, 만들다가 까먹고 그냥 만들어 버렸더군요.)
  • ?
    차은호 2000.07.15 00:00
    어제 수정하고 튜닝해서 지금은 감상 모드 입니다. : ) 제 경우는, 9.1V 짜리 제너 다이오드가 있어서 이것 하나로 해결 봤습니다. ^^ 콘덴서에는 9.1V 정도가 걸리고
  • ?
    차은호 2000.07.15 00:00
    10옴 저항에는 075 V 정도가 걸리더군요.
  • ?
    차은호 2000.07.15 00:00
    실수로 엔터를 쳐버렸군요. 0.75V 정도입니다. 같은 9.1V 제너 다이오드에도 편차가 꽤 있어서 편차가 적은 녀석들을 골라야 했습니다. 소리... 좋군요. : )

  1. 만족스러운 CMOY와 셀렉터블 더미헤드폰입니다ㅎㅎ

    처음만들어봤습니다^^ 무진장 허접합니다 애먹었네요ㅎㅎ; 오디오랩스의 송관섭님의 실체배선도를 참고하여 제작했구요. Gain을 11로 맞춰서했더니 DC출력이 너무 나오더군요ㅠ 2134에서도 꽤나 불안해보이더라구요. 그래서 저항빼고 Gain을 3.13으로 만들고 ...
    Date2011.08.13 By이수관 Views3743 Votes0
    Read More
  2. 공제 젠(헝그리 버젼) 완성했습니다.(수정)

    * 8/17 수정사항 1. 발열대책. 일단 610방열판 위쪽에 방열판을 추가로 얹었습니다. 높이 문제로 일단 3M의 방열스티커로 추가 방열판을 덮어씌운 형태로 장착했습니다. 또 케이스 위쪽에 방열구멍을 뚫었습니다. 드릴로 뚫느라 엄청 땀 흘려댔는데 다시는 하...
    Date2005.08.05 By김성진 Views3741 Votes0
    Read More
  3. 마지막 불꽃!! 길모어 완성입니다. ^^ -청음기 추가-

    후... 에칭뜨고.. 정확히 24시간 만에 해치운것 같군요..^^;; 계획부터 걸린시간은 꽤 되지만... 일단 초단시간에 완성을 이룩했네요..ㅋ 신정섭님의 길모어와 거진 동일하고.. 바이어스양을 맞추기위해 500옴 ->600옴으로 바꿨습니다. 변형 길모어에서는 417...
    Date2006.03.04 By전석민 Views3739 Votes0
    Read More
  4. PCM2704 ,TPA2000D4 를 이용해 USB 앰프 만들어 봤습니다

    PCM 2704 와 TPA2000D4 를 이용했는데요. TI 사 제품이구요. 출력은 D-class 1W 라고 하는데 너무 커서 이렇게 다 듣지는 못합니다. 헤드폰 앰프로는 게인을 너무 높였는데 조그만 컴퓨터 스피커로 들어도 큰 문제는 없을 것 같습니다. PCB 패턴 뜨는게 상당...
    Date2006.09.18 By힌싱ㅎ,; Views3738 Votes0
    Read More
  5. 철지난 Zen...

    이곳 이XX님으로부터 신형기판을 입수하여, 늦게나마 완성해본 Zen입니다. 일단 소리 좋습니다. SHHA하고 비교하면 다른 맛이 있습니다. 일단 K501을 비교적 잘 울려줍니다. 스테이지도 넓은 것 같구요. 그런데 발열이 장난이 아닌 수준입니다. 10분정도 되면...
    Date2005.12.05 By윤서진 Views3737 Votes0
    Read More
  6. 처음 만들어본 cmoy 앰프

    HAS에서 신정섭님께서 올려주신 자료보고 만들어봐야겠단 생각만 가지고 있다가... 이번에 만들어봤네요. 처음 만들어보는 거라서 마감이 썩 좋질 않습니다.^^;; 다음엔 더 잘만들어봐야죠~ opamp는 BB2134썼습니다~ 만드는 김에 순은케이블까지 만들었어요~^^
    Date2010.09.16 By이성신 Views3734 Votes0
    Read More
  7. 자작케이스버전 하데스

    하데스입니다! 한참 늦었네요! 아직도 미완성인 부분도 있지만.... DAC완성후 전원인가전에 혹시나해서 도통시험을 했는데 이런 3.3V단자가 통합니다! 아무리 쳐다봐도 안보이고 결국 칩부품을 다시 인두질 그랬더니 신기하게 사라졌습니다~! 케이스에 다 안...
    Date2012.04.17 By강규식 Views3726 Votes2
    Read More
  8. 제 마지막 쿠미사 완성했습니다....

    요즘 디아에 잠시 발을 담궈 허우덕거리다.....이제서야 완성했네요.... 배선은 깔끔하지는 못하고....그냥....선가는대로...해봤습니다... 완성후 처음 테스트시...이상하게 우측채널에 보컬음성이 잘안들려...찾아보니....헤드폰단자의 그라운드와 R-ch을 ...
    Date2012.06.04 By김성곤 Views3723 Votes1
    Read More
  9. USB DAC pcm2702 이제야 완성(유재형님 선물)

    안녕하세요? 그동안 자작기 한번 못올리고 장시간 꿋꿋이 철판을 깔고 있었던점 정말 미안합니다. 아직도 아날로그에서 못벗어나 디카하나 장만하지 못하여 폰카로 대신하게 됨도 쑥쓰럽고요. 그동안 앰프상식이 전무였던 저에게 이곳 하스야 말로 저에게 보...
    Date2006.11.10 By이석환 Views3720 Votes0
    Read More
  10. No Image

    DIY매니아에서 공제한 정전압 기판사진입니다.

    김규겸님이 공제하신 정전압기판사진 올립니다. 자작갤러리에 올리려다가 사진이 많아서 여기에다 올립니다.(죄송하네요..^^) 자세한 제작기는 대장님의 글을 참조하시는게 나을것 같네요.. 저는 어설프게 실수한 죄로 고생많이 했습니다.(TR을 잘못꼽았죠.....
    Date2003.02.20 By전국경 Views3716 Votes0
    Read More
  11. 거치형 CMOY입니다.^^

    안녕하세요. 예전에 화분CMOY 이후 두번째 만든 거치형CMOY입니다. 거의 일주일동안 만들었는데 만들고나서 테스트를 해보니 어흑...ㅜ.ㅜ 험이있더군요. 중간중간에 만든 휴대용 CMOY도 험이 있던데 이것역시 마찬가집니다. 에혀~ 볼륨상태에 따라(볼륨최소 ...
    Date2006.11.26 By전상오 Views3715 Votes0
    Read More
  12. 미완성 SHHA

    모 사이트 장터에 나온 기판을 운좋게 한장 구입후...많은 시간이 지났습니다. 완성은 아니지만 조만간 마무리를 지을수 있을거 같습니다. 현재 모든 부품 실장 후 테스트 중입니다. 소리 좋습니다. ^_______________^;; 전원부 : 일반 금속 피막 저항과 MBR ...
    Date2007.05.14 By장희도 Views3713 Votes0
    Read More
  13. No Image

    SDS LAB. Amp 자작일지 및 튜닝 결과

    SDS LAB Amp 를 제작하고 보니 지금껏 만들어 보았던 그 어떤 앰프 보다도 손이 많이 가고 신경쓰이게 하는 놈이라는 생각이 가장 먼저 듭니다. 일단 만들고 튜닝까지 끝마치고 나니 홀가분하네요. 먼저 회로 및 부품 선택은 신정섭님의 자료를 그대로 답습했...
    Date2002.07.14 By조경남 Views3712 Votes0
    Read More
  14. A47과 PIMETA 앰프-A/S 내용 더합니다.

    안녕하세요. 주말 내내 앰프 2개를 만들었습니다. 이번엔 정말 마지막이라고 생각하고 엄청 고생하면서 만들었는데 정말 마지막이 될 지는 모르겠습니다. 더 좋은 것이 떠오르지 않아야할텐데 말이예요.^^ A47를 만든 이유는 실비아 케이스 때문입니다. 케이...
    Date2004.08.22 By이석우 Views3709 Votes0
    Read More
  15. PIMETA 만들었어요 ^^

    좋네요 증말 ㅎㅎㅎ 불꺼놓고 아이폰과 840에 물려서 듣고 있어요 시간이 너무 잘가요 ㅜㅜ
    Date2011.09.03 By홍경의 Views3695 Votes0
    Read More
  16. H6120 두번째 완성

    귀차니즘의 발동으로 절연용의 수축튜브조차 안씌워놓고 우레탄 스프레이로 처리했습니다. ㅡㅡ; 안전인증시에는 저런식으로 처리하면 절연으로 안쳐줍니다만.. 나름 두껍게 뿌렸으니 문제될일은 없겠죠. 입력선은 노이즈를 방지하고자 꼬아준후 알미늄 테잎...
    Date2013.03.31 By김나라 Views3693 Votes0
    Read More
  17. No Image

    Renewal Zen 완성!

    그저께 리뉴얼 젠 부품이 도착했습니다 비상시 무기로 써도 될 만큼 묵직한 트랜스와 생소하게 생겨먹은 부품들을 보니 자작 욕구가 마구 솟아나더군요 공구품목 외 필요한 부품은 예전에 준비해 뒀기에, 이틀 밤을 투자해 완성했습니다 전원부에 콘덴서가 잔...
    Date2007.10.19 By이효준 Views3693 Votes0
    Read More
  18. No Image

    컨덴서의 최대 허용 전압에 관하여...

    -추가- 링크 자료실에 오디오파트에서 모아온 전자부품들의 간략한 소개 및 음질관련 기사를 모아보았습니다. ========================================= 양전원 구성 회로를 제공해주신 신정섭님꼐 다시 한번 감사의 말을 전하며 신정섭 자작방에 리플로 적...
    Date2002.06.06 By조경남 Views3693 Votes0
    Read More
  19. 초소형 A47 앰프입니다

    또다시 병이 발동해 만들었던 A47앰프입니다 마무리가 다안되고 이것저것 문제도 많았던 앰프입니다 리튬 폴리머용 충전기입니다 문제의 발단 -,.- A47을 저만한 크기로 만들어버리고 사이즈가 딱맞는 배터리를 서랍에서 찾았습니다 요렇게 배치합니다 그런데...
    Date2013.12.30 By박재량 Views3686 Votes0
    Read More
  20. COSDAC V2 완성했습니다.

    뒤늦게 시작한 COSDAC V2입니다. 공구를 놓쳐서 함께하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정호윤님께 마지막 남은 기판 2장 구하고 부품은 따로 구입해서 완성했습니다. 근 10년만에 납땜질 해보네요. 혹시 실패를 대비해서 2대분을 준비했는데 첫번째서 가뿐하게 성공했...
    Date2006.10.23 By이상범 Views3683 Votes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132 Next
/ 132
CLOSE
288120 5941482/ 오늘어제 전체     643733 79223524/ 오늘어제 전체 페이지뷰